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핫이슈 검색결과

  • 진성닷컴 에코캐치 포충기로 효과적인 아파트관리 솔루션 제안
    진성닷컴 상설매장[동국일보]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유해세균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의 출현은 한층 더 강화된 방역체계를 요구하게 됐으며 건강하고 위생적인 실내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고 있다. 꾸준한 연구개발과 전문적인 관리 서비스로 완벽한 처리능력을 자랑하며 30년간 꾸준히 높은 인지도를 유지해오고 있는 진성닷컴(대표 이진성)에서 효과적인 아파트관리 솔루션을 제안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파리, 모기 등 비래해충들은 복도와 엘리베이터를 통해 쉽게 아파트 실내공간으로 침투하게 되므로 이들 해충들의 침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파트 엘리베이터 입구에 설치 사례 이를 위해 각 아파트의 지하주차장, 엘리베이터 앞 공간이나 아파트 출입문 입구에 진성닷컴의 ‘에코캐치 전자동 포충기’를 설치한다면, 엘리베이터를 통한 해충들의 아파트 실내공간 침투를 원천적인 봉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포충기에서 분사되는 항균제, 방향제로 바이러스와 세균, 냄새까지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에코캐치 홈 포충기는 가정용 포충기로 가정에서 많이 발생하는 초파리, 포획력을 향상시켰으며 최근에는 반려동물의 생명을 위협하는 심장사상충이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가정용 포충기 설치 사례 중간 매개체인 모기에 의해 반려동물에게 감염전파 되는데 심장사상충이 발견되면 약물치료가 가능하지만 치료시기가 늦어지면 폐사할 위험이 크다. 요즘 아파트는 지상보다 지하주자창을 통해 입주민이 아파트 실내공간으로 출입하므로 세균 등이 자주 발생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역시 해충들이 서식하기 쉬운 환경 조건이다. 에코캐치 전자동 포충기는 이와 같은 냄새 제거나 해충방제 문제들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제품으로 손꼽힌다. 건설사에서는 분양 시 다른 옵션, 제품보다 분양률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에코캐치 전자동 포충기(해충 퇴치기)를 설치하여 해마다 상당수의 미분양 아파트들이 속출하여 시공사들이 분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에코캐치 전자동 포충기 설치로 분양아파트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진성닷컴의 HACCP 위생관리, 해충방제(포충기 제조 렌탈)사업은 30년 오랜 기간 축적된 기술적 노하우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 최초 음성 자동(AI)기반 교체시스템 방식으로 포충기의 효과적인 솔루션을 가지고 있다. 2022년 대한민국 유망기업 대상과 2021년에는 대한 노인회 노인 지원 재단에 노인복지후원 업무 협약 체결과 해충 퇴치기 에코캐치 384대(약 3,000만 원)를 기증했다. 2019년에도 이진성 대표 고향인 충복 영동군청을 방문하여 포충기와 살균 소독제를 기부했다고 한다. 이 대표는 경기도 시흥시에 방역제품 전문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평생교육 사업을 통한 전국 노인복지일자리 창출, 경로당, 취약계층, 유아복지 등 건강한 삶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후원을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 위 이미지 클릭시 진성닷컴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핫이슈
    • 경제
    2023-03-21
  • 캐스팅엔 업무마켓9 직원 생일, 직원 기념일 관리 서비스 출시
    업무마켓9 기념일관리서비스 문의 1644-2653[동국일보] 캐스팅엔 업무마켓9은 직원 생일과 기념일을 쉽게 관리하고 축하하는 서비스 ‘업무마켓9 – 기념일 서비스’을 출시했다. ‘업무마켓9 - 기념일 서비스’는 직원들의 생일과 기념일을 한 곳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로, 기존 담당자의 엑셀 기록과 실행에 의존했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화 솔루션이다. 서비스를 활용하면 직원 생일과 기념일 관리에 들어가는 작업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100인 이상의 직원 관리 담당자라고 해도 혼자서도 손쉽게 직원들의 생일 및 각종 기념일을 성공적으로 관리하며 고품질의 복리후생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생일, 입사기념일, 창립기념일, 승인 축하, 자녀 출산, 입학, 직원 부모님 팔순 등의 기념일들을 한 번 등록하기만 하면, 직원들의 생일과 기념일을 캘린더 형태로 관리부터 D-day 알림까지 가능하다. 업무마켓9 기념일 등록화면 또한, 직원들이 직접 자신의 생일과 기념일을 기록할 수 있고 필요한 채널에 공유하는 기능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기념일과 함께 보낼 수 있는 축하 메시지나 선물 선택을 돕는 큐레이션 추천 기능도 제공하기 있어, 담당자의 업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만들어 준다. 업무마켓9 예약발송 설정화면 한편 이번 출시된 ‘기념일 서비스’는 업무마켓9에서만 진행 가능한 솔루션으로, 모든 업무마켓9 회원들에게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 위 이미지 클릭시 업무마켓9 안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핫이슈
    • 경제
    2023-03-20
  • 해학과 눈물 속에 치매를 풀어내는 新마당극 ‘청아! 청아! 심청아!’
    新마당극 ‘청아! 청아! 심청아!’[동국일보] 마당극으로 풀어낸 치매 이야기 ‘청아! 청아! 심청아!’가 06월 01일 인천서구문화회관 대극장 무대에 오른다. 치매 인식개선을 위해 극단 소원이 제작한 ‘청아! 청아! 심청아!’는 코로나19 해제의 분위기 속에서 관객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마당극 형식의 치매공감 문화공연이다. 우리의 전통 설화인 심청전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이 작품은 뺑덕이에게 홀려 심청을 쫓아낸 후 재산을 빼앗기고 치매까지 걸리게 된 심봉사가 알거지 신세로 떠돌다가 다시 만난 심청이의 보살핌을 받는다는 내용이다. 특히 뺑덕에 의해 심봉사가 알코올성 치매에 이르게 되는 내용 등이 실감 나게 묘사되는 등 생활 속에서 치매 예방을 위해 경계해야 하는 지식들을 공연을 즐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다. 이번 공연의 기획과 극본을 맡은 최재민은 국내에서 '치매 전문 극작가'로 알려진 작가다. 치매 환자가 있는 가족의 갈등과 화해를 따스하게 그려낸 연극 ‘아부지(我不知)’. 치매에 걸려서도 여전히 자식을 걱정하는 아버지의 사랑을 깨닫게 하는 뮤지컬 ‘마중’, 상상 속 마을인 기억의 마을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통해 치매 환자 역시 우리와 다르지 않은 사람임을 드러낸 연극 ‘기억해줄래요?’ 등이 모두 최 작가의 작품이다. 그는 이번 공연 ‘청아! 청아! 심청아!’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전래설화인 심청전의 틀을 빌린 마당극 형식으로 관객들이 함께 웃고 우는 가운데, 치매의 위험성은 물론 치매환자를 보살피는 가족의 역할을 보여준다. 한편 이번 공연은 우리의 전통적 정서를 완성도 높은 특유의 마당극 형식으로 풀어내며 존재감을 극단 미추에서 관록을 쌓아온 서상희 배우가 직접 연출을 맡아 화제를 모으고 있다. 서상희 연출은 " 지금까지는 치매를 주제로 한 공연들이 주로 관객이 일방적으로 관람하는 형태였다면, 이번 공연은 관객과 배우가 어울려 호흡하며 함께 치매를 생각해보는 그야말로 주객이 일치되는 모습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서상희 배우와 함께 미추에서 연기를 이어왔던 장덕주 배우는 ”이번 작품에서 말뚝이역을 맡았는데, 심청전이라는 전통 소재에 치매라는 주제를 결합한 독특한 작품이 관객들에게는 재미와 함께 치매 환자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할 것 같아 기대가된다.“ 고 밝혔다. 심청 역에는 [강지원,양시은]. 심봉사 역에는 [권혁준,신재성], 뺑덕 역에는 [윤설아,안주영], 그리고 유용범, 장덕주, 김류하. 장서우 등이 출연한다. 치매 인식개선에 기여하고 있는 인천 서구치매안심센터 초청공연을 시작으로 전국을 순회하게 될 이 작품의 공연 초대 문의는 ㈜제이예스엔터테인먼트(02-749-3175)로 하면 된다.
