문화
Home >  문화

실시간뉴스

실시간 문화 기사

  • 한형주 관장, 6개의 태양계 행성 정렬 현상 '우주쇼' 특별관측회…"의미 있는 시간을 만들어 가길"
    [동국일보] 오는 25일 밤하늘에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6개의 태양계 행성이 줄지어 떠 있는 우주쇼를 볼 수 있다.   국립과천과학관은 올해 첫 특별관측회를 25일 일몰 직후(오후 6시 30분부터 150분 동안)에 천문대와 천체투영관 일대에서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날 관측회 동안 구름 없이 맑은 밤하늘에서는 동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황도 위에 6개의 태양계 행성이 줄지어 떠 있는 행성 정렬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황도(ecliptic)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기 때문에 지구 관찰자가 하늘에서 보는 태양이 연중 자리를 옮기는 경로이다.   이번 행성 정렬은 태양보다 앞서 지는 수성과 지구를 제외한 태양계 행성들인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동시에 밤하늘에 떠 있는 현상이다.   여러 개의 행성을 한 번에 관찰할 수 있는 행성 정렬은 해마다 볼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이번처럼 6개의 행성이 한 하늘에 모습을 보이는 현상은 더욱 흔하지 않다.   태양계 8개 행성의 공전궤도면은 거의 동일해 지구의 공전궤도면인 황도면에서 7도 이내에서 공전하기 때문에 하늘에서 황도에 가깝게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46억 년 전 태양계 형성 당시 원시 행성계 원반에서 행성들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이날 보이는 6개의 행성의 위치를 연결하면 황도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는데, 차창이나 건물 창문으로 비스듬하게 들어오는 햇빛에 눈이 부신 경험을 떠올려 보면 겨울철 낮에 해가 떠서 지는 경로가 여름보다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겨울철 밤에는 황도가 높은 남쪽 하늘을 가로지르고 있어 운 좋게 6개 행성이 늘어선 모습을 초저녁 시간에 관찰할 수 있다.   이날 하늘이 맑다면 특별관측회 참가자들은 맨눈으로 보이는 금성과 목성, 화성과 토성 외에도 천왕성과 해왕성도 망원경을 통해 관측할 수 있고, 천체망원경으로 목성의 4대 위성과 토성의 고리도 확인해 볼 수 있다.   관측회는 나이 제한 없이 현장 참여로 진행하며, 특별 프로그램으로 천체투영관에서 대중강연과 특별 상영회를 진행한다.   대중강연은 과학관 누리집에서 사전예매해 참가할 수 있고, 오후 6시 30분부터 45분 동안 진행한다.   서울대학교에서 천문학을 전공하고 현재 산업계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우주 광통신을 연구개발하고 있는 강원석 박사가 '태양계 행성 탐사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천체투영관에서 태양계 행성 탐사 영상을 관람하는 특별 상영회는 관측회 참가자들이 입장 시 현장 예약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특별관측회 대중강연 사전예약은 7세 이상 선착순 250명을 대상으로 오는 18일 오전 9시부터 과학관 홈페이지에서 진행한다.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과천과학관 누리집(http://www.sciencecenter.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형주 국립과천과학관 관장은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 태양계의 행성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알아볼 수 있는 경험이 될 것"이라며 "우주과학자의 꿈을 키우는 어린이들과 우주를 만나보며 삶의 여유를 찾는 성인들도 과학관에서 의미 있는 시간을 만들어 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 경제
    • IT/과학
    2025-01-20
  • 국가무형유산 '예천통명농요' 故 안용충 보유자 별세…보전과 전승활동에 헌신
    [동국일보] 국가무형유산 ‘예천통명농요’ 안용충(1938년생) 보유자가 노환으로 1월 7일(화) 별세하였다.   ‘예천통명농요’는 6개의 자연마을(노티기, 웃통명, 동쪽마을, 골마을, 함기골, 땅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농업을 주업으로 삼는 경북 예천군 예천읍 통명리 지역에서 대대로 전승되어온 노래로, 경상북도 특유의 음악어법을 잘 간직하고 있다.   1979년 제20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현 한국민속예술제)에서 대통령상을 받으면서 널리 알려졌고, 1985년 12월 1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통명리에서 태어난 고(故) 안용충 보유자는 농사일을 하면서 마을 어른들과 함께 농요를 부르며 자랐다. 제20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현 한국민속예술제)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을 당시, 이상휴 보유자(1933~ )와 함께 참가하여 이상휴의 선소리를 받아 뒷소리를 불렀다.   고(故) 안용충 보유자는 예천통명농요의 모든 뒷소리를 받을 줄 알 뿐만 아니라, 1973년경부터 농악기를 학습하여 징이 주특기이고, 고(故) 이대봉(1921~1994) 보유자에게 꽹과리를 배우는 등 농악기도 고루 다뤘다.   1986년 이수자, 1992년 전수교육조교(현 전승교육사)를 거쳐 2006년 보유자로 인정되었고, 이후 지역 농요의 맥을 굳게 지키며 국가무형유산 예천통명농요의 보전과 전승활동에 헌신하였다.  
    • 문화
    • 문화일반
    2025-01-09
  • 음악으로 전하는 희망 '2025 신년음악회'…"입장권의 판매금 전액을 기부할 예정"
    [동국일보]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장관 유인촌)는 1월 9일(목) 오후 7시 30분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2025 신년음악회’를 개최한다. 올해 신년음악회에는 케이-클래식의 미래를 이끌 청년예술인들을 주축으로,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국립합창단이 함께한다.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는 2024년 귀도 칸텔리 국제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한 젊은 지휘자 송민규의 지휘로 드보르자크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4악장, 아티 쇼의 클라리넷 협주곡,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2번 3악장을 선보인다.   2023년 파리국립오페라오케스트라 종신 수석 단원으로 입단한 클라리넷 연주자 김한, 2024년 지나 바카우어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한 피아노 연주자 선율이 협연자로 나선다. 특히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와 국립합창단의 청년교육단원 28명이 함께한다.   이어,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성악 강국 대한민국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무대들이 관객을 맞이한다. 2014년 퀸엘리자베스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한 후 국내외 주요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는 소프라노 황수미가 구노의 오페라 ‘파우스트’ 중 ‘보석의 노래’와 아리랑 선율을 재해석한 ‘아라리요’(작사 이승민, 작곡 이지수)를 국립심포니와 함께 선보인다.   국립합창단은 김영랑의 시에 우효원이 곡을 붙인 ‘모란이 피기까지는’을 통해 간절한 희망을 노래한다. 소리꾼 고영열, 정가가객 하윤주 등도 무대에 올라 광복의 염원을 생생히 그린 칸타타 ‘나의 나라’ 중 마지막 곡 ‘나의 나라’(김희연 작사, 우효원 작곡)를 국립심포니, 국립합창단과 함께 선보이며 웅장한 대미를 장식한다.   한편, 지난 12월 말 예술의전당 누리집과 인터파크를 통해 판매한 이번 음악회의 입장권 판매금 전액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을 통해 긴급 지원이 필요한 예술인들을 위해 쓰인다. 문체부는 올해부터 매년 신년음악회 입장권의 판매금 전액을 기부할 예정이다.   공연장을 방문하지 못하는 국민들도 온라인을 통해 공연에 함께할 수 있다. ‘2025 신년음악회’는 1월 9일 오후 7시 30분부터 실시간으로 예술의전당 디지털스테이지(digital.sac.or.kr)와 예술의전당 공식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으로 생중계된다. 1월 18일(토) 오후 8시에는 아리랑티브이(TV)를 통해 국내외에 방송될 예정이다.  
    • 문화
    • 공연
    2025-01-08
  • 국가무형유산 '종묘제례' 故 이형열 명예보유자 별세…한평생 보전과 전승활동에 헌신
    [동국일보] 국가무형유산 ‘종묘제례’ 이형열(1937년생) 명예보유자가 노환으로 1월 5일(일) 별세하였다.   ‘종묘제례’는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셔 놓은 사당(종묘)에서 지내는 제사이며, ‘대제(大祭)’라고도 부른다.   ‘종묘제례’는 정시제와 임시제로 나뉜다. 정시제는 4계절의 첫 번째 달인 1월, 4월, 7월, 10월에 지냈고, 임시제는 나라에 좋은 일과 나쁜 일이 있을 때 지냈으나, 해방 후부터는 5월 첫 일요일에 한 번만 지내고 있다.   웅장함과 엄숙함이 돋보이는 ‘종묘제례’는 유교 사회에서 예(禮)를 소중히 여긴 조상들이 예술의 기준으로 삼은 귀중한 의식이다.   1937년에 태어난 고(故) 이형열 명예보유자는 1968년 서울로 상경하여,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활동하면서 고(故) 이재범(1928~1987) 보유자를 도와 종묘제례에 적극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종묘제례의 보전과 전승을 위해 힘썼으며, 그간의 전승활동 업적을 인정받아 2000년 제수와 제기 분야의 보유자로 인정되어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다, 건강상의 이유로 정상적인 전수교육 및 전승활동이 어려워 명예보유자로 인정(2018.9.27.)되었다.   고(故) 이형열 명예보유자는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전례연구위원 및 전례이사를 역임하며 조선왕실의 제사를 대한제국 황실의 의례에 걸맞은 의례로 복원하고 전승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한평생 종묘제례의 보전과 전승활동에 헌신하였다.  
    • 문화
    • 문화일반
    2025-01-07
  •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 역사경관림' 가치 약 779억 원…"궁궐이 지닌 생태적 가치도 밝혀낼 것"
    [동국일보]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이재필)는 지난 2021년부터 올해까지 실시한 「조선왕릉 역사경관림의 수목조사」를 통해 조선왕릉 역사경관림의 경제적 가치가 약 779억 원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궁능유적본부는 조선왕릉 28개소에서 자라고 있는 나무의 종류와 크기를 조사해 각 능별 나무의 부피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조선왕릉 28개소의 평균적인 나무 부피의 합(평균 임목축적)은 258㎥/ha로, 서울시 평균인 146.1㎥/ha의 1.7배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를 바탕으로 탄소저장량과 탄소흡수량을 산정하였고, 조선왕릉의 나무가 저장하고 있는 탄소의 양을 탄소배출권 거래 시 경제적 가치로 환산한 값은 약 238억 원, 온실가스 흡수와 저장, 생물다양성 보전, 대기질 개선 등의 공익적 가치로 환산해 보면 약 541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무는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데, 조선왕릉에서 자라고 있는 나무의 탄소흡수량은 약 3만 톤으로 국민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3.1톤(2021년 기준)이니 2,272명이 1년간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주는 셈이다.   대부분이 경관림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선왕릉은 조성 당시부터 지금까지 엄격히 관리·보존되어왔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왕릉 주변은 금산(禁山)으로 정하여 함부로 드나들거나 나무를 베는 것을 엄격히 막았고, 나무를 베어서 쓴 일이 발각되면 그 죄를 엄히 다스렸다’고 한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이번 조선왕릉 수목조사에 이어, 2025년부터는 4대 궁과 종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궁궐이 지닌 생태적 가치도 밝혀낼 계획이다. 또한, 600여 년간 철저하게 보호·관리되어 온 조선왕릉이 다음 세대에도 온전히 이어지고 환경에도 기여할 수 있는 국가유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와 보존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 문화