    • 핫이슈
    • 사회
    2023-03-20
  • 24일 제2회 사용자중심 인공지능 (UCAI) 포럼 세미나 부산 개최
    제2회 사용자중심 인공지능 (UCAI) 포럼 세미나 부산 개최[동국일보] 사용자중심인공지능(UCAI: User Centric Artificial Intelligence)은 사용자 중심의 목적을 달성하는, 사용자 중심으로 통합된, 사용자 정보를 보호하는 인공지능을 의미하며, 기존의 공급자 중심, 특히 빅테크 중심의 인공지능 개발에 의한 독점과 격차의 심화 문제를 해소하고, 자동차, 컴퓨터, 미디어가 큰 기업과 조직의 소유물에서 개인의 소유물로 발전해온 것처럼, 인공지능의 소유, 개발 및 활용을 모든 이해관계자, 즉 사용자에게 주고자 하는 거대한 사회적 비전이자 실천과제다. 이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UCAI, 다시 말해, 사용자가 데이터 주권을 가지고 자신의 의지로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보호하는 인공지능이 그 해답이 될 수 있다. UCAI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무리하게 수집 통합하지 않아도 인공지능을 개발할 수 있게 하는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 기법, 사용자가 자신의 목적을 설정하면 사용자의 상태를 수시로 측정하여 사용자의 상태가 향상되는 방향으로 적절한 행동을 추천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 미(Digital Me) 알고리듬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사용자 중심으로 통합하여 공유하는 플랫폼이 각 분야에서 발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월 30일 창립 세미나를 가진, UCAI포럼이 3월 24일에는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 5층에서 제2회 포럼을 개최한다. UCAI포럼과 사단법인 부산디지털 혁신 네트워크가 공동 개최하고, 한국경영학회, 한국경영정보학회, 부산정보산업 진흥원이 공동주관하는 이번 부산 세미나에서는, 금융, 유통, 의료 등 산업에 이미 활용되고 있는 사용자중심 인공지능 접근방법을 소개하고, 세계 각국의 동향도 검토한다. 제2회 사용자중심 인공지능 (UCAI) 포럼 세미나 일정 행사는 UCAI 포럼 사무총장인 서울디지털재단 강요식 이사장의 사회로 진행되며, UCAI 포럼 의장인 박경양 하렉스인포텍 대표의 개회사, UCAI 포럼 정책위원장인 최형림 부산디지털혁신네트워크 이사장의 환영사, 박형준 부산광역시 시장의 축사, 김재구 한국경영학회 회장의 축사, 김종원 한국경영 정보학회 회장의 축사, '현대 인공지능 아버지'라 불리는 위르겐 슈미트후버 스위스 루가노대학 교수의 축사 등이 이어질 예정이다. 메인 세션에서는 前 울산시 부시장인 조원경 UNIST 교수의 "울산 UCAI 추진비전" 제하의 강연과UCAI 포럼 연구소장인 이경전 경희대학교 교수의 "ChatGPT 혁명과 UCAI로 발생하는 새로운 사업기회" 제하의 강연이 이어질 예정이다. 이경전 교수는 미국 인공지능학회의 혁신적인 인공지능응용상을 3회(1995년, 1997년, 2020년) 수상했으며, 사용자중심 인공지능의 개념을 정립한 우리나라의 권위있는 AI분야 최고의 전문가이다. 이어 양문호 하렉스인포텍 부사장의 "소상공인을 위한 UCAI 적용사례 - 울산페달" , 미국 Consilient사의 "부산 금융산업에서의 UCAI 적용 방안 - 돈세탁, 피싱 등 금융범죄 방지 중심으로", 감진규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 부센터장의 "병원과 시민 중심의 의료 AI 기술 동향" 제하 의 발표가 이어진다. 모든 발표가 끝난 이후에는 최형림 부산디지털혁신네트워크 공동이사장의 사회로 패널토론이 진행된다. 패널리스트로는 박경양 UCAI 포럼 공동의장, 강요식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 이경전 경희대 교수, 이상봉 부산디지털혁신네트워크 공동이사장, 정석찬 인공지능그랜드ICT연구센터장 (동의대 교수)이 참여한다. 포럼 공동의장이며 “현대 인공지능의 아버지(The Father of Modern AI)”라 불리는 위르겐 슈미트후버(Jürgen Schmidhuber) 교수는 인공지능 딥러닝의 중요한 모델중 하나인 LSTM(장단기 기억 모델)을 창시한 업적으로, 스위스 루가노대학 교수와 사우디아라비아의 KAUST 교수직을 겸직하고 있다. MIT Technology Review 등 각종 전문 미디어로부터 현대 인공지능의 아버지로 여러 번 언급되고, 미국 블룸버그로부터는 인공지능계의 대부(God Father)로 언급된 바 있다. 사용자중심 인공지능 포럼 비전 선언문 위르겐 슈미트후버 교수는 일부 대기업이나 빅테크가 인공지능을 소유하는 것이 아닌, 모든 개인이 인공지능을 소유하는 이른바 'AI for ALL '이라는 개념을 주창해왔는데, 그의 주장이 이번 한국에서 주도적으로 결성된 글로벌 포럼인 UCAI 포럼의 비전과 일치하여, 본 포럼의 공동의장을 맡게 됐다. 포럼 공동의장인 박경양 하렉스인포텍 대표는 ‘사용자중심인공지능의 글로벌 확산 동향’을 중심으로 한 개회사를 할 예정이다. 박 공동의장은 UCAI포럼의 상임대표로 최근 '사용자중심 AI'의 개념을 정립하고, 초개인화 인공지능 서비스로 모든 사용자와 사업자가 가치를 증대하고 전 세계 지역의 구분이 없는 새로운 경제질서의 구축을 주장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UAE 정부와 다양한 분야의 시민 중심의 인공지능 초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MOU를 체결한 바 있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 및 재무부 테러금융 차관보를 역임한 후안 자라테가 설립한 컨실리언트(Consilient)는 AI 공유방식에 기반한 국가간 자금세탁 방지 및 테러자금조달 방지(AML/CFT) 최신동향을 발표한다. 현재의 테러 자금 조달 방지 및 자금 세탁 방지 시스템은 각 나라가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그 효과성과 효율성이 모두 떨어지는 방식이라고 지적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나라가 자금 이체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을 생각해볼수 있으나, 각 나라의 법률과 개인정보 보호, 그리고 방대한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 자체의 불가능성으로 인해 데이터나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AI 공유 방식, 기술적으로는 연합 기계 학습 방식으로, 각 은행이나 국가들이 서로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고 테러 자금 조달 방지 및 자금 세탁 방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경전 경희대 교수는 챗GPT와 GPT-4등 생성AI의 동향을 설명하면서, 이러한 대화형 AI가 사용자 중심 인공지능과 결합하여 어떤 새로운 사업기회와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소개한다. UCAI 포럼 관계자는 제2회 UCAI 포럼 부산 세미나가 한국 최고의 웰빙 도시 부산에서 개최되어 기쁘다면서, 현재 UAE, 아프리카 등으로 확산되고 있는 사용자중심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과 준비가 국내에서도 널리 확산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본 포럼을 부산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또한, “부울경 지역의 뜻있는 여러 단체와 기업, 개인이 모여 사용자 중심 인공지능에 대해 논의하고, 금융, 유통, 제조, 헬스케어, 관광 등 다양한 산업 및 정책 분야 전문가들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 ▲ 위 이미지 클릭시 제2회 사용자중심 인공지능 (UCAI) 포럼 세미나 안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핫이슈
    • 사회
    2023-03-20
  • 평택 부동산 시장 무조건 집중해야 하는 이유, 부동산 매칭플랫폼 분양7번가 심층 분석!!!
    삼성평택캠퍼스 외부사진[동국일보] 부동산규제지역해제가 됐지만 부동산의 열기가 좀처럼 올라오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택 지역에서도 꼭 주목해야할 고덕신도시가 있다. 그 이유는 잘 알다시피 삼성전자 평택 캠퍼스가 있기 때문이다. 2017년 평택 캠퍼스1공장이 준공되면서 인구 증가 및 인프라가 하나 하나씩 갖추어 가고 있으며 현재도 삼성전자는 계속해서 4공장의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평택은 2032년까지 계속해서 건설 관련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다. 현재도 삼성전자 캠퍼스 공장 부근 고덕에는 상권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만약 계속해서 일자리가 증가되고 소비인력이 늘어나게 된다면 이 분들이 생활하고 거주하는 곳이 평택에서 가장 핫 한 곳 인기있는 지역으로 눈여겨볼 곳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현재 평택의 인구는 22년7월 기준으로 57만명인데 2040년까지 120만명을 예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다소 조용했던 수도권 도시였다면 최근에는 대규모 산업단지가 들어서면서 수도권을 대표하는 산업과 주거가 결합한 도시로 거듭났다는 점이다. 대규모 산업단지 주변으로 아파트가 들어서기도 하며, 이를 중심으로 상업지구와 학교, 교통까지 생기며 도시의 질적·양적 성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평택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공장인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비롯해 경기도 최대의 일반산업단지로 조성 중인 브레인시티(예정), 평택 포승(BIX)지구 등 대규모 산업단지가 밀집한 곳이다. 이런 가운데 산업단지 수혜를 받는 대표 도시인 평택에 공급되는 신규 아파트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분양 업계에 따르면 오는 3월 경기도 평택 고덕신도시에서 평택도시공사가 시행하고 GS건설 컨소시엄이 시공하는 민간참여 공공분양 아파트 ‘고덕자이 센트로’가 공급될 예정이다. ‘고덕자이 센트로’는 주변으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브레인시티 등이 가까이 자리해 고덕신도시 내 지속적인 인구 유입으로 탄탄한 수요층이 예상된다. 청약에서도 평택과 경기 지역은 물론, 전국 청약이 가능한 만큼 많은 수요자가 몰릴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얼마전 평택은 대방, 대광 건설의 아파트 분양에서 굉장한 경쟁률로 인해 이슈가 되기도 했다. MZ세대 인구 비율이 높은 도시의 특징은 다양한 일자리로 직주근접형 도시이거나 다양한 교통망을 통해 수도권 이동이 편리한 여건을 갖추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미래가치 또한 높게 평가받고 있다. 특히 예정된 개발 호재와 일자리 창출이 본격화될 경우 MZ세대 유입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평택시 전체 인구 가운데 MZ세대 비율은 28.87%다. SRT 지제역을 복합환승센터로 구축해 트리플 역세권을 구축할 예정이다. 2028년 개통 예정인 GTX-C 노선으로 수도권 남부 교통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서해안 고속도로 및 경부고속도로 이용으로 광역적 접근성도 우수하다. 삼성전자의 450조(국내 360조) 대규모 투자로 평택 캠퍼스는 2023년 3라인 가동 예정 및 4라인 착공 예정돼 있다. 경기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일반산업단지인 평택 브레인시티의 개발 사업과 평택 가재지구 도시개발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전세계적으로 가장 큰 미군기지가 평택에 위치하고 있고 또 용산에 있는 합참 본부 미군기지 역시 평택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미군기지 및 합참 본부가 평택에 있다면 앞으로 평택은 엄청나게 개발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정부가 미군기지가 이전한 경기 평택에 올해 1조3000억원이 넘는 예산을 쏟아붓는다.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평택지역개발계획 2023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17개 사업에 1조3491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주한미군기지가 자리 잡은 평택을 지원하기 위해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17년간 총 80개 사업에 22조647억원을 투자했다. 정부는 아울러 평택호 관광단지 조성(1817억원)과 고덕국제화계획지구 및 산업단지 조성(7994억원) 등 도시기능 강화를 위한 체계적 집적단지 조성을 위한 사업에도 9811억원을 투입한다. 반도체 하면 전세계적으로 가장 큰 삼성반도체 평택이며, 전세계에서 가장 큰 미군기지 역시 평택에 있다. 서평택은 신항만이 될 것이며 이런 부분을 보았을 때 평택은 앞으로 계속 발전을 하고 기대가 되는 도시라고 할 수 있다. 평택부동산연합회 회장 및 분양7번가 평택지점장 김상하 대표 평택부동산연합회 회장 및 분양7번가 평택지점장을 맡고 있는 김상하 대표에 따르면, “산업단지가 들어서면 자연스럽게 인구가 몰려들고, 교통망도 개선되면서 도시의 주거 환경이 좋아질 수밖에 없다. 부동산 시장도 활성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주택 수요도 꾸준히 나타나 가격 면에서도 경쟁력을 보이고 이런 가운데 산업단지 수혜를 받는 대표 도시인 평택에 공급되는 신규 아파트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젊은 세대의 경우 부동산 투자를 통해 돈을 불리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대부분 자금 여력이 부족해 경기도 외곽에 위치하더라도 교통이 용이한 곳으로 주로 몰린다"면서 "대기업을 품고 있는 지역의 경우 상대적으로 일자리가 많고 향후 개발 가능성이 높아 미래가치를 보고 젊은 세대들이 지역을 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며 "직주근접, 서울 접근성, 생활인프라 모두 갖추고 있는 평택은 MZ세대들의 내 집 마련의 최적지라고 할 수 있다"며 "예정된 개발호재들이 마무리돼 일자리창출이 본격화된다면 MZ세대 인구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또한 평택 고덕신도시는 최근에 가장 주목받고 큰 성장을 이룬 도시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 10년동안 보면 조성된 택지지구만 해도 10개 이상이 되고 있고 발전이 되기 전 모습과 현재의 모습을 살펴보면 정말 다른 도시로 변화가 된 것을 볼 수가 있으며,계속해서 발전하는 평택에 많은 부동산 공급물량으로 인해 평택 부동산 시장이 술렁이기도 했지만 그렇게 많은 공급 물량들을 모두 소화하고 현재도 계속해서 발전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평택은 앞으로 실거주를 하면서 가지고 갈 만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고 투자를 할 때에는 입지를 먼저 생각하고 발전하고 있는 지역에서 좋은 입지의 아파트나 상가, 오피스텔은 결국 우상향 할 수밖에 없다며 견해를 전했다. 3월에 런칭한 분양7번가 플랫폼을 통해서 구인, 구직, 분양 및 협력사 매칭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분양시장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분양7번가 평택지점의 역할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 핫이슈