    • 미술/건축
    2024-12-03
  • 통일부, 세송이물망초와 함께하는 힐링 콘서트…"연말에 따뜻한 위로와 추억을 선사할 것"
    [동국일보] 11월 26일(화), 통일부는 올해 마지막으로 개최될 ‘세송이물망초’ 문화행사로서 문화체육관광부, 주한캐나다 대사관, 북한인권시민연합과 공동주관으로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에서 「‘세송이물망초’와 함께하는 힐링콘서트」를 개최한다.   이번 콘서트는 ‘세송이물망초’로 상징되는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의 가족, 그리고 분단의 상황에서 사랑하는 가족과 이별한 이산가족의 아픔을 위로하고, 북한인권 문제 개선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해, 1부 ‘애향(愛鄕): 그리운 고향, 그리운 가족’과 2부 ‘소망: 언젠가 다시 만나길’을 주제로 공연이 진행된다.   1부 공연에는 가수 소향, 팝피아니스트 AEV, 소프라노 김은경이 출연할 계획이며 2부에는 소해금 연주가 최리나, 피아니스트 황상혁, 소프라노 이채원, 아코디언 연주가 이경, 가수 김소연 등 북한이탈주민 예술인들이 출연하여, 힐링이라는 공연 취지에 따른 선곡과 무대구성으로 관람객들에게 연말에 따뜻한 위로와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   이번 콘서트를 공동 주관하는 통일부·문체부·주한캐나다 대사관·북한인권시민연합에서는 김영호 통일부 장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타마라 모휘니(Tamara Mawhinney) 주한 캐나다 대사, 김석우 북한인권시민연합 이사장이 참석하여, 개회사와 환영사·축사·폐회사를 진행한다.   또한,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가족 및 이산가족, 그리고 북한이탈주민들이 초청되어 이번 무료 공연을 관람할 계획이며, EU·일본·벨기에·뉴질랜드 대사 등 여러 주한 대사관 관계자들도 참석하여 지지와 응원의 시간을 함께 할 예정이다.   통일부는 이번 콘서트가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가족 및 이산가족, 그리고 북한이탈주민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그리운 고향과 가족을 다시 만날 그 날까지 용기와 희망을 주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통일부는 작년 8월 캠프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담시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 해결을 위한 3국 정상의 의지를 확인한 이후, 장관 직속으로 「납북자대책팀」을 신설하고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북한에 납북·억류된 우리 국민들에 대한 송환 촉구 및 그 가족들의 아픔을 이해하는 노력에 우리 모두가 쉽게 동참하고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세송이물망초’ 상징을 제작·발표했으며, 이와 관련한 다양한 문화행사를 진행해 왔다.   앞으로도 통일부는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및 이산가족 문제 해결, 그리고 북한인권 문제 개선과 관련하여, 국내적인 공감대 확산 및 국제적인 연대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문화
    • 공연
    2024-11-26
  • 용호성 차관, G20 문화장관회의…"문화를 통해 전 세계와 소통할 것"
    [동국일보] 11월 8일(금), 브라질 사우바도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문화장관회의에 참석한 문화체육관광부 용호성 제1차관은 연대와 대화, 협력을 강화하는 문화의 힘을 역설하고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문화로 전 세계와 소통하고 있는 한국의 주요 문화·콘텐츠 정책을 알렸다.    또한, 11월 6일(수)부터 9일(토)까지 브라질과 유네스코 등 9개 국가·국제기구와 양자 회담을 열어 문화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2025년 한국에서 새롭게 개최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문화 분야 고위급 회의 참석과 지지를 요청했다.   용 차관은 주요 20개국(G20) 문화장관회의 기조연설에서 방탄소년단(BTS), <오징어 게임> 등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한국 콘텐츠 사례를 언급하며 “대한민국은 문화의 힘이 국가 발전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한국은 문화를 통해 전 세계와 소통하며 문화로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문화다양성 유지를 위한 다양한 예술지원 및 예술인 복지사업, 학교와 사회문화시설 예술지원 등 국민 모두가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게 하는 정책,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환경 속 균형 있는 창작자 권리 보호를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정책, 핵심 수출 상품으로서의 문화콘텐츠 육성을 위한 금융 및 해외 마케팅 지원 등을 소개했다.   주요 20개국(G20) 문화장관들은 ‘공정한 세계와 지속 가능한 지구 구현’을 주제로 환경변화에 대응한 문화의 사회경제적 역할과 영향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문화다양성과 사회적 포용 확보, 디지털 환경에서의 창작자에 대한 균형 있는 권리 보호, 문화창조산업과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 문화유산 보호·증진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사우바도르 다 바이아(Salvador da Bahia)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아울러 용호성 차관은 이번 회의 참석을 계기로 9개 국가·국제기구와의 양자 회담을 열고 문화 분야 협력 강화 방향을 논의했다.   먼저 11월 6일에는 브라질 문화부 마르가레트 메네제스 장관과 한-브라질 문화 분야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문화정책과 창조경제, 공연·시각 예술, 문화유산, 저작권, 시청각 산업 등 구체적인 분야에서 문화협력의 기틀을 마련했다.   11월 7일부터 9일까지는 유네스코, 스페인, 호주, 싱가포르, 미국, 캐나다,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의 문화 분야 장차관급 고위관계자와 양자 회담을 진행했다.   양자 회담에서는 내년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문화장관들이 참석하는 고위급 회의를 신설할 계획임을 밝히고 지지를 요청했다.    아울러, 각국과 양자 회담을 진행하며 수교 등 주요 계기 문화협력 확대 방안, 디지털 기술 환경 속 문화창조산업 협력 방향 등을 모색했다.    용 차관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는 경제에 초점을 맞춘 협의체로 그간 문화 관련 의제에 대해서는 논의한 적이 거의 없으나, 문화의 산업적 영향을 고려할 때 지금이 문화를 별도 의제로 한 장관회의 창설의 적기라고 본다.”라며, “고위급 회의의 주제는 잠정적으로 ‘디지털 시대 문화창조산업의 비전과 역할’로 생각하며, 세부 의제는 각 회원국의 다양한 우선순위와 이해관계를 고려해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회담국들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문화 분야 고위급 회의 창설을 환영하며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특히, 에르네스토 오토네 유네스코 문화 분야 사무총장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장관회의(MONDIACULT)와 연계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문화 분야 고위급 회의 창설 및 운영을 적극 지지할 것임을 밝혔다.   용호성 차관은 “주요 20개국(G20) 문화장관회의를 계기로 각국 문화 분야 고위관계자들과 만나면서 한국의 높아진 문화 위상을 체감할 수 있었다.”라며, “문화가 사회·경제 발전을 위한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지금, 내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우리나라가 문화 장관들이 참석하는 고위급 회의를 가장 먼저 신설하는 것은 시의적절하다고 본다. 이번 양자 회담을 통해 회원국들의 지지를 확인한 만큼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문화
    • 문화일반
    2024-11-15
  • 윤양수 국장,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대상 수상…"다른 콘텐츠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성장을 도모할 것"
    [동국일보]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한국게임산업협회(회장 강신철, 이하 게임산업협회)와 함께 11월 13일(수), 부산 벡스코에서 올 한 해를 빛낸 국내 게임의 성과를 축하하는 ‘2024 대한민국 게임대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올해 대상(대통령상)의 영예는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가 차지했다. 최우수상(국무총리상)은 ‘스텔라 블레이드’가, 우수상(문체부 장관상) 부문은 ‘로드나인’, ‘트릭컬 리바이브’, ‘퍼스트 디센던트’ 3개 게임이 받았다.   한화생명이(e)스포츠는 그동안 이스포츠에 보인 지속적 관심과 적극적 활동을 인정받아 ‘이스포츠발전상(문체부 장관 표창)’을, 김규철 전(前) 게임물관리위원장은 지난 3년간 게임위원장으로서 보여준 게임산업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공로상(문체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그 밖에도 ‘기술 창작상’과 ‘스타트업 기업상’, ‘바른게임환경조성기업상’ 등, 총 15개 부문에 대한 시상이 이루어졌다.   특히 인기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의 지식재산(IP)을 게임으로 확장한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는 많은 게임 이용자들의 사랑을 받아 올해 대상을 수상했다.   문체부 윤양수 콘텐츠정책국장은 “대한민국 게임산업은 게임인들의 노력 덕분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고, 이제 다른 콘텐츠 지식재산(IP)과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라며 “문체부는 앞으로도 게임 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개선해 게임산업 발전을 위한 사회적 토대를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 문화
    • 문화일반
    2024-11-15
  • 국가유산청,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유네스코 평가 '등재 권고'…"최종 결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
    [동국일보]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으로 등재 신청한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Knowledge, beliefs and practices related to jang making in the Republic of Korea)」가 5일 오전 8시(현지시간 5일 자정) 공개된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Evaluation Body)의 심사결과, ‘등재 권고’ 판정을 받았다.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는 이번에 총 58건의 대표목록 등재신청서를 심사하여 우리나라의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를 포함해 총 57건에 대해서 ‘등재’를 권고했고, 1건에 대해서는 ‘정보보완’을 권고하였다. 이번 심사 결과는 유네스코 무형유산 누리집(https://ich.unesco.org/en/19com)을 통해서 공개되었다.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이번에 ‘등재 권고’를 받게 되면서 오는 12월 2일부터 12월 7일까지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개최되는 제19차 무형유산보호 정부간위원회의 최종 결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은 22개 종목의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최종 등재되면 총 23개 종목의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된다.   한편, 북한의 「조선옷차림풍습(Custom of Korean costume: traditional knowledge, skills and social practice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도 등재를 권고 받았다.    북한은 현재 「아리랑」(2014년), 「김치담그기」(2015년), 「씨름」(2018년 / 남북공동등재), 「평양냉면」(2022년)이 등재되어 있으며, 이번에 「조선옷차림풍습」이 등재된다면 총 5개 종목의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된다.  
    • 문화
    • 문화일반
    2024-11-07
  • 국가유산청, 조선 후기 후불도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등 2건 국보 지정…日 환수 '고려 나전칠기' 보물 지정 예고