    • 경제
    2023-03-15
  • ㈜에이스무역 이복용 대표 이태리 밀라노 대표 디자이너 안나 질리와 콜라보
    [동국일보] 와인 철부지 외길 인생. 인생을 와인과 함께 살아온 이복용 대표는 70년대 통기타 전성시절 (주)애플와인 파라다이스에 입사를 한 후 젊음의 상징인 유명 와인바 오비스캐빈, 선로즈, 무랑루즈, 그린골드 등에서 와인을 알리기 위해 뛰었던 우리나라 와인 개척 초창기 맴버 중 한사람이다. 특이한 이력으로는 88올림픽 당시 올림픽 선수촌에 “위하여”라는 로컬 와인 부스를 설치. 세계의 선수들에게 우리나라 와인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 앞장섰으며, 90년대 일본의 한국 관광이 붐일때에도, 한국은 여전한 반일감정으로 일본 제품 수입은 생각조차 못 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복용 대표는 일본의 대표 맥주라 할 수 있는‘기린맥주’를 들여와 론칭 후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세계적 와인 300여 종을 수입하여 호텔 및 유명 백화점에 입점시키는 등 와인의 불모지였던 한국의 시장을 발전시켜온 사람이다. 이런 노력의 결과, 이복용 대표는 1994년 권위 있는 프랑스 부르고뉴(Bourgogne)지역 협회에서 거행하는 행사에 초대되어 세계 각국의 선발된 사람들과 나란히 와인 기사 작위 따스트방을 제정 받았다. 또한 국내 주류의 양대 거목 두산의 ‘윈저’와, 진로의 ‘임페리얼’의 거대 위스키 시장에“영 위스키 마켓 ”이라는 새로운 틈새시장을 만들어‘J&B JET’를 젊은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위스키로 만든 장본인이기도 하다.  이에 2004년 납세자의 날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고건 국무총리 표창장까지 받기도 했다. ㈜동아제약 계열사 ㈜수석무역의 대표이사로 재직 시 그의 탁월한 리더십은, 취임 시 매출 50억에서 퇴임 시 800억을 돌파하는 신화를 만들기도 했다, 이런 경험을 토대로 그는 2014년 수입주류 회사 ㈜에이스무역을 설립, 세계 각지의 유명 와인과 보드카를 직수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사옥 2층 80평에는 와인 직매장을 만들어 그동안 쌓아온 노하우를 아끼지 않고 컨설팅 하는 등 진정한 와인의 키 맨 역할을 해나가고 있다. 이복용 대표의 와인 사랑은 이에 그치지 않고, 2022년에는 이태리 밀라노의 대표 디자이너 안나 질리(Anna Gili)의 라이센스 에이전시 ㈜드림보이와의 협업도 체결했다. 그녀는 이태리 인테리어, 주방 명품 브랜드 알레시(ALESSI)와의 콜라보로 전세계에서 사랑을 받는 와인 오프너 ‘안나 G(Anna G)’의 실제 모델이기도 하다. 특히 이번에 출시되는 와인은 안나 질리(Anna Gili)의 디자인과 프랑스 최고급 사또 와인의 콜라보로 사랑스럽고 세련된 컬러감으로 표현됐으며, 명품 스페인 와인은 고급스럽게 만들어져, 이 특별한 와인은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에 곧 출시가 될 예정이다.
    • 핫이슈
    • 경제
    2023-03-15
  • 국내 처음으로 "삼인방"이라는 주제로 열린 패션쇼와 그림전시회
    1. 사진설명 - 왼쪽부터 최성희 작가, 김중식 화백, 김예진 디자이너[동국일보]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한복 패션쇼와 함께 열리는 김중식, 최성희 작가의 명작 전시회가 서울 광진구에 있는 광진문화재단 나루아트센터에 특별한 패션쇼와 그림 전시회가 함께 열려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11일 김예진 한복디자이너의 패션쇼가 시작되자 김중식 화백, 최성희 작가의 그림이 선보이기 시작했다. 선율이 있는 타악기의 오묘한 음악 그리고 서서히 드러나는 모델들의 틈새로 화백들의 그림이 보일 듯 말 듯하면서 차례로 선을 보인 것이다. 이번 패션쇼는 특별한 만남이 있었다. 국내 처음으로 "삼인방"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김중식 화백, 최성희 작가, 김예진 한복디자이너가 함께 뭉친 것이다. 이번 전시는 세 사람의 이야기를 협업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보여준다는 의미로 쓰나미 같은 변화의 혁신과 교란의 시장에서 좋은 사업 동반자가 되기를 희망하며 3인방의 전시회가 시작된 것이다. 전시는 3월 11일 오프닝 행사를 시작으로 12일까지 이틀간 개최됐다. 사진설명 = 행사 참가자들이 전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작가들의 대표 작품으로 김중식 화백의 달, 항아리에 그려진 마릴린 먼로와 최성희 작가의 색채 그리고 김예진 한복디자이너의 패션쇼로 진행됐다. 김예진 한복 패션쇼를 보면서 두 작가의 대표작들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는 프로젝트로 진행됐다. 이미 대한민국 화백으로 많이 알려진 김중식 화백은 국제문화 예술 공로 대상, 프랑스 재불 작가협회 회장 역임했고 수많은 수상경력과 활동으로 특히 달, 항아리 속에 세계의 명화를 담은 이색 작품으로 유명하다. 최성희 화백은 화가로서의 활동과 최성희 자연 미술 놀이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숲과 자연 그리고 미술이 함께하는 힐링 공간을 만들어 시니어 치매 연구소장으로 활동 중이다. 이번 김중식 화백과 최성희 작가의 전시에 한복 패션쇼를 진행하는 한복 명장 ‘김예진 한복디자이너’는 이번 전시작품들과 어울려 하나의 쇼를 개최했다. 이날 축하곡은 기부 천사 가수 김장훈, 가수 한소민, 소프라노 정꽃님 교수가 전시회를 더욱 빛나게 했다. 연출을 기획한 김민주 실장은 이번 성공적 전시회를 기반으로 화가와 패션의 협업을 통하여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지속적 투자로 해외 진출과 구매자 연결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3인방’으로 열리는 이번 첫 전시 패션쇼는 많은 사람에게 관심을 받아 계속해서 좋은 이야기로 찾아뵙고 싶다는 뜻도 전했다. 이번 행사는 김중식 화백, 최성희 작가, 김예진 한복이 주최하고 JBS TV가 주관하여 진행했다.
    • 핫이슈
    • 사회
    2023-03-12
  • 승LEE호, 오늘(10일) 러브 테마곡 ‘비추는 너’ 싱글 앨범 발매
    [사진=RNX 제공][동국일보] 지난 해 11월초 이별을 주제로 한 ‘이별 탑승’ 앨범으로 데뷔한 매니져 출신의 뮤지션 승LEE호(본명:이승호)가 사랑을 주제로 한 곡 ‘비추는 너’로 새 앨범을 발매했다. 이번 앨범은 그가 처음으로 멜로디를 떠올려서 만든 곡으로 그의 음악 인생에서 의미가 큰 곡이다. 10여년 전 처음 떠오른 멜로디를 휴대폰으로 녹음해서 저장해 놓았지만 이제서야 결국 오랜 세월이 흘러 세상에 나오게 됐다. 승LEE호는 "이번 곡의 완성은 30대에 했지만 20대의 감성을 떠올리면서 곡 작업에 임했다."며 "가사에 사랑이라는 단어는 없지만 사랑하는 이에게 들려주고 싶은, 불러주고 싶은 노래로 기억 될것이다."라고 말했다.