    [동국일보]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조선 후기 후불도인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와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 예고하고,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화성 용주사 감로왕도」, 「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각각 지정 예고하였다.   199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가 이번에 국보로 지정 예고된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陜川 海印寺 靈山會上圖)」는 화면 하단의 화기(畵記)를 통해 1729년(조선 영조 5)이라는 제작 연대와 의겸(義謙)을 비롯, 여성(汝性), 행종(幸宗), 민희(敏熙), 말인(抹仁) 등 화승(畵僧)들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이다. 이 가운데 제작 책임자 격인 의겸을 붓의 신선인 ‘호선(毫仙)’이라는 특별한 호칭으로 기록하여 그의 뛰어난 기량을 짐작할 수 있다.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는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석가여래가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하였는데, 가운데 석가여래는 크게 부각시키고 나머지 도상들은 하단에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작게 그려 상승감을 표현하였다. 전체적으로 조선 후기 불화의 색채를 유지하면서도 제자들의 얼굴 표현, 그리고 세부 문양에서는 조선 전기 불화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불·보살의 얼굴과 신체를 금으로 칠하고 불·보살을 포함해 모든 존상의 복식 문양을 가는 금선으로 세밀하게 표현하여 화려함을 더하는 등 뛰어난 예술성을 지녔다.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金泉 直指寺 釋迦如來三佛會圖)」는 198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가 이번에 국보로 지정 예고된 조선 후기 후불도로, 중앙의 영산회상도, 좌측의 약사여래설법도, 우측의 아미타여래설법도 3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존 삼불회도 중 3폭이 온전하게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규모가 큰 작품으로, 세관(世冠)을 비롯, 신각(神覺), 밀기(密機) 등의 화승들이 1744년(조선 영조 20) 완성해 직지사 대웅전에 봉안하였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공간적 삼불회도의 전형으로 평가받는 불화로, 장대한 크기에 수많은 등장인물을 섬세하고 유려한 필치로 장중하게 그려냈다. 3폭 모두 사방 테두리 부분에 『조상경(造像經)』에 근거한 원형의 범자문 진언을 배치하여 상징성을 부여한 점도 주목된다.   세 폭의 하단에는 제작에 참여한 화승들의 정보가 담긴 화기가 있는데, 이를 통해 직지사 화승 외에 인근 사찰의 화승들이 다수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여러 명의 화승들이 공동작업을 통해 작품을 완성하였지만 유기적인 분업과 협업을 통해 세 폭 모두 한 사람이 그린 듯 통일감이 느껴진다. 또한 화기에는 화승의 역할에 따라 차례를 구분하고 화승의 이름 뒤에는 소속 사찰이 함께 기록돼 있어 화승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螺鈿菊唐草文箱)」는 2023년 국가유산청(전 문화재청)이 일본에서 환수한 유물로, 뚜껑과 몸체, 안쪽에 공간을 분리하는 속상자로 구성되어 있다. 침엽수 계통의 나무로 만든 백골 위에 천을 바르고 그 위에 골회(骨灰)를 입혀 자개를 붙인 다음 여러 번 옻칠하여 마감하는 전형적인 고려 나전칠기 제작 방식인 목심저피법(木心紵皮法)으로 제작되었다. 표면에는 전체적으로 총 770개의 국화넝쿨무늬를 배치하였고, 부수적으로 마엽무늬(麻葉文, 원을 중심으로 한 수평, 수직, 사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 무늬), 귀갑무늬(龜甲文, 거북의 등딱지 모양을 띤 무늬), 연주무늬(連珠文, 점이나 작은 원을 구슬을 꿰맨 듯 연결하여 만든 무늬)를 사용하였다.   표면을 장식하고 있는 국화넝쿨무늬는 얇게 갈아낸 자개를 오려내어 붙인 줄음질 기법으로 표현하였고, 부속무늬로 사용된 마엽무늬와 귀갑무늬는 자개를 가늘게 잘라내 끊어가며 무늬를 표현하는 끊음질 기법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넝쿨무늬의 줄기는 황동선을 꼬아 사용하는 등 나전을 비롯한 고려 후기의 우수한 공예 기술을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존상태가 뛰어나고 나전 고유의 빛깔이 잘 남아 있으며 문양의 정교함이 돋보인다는 점에서도 높은 학술적·예술적·기술적 가치를 지녔다.   크기는 세로 18.5cm, 가로 33.0cm, 전체 높이 19.4cm로 일반적인 고려 나전칠기 경함(經函)보다는 크기가 작은 편이다. 몸체의 앞, 뒤, 옆면에는 경첩이나 금속제 못을 박았다가 빼서 패인 흔적이 남아 있어 큰 경함을 작게 개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화성 용주사 감로왕도(華城 龍珠寺 甘露王圖)」는 화기를 통해 1790년(조선 정조 14)이라는 제작 연대와 상겸(尙兼), 홍민(弘旻), 성윤(性玧), 유홍(宥弘), 법성(法性) 등 제작 화승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이다.   정조는 1789년 아버지 장헌세자(莊獻世子, 1735~1762)의 무덤을 화성으로 옮겨 현륭원(顯隆園)으로 조성하고, 명복을 빌기 위해 건립하는 사찰인 원찰(願刹)로 용주사를 창건한 뒤 이곳에서 수륙재(水陸齋)를 개최하였는데, 이 수륙재에 사용될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 바로 이 작품이다.   조성 후 대웅보전에 모셔졌던 이 작품의 상단에는 불·보살의 강림을, 하단에는 음식을 베푸는 시식(施食) 의식과 무주고혼(無主孤魂)을 배치하여 천도 의식을 통해 불·보살의 구제를 받아 망자가 천도하는 과정을 유기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화면 상단에는 지옥에 빠진 어머니를 구했다는 부처님의 10대 제자 중 하나인 목련존자(木連尊者)를 그렸는데 이는 효(孝)사상을 강조하는 유교적인 표현이다. 무엇보다 화면 하단에 그려진 죽음의 장면 중에는 18세기 풍속화를 연상시키는 여러 장면들과 당시 유행했던 소설 삽화에 영향을 받은 표현이 있어 조선 후기 불화에 미친 일반 회화의 영향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화성 용주사 감로왕도는 화면의 안정된 구도나 세부 표현 기법에서 완성도가 높으며, 18세기 후반 불화에 수용된 일반 회화의 양상만이 아니라 불교의 구제신앙과 유교의 효사상이 결합하는 양상을 보여주는 정조대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襄陽 禪林院址 出土 金銅菩薩立像)」은 2015년 강원도 양양군 선림원지의 승방터(승려들이 거주하는 곳)로 추정되는 곳에서 발굴된 작품이다. 금동보살입상이 출토된 선림원은 통일기 신라 선종(禪宗)의 요람으로, 존속 기간이 길지 않지만, 9세기 불교사에서 뚜렷한 흔적을 남긴 순응(順應, ?∼?), 염거화상(廉巨和尙, ?∼844), 홍각선사(弘覺禪師, 814∼880) 등이 머물며 그 계보를 이어간 역사적 의의가 큰 사찰이다.   이 작품은 이례적으로 광배와 대좌까지 온전히 갖춘 희귀한 사례이며, 광배를 포함한 높이가 66.7cm로, 정확한 출토지를 알 수 있는 발굴품 중에는 가장 큰 보살상이다. 엎어진 채로 발견되었는데 도금 상태로 볼 때 제작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매몰된 후 1100여 년이 지나 원래 봉안 장소에서 그대로 발견된 것으로 추정된다. 광배와 대좌 장식 일부가 떨어져 나간 상태이지만 전체적으로 도금이 거의 벗겨지지 않아 상태가 양호하다.   보살상, 광배, 대좌, 영락 심지어 정병도 각각 별도로 만들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으며, 머리카락은 남색 안료로 칠하고 얼굴의 눈썹과 눈, 콧망울, 수염, 머리카락과 이마를 경계 짓는 발제선 등을 먹으로 그려 넣었다. 또한 보살상의 얼굴에서 보이는 도드라진 윗입술 표현과 입체적인 옷주름, 천의와 낙액(絡腋) 등은 9세기 보살상의 우수한 조형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은 여러 경전에 들어 있는 참회의 방법과 내용 등을 일정한 체계로 엮은 『자비도량참법』을 후대에 다시 교정하고 정리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책이 중국에서 전래된 고려 때부터 여러 차례 간행되어 조선시대까지 많이 전파되었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에는 조선의 문신인 김수온이 쓴 발문(跋文)이 남아 있어 이 책을 찍기 위한 목판을 1474년(조선 성종 5) 세조 비 정희왕후가 돌아가신 세종과 소헌왕후, 세조와 아들 의경왕(후일 덕종), 예종, 성종 비 공혜왕후 등의 극락천도를 기원하며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481년(성종 12)에 인쇄하며 적은 발문을 통해 예종 계비 안순왕후가 양조모(養祖母)인 신숙화(辛叔和)의 처 김씨의 영가천도를 위해 펴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왕실이 발원하여 제작을 주도한 왕실판본으로, 간행과 인출 시기 및 목적까지 명확해서 가치가 있다. 현재 이 판본의 다른 불완전본이 보물로 이미 지정된 바 있는데, 이번 지정 예고 대상은 10권 5책의 완질본이고 보존상태가 우수한 선본이므로 자료적 가치가 높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국보로 지정 예고한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등 2건과 보물로 지정 예고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등 4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한 후,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와 보물로 각각 지정할 예정이다. 또한, 정부혁신과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우리 문화유산의 숨겨진 가치를 재조명하고 보다 합리적인 지정제도가 정착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 문화
    • 문화일반
    2024-10-31
  • 문화체육관광부, 한강 작가, 한국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 쾌거
    문화체육관광부 [동국일보] 문화체육관광부 유인촌 장관은 10월 11일, ‘제38회 책의 날’ 기념식에서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에게 축하와 격려의 뜻을 전했다. 유인촌 장관은 “한강 작가의 이번 수상은 한국 작가 최초이자 아시아 여성 작가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이라는 기념비적인 사건”이라며 “한국문학, 한국출판이 이룬 감격스러운 쾌거이자 국가적 경사”라고 축하했다. 한강 작가의 작품은 한국문학번역원을 통해 현재 28개의 언어로 번역, 총 76종의 책으로 출간돼 전 세계 독자와 만나고 있다. 특히 한 작가는 ’16년 부커상 국제 부문을 수상한 『채식주의자』와 프랑스 메디치상, 에밀기메 아시아문학상을 받은 『작별하지 않는다』는 작품성으로 큰 호평을 받으며, 영어, 프랑스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돼 세계 출판 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았다. 한편,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한강 작가 등단 후 국제 창작 프로그램 참가 지원(’98), 신진문학가 지원(’00), 폴란드 바르샤바대학 레지던시 참여 지원(’14) 등을 통해 신진을 거쳐 세계적인 작가로 성장하기까지 지속적으로 지원해왔다. 문체부는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을 계기로 한국문학을 전 세계에 더욱 널리 알리기 위한 지원을 이어간다. 작가들에게 안정적인 집필 환경을 제공하고자 문학 시설 상주 작가 사업과 작가 집필 공간 지원사업을 계속 추진하고 문학나눔 도서 보급 사업을 확대한다. 우수 한국문학 작품을 소개하고 이를 조명하는 비평 활성화 사업도 새롭게 시작한다. 유인촌 장관은 “이번 수상을 계기로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중심으로 인식되고 있는 만큼 문학 작가들이 마음 놓고 창작하고, 한국문학이 해외 많은 독자에게 사랑받을 수 있도록 앞으로도 계속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문화
    2024-10-28
  • 환경부, 2024 대한민국 환경사랑공모전 시상식 개최
    2024 대한민국 환경사랑공모전(사진 대상 수상작/Entanglement : 지독하게 얽히고 설키는 (이우열))[동국일보]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은 ‘2024 대한민국 환경사랑공모전’ 수상작 65점을 선정하고, 10월 25일 오후 중소기업디엠씨타워(서울 마포구 소재)에서 시상식을 개최한다. 환경사랑공모전은 자연과 환경의 소중함을 공유하고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매년 열리고 있으며,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올해 공모전 대상에는 △사진 분야에서 ‘엔탱글먼트(Entanglement) : 지독하게 얽히고 설키는(이우열 작)’이, △정크아트 분야에서 ‘알바트로스가 위험하다(박인선 작)’가, △일러스트레이션 일반부 분야에서 ‘약속으로 이루어지는 에코 빌리지(김수현 작)’가 각각 선정됐다. 사진 분야 대상인 ‘‘엔탱글먼트(Entanglement) : 지독하게 얽히고 설키는’은 오염되는 환경에 대한 안타까움을 고발하고자 하는 의도를 잘 전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지구와 환경, 동물과 인간, 생태 문제 등 우리 주변의 중요한 환경문제를 상기시켰다. 정크아트 분야 대상인 ‘알바트로스가 위험하다’는 폐농기계부품, 폐산업자재 등으로 알바트로스의 형상을 만들어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역동적으로 표현해 버려진 고철에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부여했다. 일러스트레이션 일반부 분야 대상인 ‘약속으로 이루어지는 에코 빌리지’는 다회용기 사용과 물 절약 등 환경보존을 위한 실생활 속 행동으로 환경을 보존하자는 주제를 표현해 주목받았다. 일러스트레이션 학생부 최고상인 금상에는 중·고등분야 ‘푸른 그리움(이지민 작)’과 초등분야 ‘지구는 쓰레기더미가 되어가고 있습니다(최겨울 작)이 선정됐다.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 일반부 분야 대상에는 각 400만 원, 정크아트 분야 대상에는 700만 원의 상금 및 환경부 장관상, 분야별 금상 이하 수상자에게는 상금과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상이 수여된다. 안병옥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이번 공모전에서는 인간과 환경이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에 대한 주제를 전달한 작품들이 우수작으로 선정됐다”라며, “수상 작품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국민과 환경을 위한 교육 자료와 소통의 매개체로 활용하겠다”라고 밝혔다.