    • 핫이슈
    • 사회
    2023-03-10
  • 중국 옌청경제기술개발구, 서울서 투자협력설명회 가져
    8일 서울에서 열린 '2023 중한(옌청)산업단지·서울투자협력설명회'에서 투자 협약을 체결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 (사진/신화통신)[동국일보] 중국 국가급 옌청(鹽城)경제개발구가 8일 서울에서 '2023 중한(옌청)산업단지·서울투자협력설명회'를 갖고 한국무역협회 및 한국 대기업 대표들과 교류하고 옌청의 발전 기회를 공유했다. 설명회에서 왕쉬둥(王旭東) 옌청경제기술개발구관리위원회 주임은 중한(옌청)산업단지의 투자 환경을 소개했으며 현장에서 투자 협약 4건을 체결하고 16개 중점 프로젝트 추진을 협의했다. 8일 서울에서 열린 '2023 중한(옌청)산업단지·서울투자협력설명회'에서 왕쉬둥(王旭東) 옌청경제기술개발구관리위원회 주임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구진성(谷金生) 주한 중국대사관 경제상무처 공사참사관은 축사를 통해 올해 중·한 관계가 새로운 30년의 첫 해를 맞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옌청시가 중한(옌청)산업단지의 구조 및 제도적 우위를 한층 더 개선하고 미래 발전을 이끄는 신흥산업에 포커스를 둬 양국 경제무역 협력과 우호적인 관계 발전 심화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구 공사참사관은 한국 각계, 특히 경제계 유식지사(有識之士, 식견이 탁월한 사람)가 중국이라는 큰 시장의 발전 보너스 효과를 함께 누릴 수 있도록 기회를 잡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구진성(谷金生) 주한 중국대사관 경제상무처 공사참사관이 8일 '2023 중한(옌청)산업단지·서울투자협력설명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한편 지난 6일부터 옌청경제기술개발구가 닷새간 진행하는 한국 '투자유치주간' 활동이 열리고 있다. 이 기간 옌청경제기술개발구는 여러 한국 기업 및 연구 기관을 방문해 상호 교류를 강화하고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설립된 지 5년이 넘은 중한(옌청)산업단지는 그동안 네 차례의 중한무역투자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12개 한국 도시와 자매도시 또는 우호교류관계를 수립했다. 관련 소식에 따르면 옌청시는 오는 4분기에 '제5회 중한무역투자박람회'를 개최할 예정으로 ▷산업 ▷과학기술 혁신 ▷인문교류 등을 중심으로 대(對)한 협력의 새로운 돌파구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 핫이슈
    • 경제
    2023-03-09
  • 제8회 글로벌소비자만족대상 시정부문 대상_백경현 구리시장 인터뷰
    백경현 구리시장 글로벌소비자만족대상 시정부문대상[동국일보] 지난 3월 7일 백경현 구리시장의 “글로벌소비자만족대상 시정부문대상” 수상소감 인터뷰가 (재)국제언론인클럽, 대한장애인복지신문, 한국언론포탈통신사,라이프방송,잡포스트,인천중부신문 등 언론사의 참여로 진행 됐다. 좌) (사)액티브퀸모델협회 강현채 회장 백경현 구리시장 (재)국제언론인클럽 김재수 이사장 (1) 구리시가 '제8회 글로벌소비자만족대상' 시정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소감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먼저, 구리시가 영예로운 대상을 수상할 수 있도록 따뜻한 성원을 보내주신 시민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수상은 구리시 1천여 공직자들이 오롯이 시민만을 생각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한 값진 결과기 때문에 더욱 의미 있고 기쁩니다. 저는 올해 화두를 유소작위(有所作爲)로 정했습니다. ‘해야 할 일을 열심히 준비하고 뜻을 이뤄낸다.’라는 말입니다. 앞으로도‘민생 안정, 경기회복’을 최우선으로 삼아 지역 발전과 도시 혁신을 위한 지혜를 모으겠습니다. 시민이 체감하는 차별화된 지역경제 정책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즐거운 변화 더 행복한 구리시’구현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 민선8기 주요 역점사업 추진 현황이 궁금합니다. 먼저, 구리테크노밸리 사업은 어떻게 추진되고 있습니까. 구리시가 베드타운에서 벗어나 20만 구리시민이 간절히 염원하는 미래형 첨단산업 자족도시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구리테크노밸리 사업 추진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취임 후에는 선제적인 행정 역량을 발휘해 국토교통부 장관을 두 차례 만났습니다. 이 자리에서 경기북부지역 반도체 연구단지와 연계한 구리테크노밸리 조성을 비롯해, 토평동 스마트 그린시티 건설, GTX-B 갈매역 정차 등 광역교통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중앙부처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경기북부 거점도시인 구리시에 4차 첨단산업을 기반으로 한 구리테크노밸리가 조성되면,수도권 균형발전은 물론이고 고용과 생산 유발을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래서 정부 국책사업으로 추진되는 ‘사노동 E커머스물류단지 조성사업’부지면적을 최대한 확보해 4차 첨단산업 기술연구단지를 유치하고, 구리테크노밸리 면적이 확대 반영되도록 건의했습니다. 구리시는 앞으로 ‘구리테크노밸리 기본구상 및 기초타당성 연구용역’ 결과를 반영해 구체적인 사업 구상안을 마련하고, 이곳에 지능형 로봇·사물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을 보유한 혁신 기업과 연구시설을 유치하는데 행정적 노력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3) 구리테크노밸리 사업과 함께 토평동 스마트 그린시티 사업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 사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토평동 스마트 그린시티 건설사업은 현재 훼손된 토평동 한강변 일원의 개발제한구역을 정비해 도시의 회복 탄력성을 높이고,환경과 도시 정책·첨단기술을 종합적으로 융합해 최첨단 친환경 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선행과제로 사업지구 지정,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의 행정절차를 이행하고,대통령 공약사항인 콤팩트시티 조성사업과 연계 개발해 세계가 주목할 만한 ‘스마트 도시’를 건설하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습니다. 사통팔달 교통의 중심인 토평동 지역과 GTX-D·E 신규노선을 연결하면 역세권을 중심으로 밀도 있는 개발을 통해 여러 기능이 집약된 콤팩트시티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청사진을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직접 설명하고 긍정적인 공감대를 나눴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공약인 GTX-D 노선과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공약인 GTX 플러스 E노선 확충 계획에 따라, 이들 노선이 구리시 토평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건의해 나가겠습니다. 또한 추후 사업 시행 방안이 확정되면, 주택건설과 병행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자족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시설을 도입하는 등 구리시가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기틀을 다지는데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 (4) 구리시가 신도시 조성에 따른 광역교통 대책에 소외돼 피해를 보는 실정입니다. 이에 대한 구리시의 대책은 무엇입니까. 구리시는 서울시와 남양주 3기 신도시 사이에 있지만 인근 신도시 조성에 따른 광역교통 대책에는 소외돼,출퇴근 시간이면 시 전역이 교통체증으로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구리시에 수도권 물류센터 증가로 물류 이동이 많아진 데다, 향후 남양주시 왕숙과 진접 3기 신도시, 태릉CC, 갈매역세권 등의 대규모 택지 개발로 교통량이 폭발적으로 늘 것으로 예상돼 광역교통 대책이 절실한 실정입니다. 그래서 구리시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토부 장관, 대광위 광역교통쟁책국장 등을 잇달아 면담하고, 보다 근본적이면서 장기적인 대책을 논의하는 등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현재 교통체증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파급력이 크고 효과적인 방법은 GTX-B 노선의 갈매역 정차입니다. 