    • 문화
    2024-10-24
  • 국가유산청, 멕시코·페루의 연구자들과 풀어보는 고대 왕릉 이야기
    [동국일보]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국제기구인 세계문화유산보존복구연구센터(ICCROM, 사무총장 아루나 프란체스카 마리아 구즈랄(Aruna Francesca Maria Gujral))와 함께 10월 29일과 30일 이틀간, 한국문화의집 KOUS(서울 강남구)와 올림픽파크텔(서울 송파구)에서 '세계의 고고학 : 고대의 왕릉'을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해 국립문화유산연구원과 이크롬이 문화유산 보존 관리를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세계의 고대 왕릉 조사연구 사례를 통해 우리의 고분 조사와 보존정책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문화유산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환기하고자 마련됐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첫째 날(10월 29일) 행사에서는 최태성 모두의별★별 한국사 연구소장의 사회로, 3개의 주제발표(1부)와 학술대담(2부)이 펼쳐진다. 1부에서는 페루의 시판 무덤의 조사 현황과 연구 성과를 살펴보는 ‘최신 시판 무덤에서 얻은 새로운 통찰력과 그 문화적 영향’(세이라 파사페라 로하스, 우아카 라자다 시판 박물관), 멕시코 파칼 무덤의 보존 노력을 살펴보는 ‘파칼 무덤의 보존상태에 대한 최근 분석’(아이데 오레아 마가냐, 국립인류학역사연구소 치아파스 센터), 한국의 고대 고분의 단계적 변화와 거대 왕릉이 탄생하는 과정을 알 수 있는 ‘한국 고대 고분의 전개와 신라 마립간시기 왕릉’(최병현, 숭실대학교 명예교수)까지 페루, 멕시코, 한국의 대표적인 고대 왕릉을 조사한 전문가 3인이 강연을 진행한다. 2부에서는 1부에서 소개된 유적에 대해 사회자와 발표자가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는 학술대담이 이어진다. 고고학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튿날(10월 30일) 행사에서는 첫째 날에 소개된 페루 시판 유적과 멕시코 팔렌케 유적의 파칼 무덤에 대한 발표 내용을 더욱 심도 있게 분석하고, 고고유산의 보존 관리를 위한 이크롬 전문가들의 다양한 설명과 접근 방식에 대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주제발표 후에는 강봉원 경주대 교수와 이성주 경북대 교수를 중심으로, 국제적 관점에서 고대 왕릉의 조사 방안과 보존정책, 21세기 고대 왕릉의 역할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행사는 별도의 절차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 중계도 함께 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세계 중요 문화유산의 조사연구 및 보존 사례를 통해 우리 국가유산의 가치를 조명하고 미래 방향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이크롬과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한국의 문화유산이 세계적인 관심 속에서 조사되고 보존,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 문화
    2024-10-24
  • 국가유산청, 다가오는 연말에도 전국 각지에서 국가무형유산 공개·기획행사 즐겨요
    기획행사 – 가야금산조 및 병창(보유자 강정열)[동국일보] 국가유산청은 국가유산진흥원과 다가오는 11월과 12월에 전국 각지와 해외에서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와 '전승자 주관 기획행사'를 개최한다.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는 무형유산의 대중화를 위해 전승자들이 직접 자신의 기량을 공개하는 행사이다. 먼저, 전북 익산지역에서 전승되는 기악곡인 '이리향제줄풍류'(국가무형유산 통합전수교육관 실내공연장)를 시작으로, 서울 종로구에서는 국가무형유산 지정 60주년 기념 '남사당놀이'(운현궁) 행사가 개최될 예정이며, 경남 합천군에서는 불상 등을 봉안하기 전 예배 대상으로서 상징성을 갖도록 의미를 부여하는 불교 의례인 '불복장작법'(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홍제암)을 만나볼 수 있다. 또한, 경기 남양주시에서는 '대목장'(중요무형유산전수회관), 경남 양산시에서는 궁중 잔치에서 쓰인 꽃장식인'궁중채화'(한국궁중꽃박물관) 종목의 시연과 전시가 각각 개최되어 국가무형유산이 지닌 각양각색의 매력을 만나볼 수 있을 예정이다. '전승자 주관 기획행사'는 전승자가 자유롭게 기획하는 무형유산 공연과 전시로, 서울 강남구에서는 발에 탈을 쓰고 노는 놀이인 '발탈'(민속극장 풍류)이 진행될 예정이며, 경기 수원시에서는 마을의 평화와 풍년을 목적으로 행해지는 굿인 '경기도도당굿'(고색동 코잡이놀이 및 도당)이, 충남 당진시에서는 재앙을 막고 풍년을 기원하는 농경의식인 '기지시줄다리기'(틀못광장) 행사가 진행된다. 또한, 전북 전주시에서는 '가야금산조 및 병창'(우진문화공간), 광주 남구에서는 '판소리'(빛고을아트스페이스 소극장) 등 예능 종목 공연도 만나볼 수 있으며, 서울 종로구에서는 올해 마지막 기획행사로 '불화장'(서울 갤러리 라메르)의 전시를 만나볼 수 있다. 이 외에도, 진주지역에서 전승되는 여성검무인 '진주검무'(진주 대곡초등학교) 등 4개 종목의 ‘찾아가는 무형유산 행사’가 개최되며, 국경을 넘어 세계 곳곳에서 국가무형유산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해외행사로 '동래야류'(인도네시아 솔로시티)와 '평택농악'(일본 시로야마 공원) 등 2건이 진행된다.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와 전승자 주관 기획행사의 상세일정은 국가유산청 누리집을 확인하거나, 국가유산진흥원으로 문의하면 일정, 장소 등을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2024년 한 해 동안 다양한 종목의 전승자들과 국내외에서 우리 국가무형유산의 가치와 명맥을 잇기 위해 노력해온 만큼, 다가오는 2025년에도 모두가 함께 누릴 수 있는 다채로운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를 기획하여 국민들의 무형유산 향유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적극행정을 실천해 나가고자 한다.