구리시는 갈매역 정차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만일 이에 따른 소요 비용이 발생한다면 구리시도 비용의 역할을 마다하지 않겠습니다. 아울러 GTX-D·E 노선의 구리시 연결,지하철 6호선 구리시 연장 추진, 버스 공영차고지 건립,대중교통 노선 확충, 왕숙천변 지하관통도로 건설 등시민들이 체감하는 교통 개선대책을 추진해,시민 삶의 질을 높이고인근 지역과도 상생 발전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습니다. (5) 구리시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일자리 정책 등 각종 시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장기화와 물가상승 등으로 소상공인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분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여러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소상공인을 위한 통합지원체계 수립,구리시 자체 온라인 쇼핑몰 구축, 상하수도요금 감면,음식배달업종 소상공인의 배달수수료 지원,각종 마케팅을 활용한 구리사랑상품권 확대 운영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일자리 창출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일자리 교육부터 고용, 창업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관리를 위해 ‘민선8기 일자리 종합계획(2023~2026년)’을 수립했습니다. 앞으로 4년간 고용률 66% 일자리 7만 2천여 개 창출을 목표로,각계각층의 연차별 세부 계획을 세우고 각종 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입니다. 또한 구리시 핵심산업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발굴해 나가겠습니다. 구리농수산물공사와 민관 협력으로 구리시형 일자리 양성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급변하는 유통환경에 발맞춰 유통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지역자원을 활용해 인력풀 구성, 경매실습 등 현장 중심 체험형 교육을 실시하겠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는 취업이나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하는 올인원 사업을 계획 중입니다. 이외에도 앞서 설명한 구리테크노밸리 사업과 토평동 스마트 그린시티 사업 등을 추진해 많은 기업을 유치하는 등,청년부터 중장년까지 모든 세대가 일할 수 있는 일자리를 충분하게 확보해,구리시로의 인구 유입을 유도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경제적 활동으로 증대된 세수로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6) 끝으로, 시민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전해 주시죠. 구리시는 행정에 대한 전략적인 성과관리를 통해 시민이 체감하는 시정 목표를 달성하고자 최근‘구리시 성과평가위원회’를 열었습니다. 또한 시민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된 열린 행정을 구현하고자 올해부터 민원 상담관 제도를 신설해, 시민들이 행정에 관한 모든 업무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구리시의 행정은 늘 시민을 향해 있습니다. 앞으로도 혁신과 창의를 바탕으로 적극 행정을 펼쳐 지금보다 더 행복한 구리시를 만들기 위해 더욱 힘차게 약진하겠습니다. 특히 올해는 도시 전체에 활기를 전할 봄기운 가득한 소식들이 많이 있습니다. 구리시의 봄, 가을 대표축제였던 유채꽃 축제와 코스모스 축제가 부활하고, 구리시 빛 축제, 군악대 마칭밴드 축제,구리시 책의 날 행사가 새롭게 열립니다. 대한축구협회 주관 K4리그 참가를 위한 (가칭)구리시민축구단도 창단을 준비 중입니다. 대내외에 구리시를 널리 알려 상권 활성화에 기여하고 문화생활 향유를 통해 시민 만족도를 높여 소통과 화합의 장을 새롭게 열겠습니다. 앞으로도 시민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불편해하는 것과 필요로 하는 것들은 어떤 것인지 알기 위해 시민의 목소리에 항상 귀 기울이고, 모든 세대가 즐겁고 행복한 꿈의 도시, 구리시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좌) 백경현 구리시장 국제언론인클럽 노미경 아나운서 인터뷰사진 백경현 구리시장 인터뷰
    • 핫이슈
    • 사회
    2023-03-09
  • ‘미시즈 퍼스트 퀸오브더아시아’ 23년 드디어 해외로 출격!
    사진=퍼스트 파운데이션 제공[동국일보] 비영리 문화예술단체 퍼스트 파운데이션 (의장 김요셉)의 시그니쳐 미시즈 대회인 ‘미시즈 퍼스트 퀸오브더아시아’의 23년 한국 대회 정규 에디션이 오는 5월 10일 베트남 미케비치 템플다낭 비치클럽에서 개최된다. 지난 2019년에는 한국 하이야트호텔에서, 20년에는 인플루언서 대회형식으로 개최했으며 21년에는 한국 서울 엘리에나호텔에서 개최하여 당시 이미진 양이 6관왕의 기염을 토하며 위너에 오른바 있다. ‘미시즈 퍼스트 퀸오브더아시아’는 2015년부터 내리 4년을 중화권 상하이, 항주, 닝보, 샤먼을 잇는 대표적인 미시즈대회로 주목받아 왔다. 이번 대회는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해외에서 열리는 한국대회 정규 시리즈로 RNX가 주관하며 4월 22일 사전 예심을 거친 18인 내외의 본선 참가자들을 데리고 베트남이 자랑하는 휴양지 다낭에서 개최한다. 본선 참가자 전원에게는 베트남 여행관련 항공, 호텔 등 경비 일체를 지원하며(제세공과금은 별도) 위너 및 세미위너 2인 총 3인은 올 7월 예정되어 있는 아시아 결선에 모든 체제비용을 주최측이 지원한다. 참가 비용 등은 일체 없으며 참가 지원자격은 만 25세에서 45세 까지의 기혼자 혹은 기혼 경험자이며 네이버 퍼스트파운데이션 홈페이지 검색 후 ‘미시즈 퍼스트’ 카테고리에서 참가 신청할 수 있다.
    • 핫이슈
    • 사회
    2023-03-09
  • ‘2023 미스인터콘티넨탈 코리아' 서울대회, 오는 5월 25일 서울 강남 리버사이드호텔서 개최
    사진제공=퍼스트 파운데이션[동국일보] ‘미스인터콘티넨탈 코리아’가 오는 5월 25일 서울 강남 리버사이드호텔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서울 1차 대회를 시작으로 그 서막을 알렸다. 세계 5대 메이저 미인대회 중 하나인 미스인터콘티넨탈은 올해로 51회를 맞았으며 지난 해에는 베트남이 최초로 대회 종합 우승을 차지하는 영광을 안았다. ‘미스인터콘티넨탈 코리아'는 미의 서열만을 다루던 기존의 미인대회에서 벗어나 각종 탈렌트 및 미디어 인플루언서로 발돋움 하고 있으며 걸출한 이력을 가진 예비 수상자들이 한국대회 티켓을 거머쥐기 위해 일찌감치 신청을 하고 있다. 판권사 ‘퍼스트파운데이션’의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 중이며 서울1차 대회는 ㈜제이콥스아트웍스와 RNX가 책임 주관한다. 대회조직위는 “미스인터콘티넨탈 23년 에디션은 유럽과 남미,북미, 아시아, 아프리카 등 약 100여개 국가가 참가하는 역대 최고의 대회가 될 것이다.”라며 “한국에서도 그 대장정의 시동을 알리며 지역 에디션의 일정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서울대회를 시작으로 호남권 광주, 경상권 대구, 부산 경남 등과 최종 수도권 에디션,한국대회 결선 에디션을 거쳐 오는 8월 하순 서울에서 열리는 최종 대회를 끝으로 마무리된다. . 아울러 대회 조직위는 “3년만에 중국 쇼케이스도 준비중이라며 중국 단체 관광이 허용되는 시기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 핫이슈
    • 사회
    2023-03-08
  • 안양 ' 평촌 센텀퍼스트' 10% 할인분양, 계약금 1,000만원 정액제
    안양 ' 평촌 센텀퍼스트' [동국일보] 안양 ‘평촌 센텀 퍼스트’아파트가 2024년 1월 분양권전매 가능한 10% 할인과 함께 선착순 분양을 진행중이다.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 10년만에 나온 수도권 최초 분양가 할인 사례로 완판여부가 부동산업계 주목을 받고 있다. 평촌 센텀퍼스트는 프리미엄 대단지 아파트로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덕현지구 재개발을 통해 공급되며 지하 3층~지상 38층, 23개 동, 전용면적 36~99㎡ 총 2,886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평촌 센텀퍼스트는 발코니 확장, 시스템 에어컨, 붙박이장, 거실 아트월 연장 등 유상옵션 품목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고 후분양 단지로 올해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특례보금자리론을 이용할 수 있는 점도 돋보인다. 안양 ' 평촌 센텀퍼스트' 위치도 최근 조합은 총회를 열고 3.3㎡당 평균 분양가를 3,211만 원에서 2,890만 원으로 조정했다. 이에 따라 전용 59㎡ 타입 기준 평균 7억 1천만 원대 분양가로 지역 시세 수준의 합리적인 가격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평촌 센텀퍼스트는 자녀 교육환경 역시 우수하다. 단지 반경 약 300m 거리에 덕현초, 약 700m 거리에 신기중이 있어 안전하게 통학할 수 있으며, 범계중, 평촌고, 동안고, 백영고 등 다수의 교육 시설이 가까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신도시의 풍부한 생활 인프라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롯데백화점, 홈플러스 등 쇼핑 시설은 물론이고 평촌아트홀, 안양시청 등 문화·행정시설까지 평촌신도시 생활권을 그대로 누릴 수 있다. 평촌 센텀퍼스트는 역세권 아파트로 교통입지가 뛰어난데, 오는 2027년 개통을 추진 중인 동탄 인덕원선 호계사거리역(가칭)이 가까우며, 수도권 제1 순환 고속도로 평촌IC 및 1번 국도, 47번 국도 등 다양한 도로 교통망도 갖춰져 있다. 한편, 안양 ‘평촌 센텀퍼스트’의 모델하우스는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일원에 마련돼 있으며, 대표번호로 사전 방문 예약 시 입장이 가능하다. ▲ 위 이미지 클릭시 평촌 센텀퍼스트 안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핫이슈