    • 문화
    2024-10-24
  • 문화체육관광부, ‘2024 한국문화 큰잔치’ 한국을 사랑하는 열정 한자리에 모인다
    ‘2024 한국문화 큰잔치’ 포스터[동국일보] 한국을 사랑하는 열정으로 전 세계에 한국의 멋과 아름다움을 알려온 외국인 홍보활동가들과 창작자들이 한국에 모여 큰 잔치를 벌인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1월 2일, 예스24 라이브홀에서 ‘2024 한국문화 큰잔치(2024 K-Wave Festival)’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코리아넷과 케이 커뮤니티 페스티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전 세계에 생중계하며, 특히 올해는 일반 관객 참여도 늘려 수상자들의 자부심과 긍지를 더욱 높인다. 1부 ‘케이 크리에이터즈 어워즈(K-Creators Awards)’에서는 올해 기사와 영상을 통해 한국을 세계에 알린 ‘코리아넷 명예기자단(Korea.net Honorary Reporters)’과 ‘케이 인플루언서(K-influencer)’ 우수 활동자, 국제 콘텐츠 공모전 ‘토크토크 코리아 2024(Talk Talk Korea 2024)’ 분야별 최우수작에 대한 시상을 한다. 2부에서는 한류동호회와 함께하는 한국문화 함께 잇기 ‘케이 커뮤니티 챌린지(K-Community Challenge)’의 분야별 우승팀을 시상한다. 올해 수상자로는 ▴‘코리아넷 명예기자’ 우수 활동자 부문에서는 국내 숨은 명소를 직접 방문해 깊이 있고 입체감 있는 기사를 작성한 동티모르의 프랭키 라미로 드 지저스(Frenky Ramiro de Jesus) 씨 등 5명을, ▴‘케이 인플루언서’ 우수 활동자 부문에서는 한국 거리 걷기, 한국 메이크업 받기 등 예능 형식으로 한국문화를 흥미롭게 소개하는 영상을 제작해 한국의 매력을 담아낸 태국의 아이야팟 완카위산트(Aiyaphat Wankawisant) 씨 등 5개 팀을 선정했다. ‘토크토크 코리아 2024’ 부문에서는 한국인이 통화 시 자주 사용하는 대화나 특징을 잘 살려 영상으로 재치 있게 표현한 인도의 가히르(Gahir) 씨(밈&트렌드 분야) 등 5명이 상을 받는다. ‘케이 커뮤니티 챌린지’ 부문에서는 (조선팝) 아르헨티나의 ‘엑스플로드(XPLODE)’, (소고춤) 스페인의 ‘더 무빙 스톤즈(The Moving Stones)’, (태권무) 나이지리아의 ‘셀레스티얼스테퍼스(Celestialsteppers)’, (한식) 필리핀의 ‘저고릴스(JeogoREELS)’ 등, 총 4개 동호회가 분야별로 우승했다. 아울러 이번 행사에서는 우승팀들과 케이팝 가수들의 특별한 무대도 만나볼 수 있다. ‘토크토크 코리아 2024’는 올해 처음 공식 주제가(Shining on you)를 제작·발표하고 5개 분야별 공모전 외에 주제가 창작 안무를 공모해 우승자로 러시아의 루미넌스(LUMINANCE) 팀을 선정했다. 러시아의 루미넌스(LUMINANCE) 팀은 ‘토크토크 코리아 2024’ 주제가와 함께 창작 안무 공연으로 행사의 시작을 알리고 ‘케이 커뮤니티 챌린지’ 우승팀과 ‘케이 커뮤니티 챌린지’ 강습 영상에 함께한 공모 분야별 예술인들이 합동공연을 펼친다. ‘토크토크 코리아 2024’의 홍보모델인 우아(WOOAH)를 비롯해 이펙스(EPEX), 베베(BEBE), 에스에프나인(SF9) 등 케이팝 가수들의 축하공연도 이어진다. ‘코리아넷 명예기자단’과 ‘케이 인플루언서’ 우수 활동자, ‘토크토크 코리아 2024’ 최우수 수상자는 우승자 특전으로 8박 9일간 경복궁과 북촌 한옥마을, 단양의 도담상봉, 고수동굴 등 지역관광명소를 방문하고 한국문화를 체험할 예정이다. 유인촌 장관은 “외국인 홍보활동가와 창작자들의 열정과 노력으로 한국문화가 전 세계에 많이 알려졌다. 이들이 보여준 한국문화에 대한 애정과 창의성에 감탄했다.”라며, “앞으로도 한국문화가 세계에서 빛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 문화
    2024-10-24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