    • 경제
    2023-03-08
  • 제1회 마스터 천공 컵 종합무도 호주대회 및 제18회 재호주대한 태권도대회 개최
    제1회 천공 컵 종합무도 호주대회에서 천공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동국일보] 대한민국을 세계로 미래로라는 슬로건으로 3월 5일 호주 시드니 허스트빌 아쿠아틱 레져센터에서 호주 무도인과 재한국인 무도인들이 모인 가운데 태권도, 검도, 우슈, 해동검도, 무예타이 무도인들이 참석하여 겨루기, 시연대회가 성황리에 열렸다.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권성근 회장은 인사말에서 무도 정신 회복과 도덕성 회복을 통한 폭력 범죄가 난무하는 이때 슬기로운 범죄 퇴치에 무도인들의 지혜를 구했다. 이날 마스터 천공은 호주 잼버리 단제에 청소년의 올바른 길에 써달라며, 후원금을 전달 했으며, 마크 쿠레 호주 다문화 장관은 무도를 통한 화합과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 재호주대한태권도협회, 세계종합무도협회, 마스터 천공께 고마움을 전했다. 제1회 천공 컵 종합무도 호주대회에서 선수들이 겨루기 시범을 하고 있다 이날 참석한 주요 인사로는 마크 쿠레 (호주 다문화 장관, 노인복지부 장관, 국회의원), 제이슨 리 호주 국회의원, 샘 엘미어 호주 조지리버 지방의원, 벤왕 호주 조지리버 지방의원, 크레그 충 전, 시드니 지방의원, 상옥 전, 스트레트필드 시장, 크리스티나 우 조지리버 전 지방의원. 손광석 한국종합무술연합회장, 재호주대한체육회 신필립 회장, 유문길 초대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총재, 윤치관 제2대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총재, 멜번 김정윤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고문, 유선우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고문, 하지우 전 재호주 대한체육회 회장 현 재호주대한 권투협회 회장, 최성환 재호주 상공회의소 회장, 성희정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총재, 권도사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회장, 이성도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수석부회장, 한용규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기술 감독, 임호진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위원회원, 조우 인그라티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뉴사우스웰스 회장, 이강웅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퀸스랜드 지부 회장 겸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사무총장.제임스 히난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빅토리아 지부 회장, 이재호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켄베라 지부 회장, 데릭 머래이. 재호주 대한태권도협회 위원, 클라디아 머래이. 경기진행위원장이 참석했고 각국에서의 축전으로는 세계무술고수총연맹 권호열 총재 축전, 템버린 베이 보이스카우트 일동, 독일 축전, 이티오피아 축전, 태국 축전, 필리핀 축전, 튀르키예, 인도. 브라질등 많은 나라에서 축전을 보내 왔으며, 1,000여명의 무도인과 가족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다.
    • 핫이슈
    • 사회
    2023-03-07
  • 대한민국 식품명인 드라마 제작발표회 성황리 열려
    드라마 '명인' 제작발표회 [동국일보] 대한민국 식품명인 드라마 제작발표회가 지난 27일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렸다. 이날 열린 드라마 '명인'은 12부작으로, 전통식품명인들의 역사와 열정을 담은 대한민국 '명인'들의 음식과 사랑 그리고 그들의 열정에 관한 이야기를 담아 드라마로 제작한다는 것이다. 또 한 명인 드라마 제작사 (주)토브제이 서동재 대표는 인사말에서 대한민국 전통식품을 세계에 알리고 다음 세대로 나아가는 K-food의 초석을 열어주는 드라마로 사실적 드라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드라마 '명인' 제작발표회 대한민국 식품명인 드라마에 출연하는 배우는 홍수아, 최웅, 박가령, 박정민(SS501 출신), 이철민 등이 출연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드라마에 의상을 담당하고 직접 출연까지 하게 된 한복 명장 '김예진 한복 디자이너'는 출연 배우들의 개념에 맞는 한복을 직접 제작하기로 했다. 김예진 한복 디자이너는 3월 11일부터 김중식 화백, 최성희 화백과 함께 광진구 문화재단 나루아트센터에서 동서양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한복 패션쇼를 개최 하기도 한다. 드라마 '명인' 제작발표회 이날 제작발표회에 참석한 사단법인 한국영화인 원로회 이해룡 회장과 영화배우 강철, 김하림, 문철재, 채주이, 김학구 등 20여 명의 원로 영화인들과 이철민 감독, 모델 박지현, 모델 신새롬 등이 참석해 대한민국 식품명인 드라마 발표회에 자리를 빛냈다. 촬영 협조는 JBS TV, 국악신문, 외교저널, 시사1, 사단법인 대한민국 식품명인협회, 사단법인 한국영화인 원로회 등이 참여하여 명인 드라마를 더욱 빛나게 할 예정이다
    • 핫이슈
    • 사회
    2023-03-05

정치 검색결과

  • 尹 대통령, 수석비서관 회의 주재…"임금 및 휴가 등 확실한 담보책을 강구하라"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20일 오전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한일관계 개선 및 협력에 관해 국민들께서 체감할 수 있도록 각 부처는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하라"고 당부했다.이에, 윤 대통령은 근로시간 유연화와 관련해 "임금 및 휴가 등 보상체계에 대한 불안이 없도록 확실한 담보책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20
  • 尹 대통령,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참석…"국가 간의 연대와 협력이 중요"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17일 12시 일본 동경 경제단체연합회 회관에서 개최된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양국 간 미래지향적 경제협력 비전에 대해 논의했다.이에, 한일 양국 정상은 어제 정상회담에서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는 양국이 서로 협력하여 더 큰 성과를 함께 만들어 내자는데 뜻을 모았다.    특히,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 산업의 공급망 안정과 첨단·과학기술 협력, 디지털 전환 등 미래를 준비하는 작업을 함께 하기로 했다.또한,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은 양국 정상이 합의한 미래지향적 경제협력 비전을 구체화하고, 양국 경제인 간 교류 및 협력 확대를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다.    아울러, 한국측에서는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 김윤 한일 경제협회장, 4대그룹 회장, 전경련 회장단 등 12명의 경제인이, 일본측에서는 도쿠라 마사카즈 경단련 회장, 사사키 미키오 일한경제협회장 등 11명의 경제인이 각각 참석했다.이어, 한국 대통령이 한일 경제인 행사에 참석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 대통령 방일 기간에 개최된 '한일 경제인 간담회' 이후 14년 만이며, 전경련 등 재계에 따르면 4대그룹 회장이 한일 경제인 행사에 모두 함께 참석한 것도 약 20여 년만에 처음이다.또한, 오늘 행사는 기념촬영, 양측 경제단체장 개회사, 모두말씀, 오찬, 마무리말씀 순으로 진행됐다. 오찬 중에는 한일 경제협력 방안에 대한 양국 경제인들의 발언과 환담이 있었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전 세계가 직면한 복합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 간의 연대와 협력이 중요하며, 한일 양국이 공급망, 기후변화, 첨단 과학기술, 경제안보 등 다양한 글로벌 아젠다에 대해 공동으로 협력·대응해 나가자"고 말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디지털 전환,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등 미래 첨단·신산업 분야에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어제 전경련과 경단련이 함께 발표한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을 토대로 미래 세대의 교류가 늘어나고 상호 이해와 협력이 확대된다면 양국 관계가 보다 굳건해질 것"이라고 언급했다.한편, 오찬중 양국 경제계의 발언이 있었으며 한국 측에서는 김윤 한일경제협회장, 최태원 SK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일본 측에서는 사사미 미키오 일한경제협회장, 사토 야스히로 미즈호 파이낸셜그룹 특별고문, 야스나가 다츠오 미쓰이물산 회장 등이 미래 한일 경제협력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발표했다.끝으로, 정부는 한일 정상회담,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등을 계기로 새 장을 열어갈 양국 경제계의 교류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그간 중단된 재무·산업통상자원·과학기술 등 경제 분야 장관급 협력 채널을 조속히 복원하고, 주요 협력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7
  • 尹 대통령 부부, 기시다 총리 부부와 친교 만찬…일본인들이 한데 모여 크게 환영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3월 16일 저녁 7시 40분 기시다 후미오 총리 부부와의 친교 만찬을 위해 긴자 요시자와 식당에 도착했다.    이에, 요시자와 식당에 미리 와있던 기시다 총리가 입구까지 나와서 윤 대통령 부부를 맞이했으며, 식당 입구에서 함께 기념사진을 찍었다.또한, 전통 일본식(호리고다츠) 방에 두 부부가 앉고 통역을 위해 네 명이 배석했으며, 윤 대통령 부부와 기시다 총리 부부는 만찬장소에서도 기념촬영을 먼저 하고 식사를 시작했다. 한편, 윤 대통령 부부가 식당으로 가는 길에 많은 일본인들이 기다리고 있었고, 호기심 어린 눈으로 휴대폰을 꺼내 촬영하는 모습도 보였으며, 요시자와 식당 직원들도 윤 대통령 부부가 식당에 도착했을 때 한데 모여 크게 환영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7
  • 김건희 여사, '기시다 유코' 여사와의 친교 행사…"양국 관계가 더욱 무르익길"
    [동국일보] 김건희 여사는 3월 16일 기시다 유코 내각 총리 대신 부인의 초청으로 총리 공저에서 친교의 시간을 가졌다.    이에, 김 여사와 유코 여사의 만남은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된 G20 정상회의 이후 4개월 만이다.특히, 김 여사는 유코 여사의 안내로 총리 공저 내부를 둘러본 뒤, 장인의 안내에 따라 함께 화과자를 만들고 말차를 마시며 조선을 사랑한 민예운동가 야나기 무네요시와 그가 설립한 민예관, 유코 여사의 고향인 히로시마 이야기, 일본인 저자의 유명 저서 등에서부터 양국 간의 문화 교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또한, 김 여사는 화과자 만들기 체험 초청에 대한 화답으로 유코 여사에게 유과, 과편, 다식 등 우리나라 전통 한과를 건네며, "오늘 우리가 서로의 마음을 나눈 만큼 양국 국민들도 더욱 가깝게 교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이어, 김 여사는 유코 여사가 소개한 "소나무는 천년이 지나도 푸르다"라는 글귀에 공감하며 "이번 방일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더욱 무르익기를 바란다"고 화답했으며, 두 정상 배우자는 양국 정상이 리더십을 통해 두 나라의 안정된 관계를 만들어나가는 데 있어 최선의 노력을 다하자고 뜻을 모았다.    아울러, 김 여사는 유코 여사의 환대에 감사를 전하며 유코 여사를 한국으로 초대했으며, 유코 여사는 "아직 한국에 한 번도 가보지 못했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편, 한일 정상회담 이후 돌아온 윤석열 대통령은 김 여사가 만든 화과자를 보여주자 직접 맛보며 "너무 달지도 않고 맛있다"고 말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7
  • 尹 대통령, 재일동포 오찬간담회 참석…"오는 6월 재외동포청이 출범할 예정"
    [동국일보] 일본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와 함께 일본 방문 첫 일정으로 3월16일 오후, 동경 제국호텔에서 현지 동포를 초청하여 오찬을 겸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에, 이번 간담회에는 재일민단, 재일 한국인연합회, 한국유학생연합회 등 주요 동포단체 대표,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 인사 등 각계각층의 동포 130여 명이 참석했다.특히, 윤 대통령은 격려사를 통해 "지금 한일 양국은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출발점에 서 있다"고 하면서, "재일동포의 조국에 대한 변함없는 애정과 성원은 미래지향적 양국 관계를 만들어 가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재일동포 사회가 모국이 어려울 때마다 든든한 후원자가 되어주고, 어려운 여건 하에서도 자긍심을 잃지 않고 각자 분야에서 활약함으로써 일본 내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해 온 점을 높이 평가했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동포사회 주요 인사들과 환담을 나누고 격려했다.    이어, 대표적 동포단체인 재일민단의 여건이 단장에게 민단이 그간 일본 내 혐한(嫌韓)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동포들에게 필요한 행정민원 상담을 제공하는 등 동포사회의 권익 신장을 위해 애쓰고 있는 데 대해 깊은 감사의 마음을 표했다.    또한, 일본의 한국계 도예가인 심수관(제15대손) 가고시마 도예가협회 회장에게는 조선 도공의 후예로서 일본에서 400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가업을 이어온 점에 경의를 표하고, 앞으로도 예술을 통해 한일 양국의 문화와 전통을 잇는 역할을 지속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오는 6월 재외동포청이 출범할 예정"이라고 소개하고, "보다 체계적인 재외동포 보호와 지원을 통해 우리 재외동포의 권익을 향상시키고 모국과의 연계가 더욱 끈끈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자유 발언 시간에 참석자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열렬히 환영한다"면서, "재일동포 사회는 지금 축제 분위기에 젖어 있으며 한인 타운을 중심으로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정치
    • 청와대
    2023-03-16
  • 김건희 여사, 재외문화원장 오찬 간담회 참석…"여러분들과 함께 뛰겠다"
    [동국일보] 김건희 여사는 3월 15일 재외문화원장 및 문화홍보관과 오찬을 함께하며 해외 최전선에서 한국과 한국문화를 알리고 있는 이들을 격려했다. 이에, 김 여사는 "해외의 많은 분들이 우리나라를 환대하고 한국의 드라마, 음악, 음식 등에 대해 큰 관심을 갖는 것을 보면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한층 높아졌음을 느낀다"면서 "우리 문화는 다양성과 창의성, 독창성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반열에 올라섰다"고 말하고, "한국문화를 전파하면서 국가 간 가교 역할을 하고 계신 여러분들 덕분"이라고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또한, 미술, 웹툰, 뮤지컬 등 참석자들의 다양한 한국문화 홍보 경험을 들은 김 여사는 "전 세계 각지에서 우리 문화를 알리는 여러분들이야말로 '대한민국 대표 K-컬처 영업사원'이라고 생각한다"고 격려했다.    아울러, "선진 문화를 동경하던 나라에서, 이제 우리의 문화가 동경과 관심을 받게 됐는데, 여러분들의 역할이 매우 컸다"며 "앞으로도 자부심과 책임감을 가지고 대한민국을 빛내 달라"고 당부했다.한편, 김 여사는 참석자들과 함께 'K-컬처 영업사원' 웹툰 캐릭터가 그려진 팻말을 들고 기념사진을 촬영하면서 "저도 우리 문화의 매력을 알리기 위해 여러분들과 함께 뛰겠다"는 뜻을 밝혔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6
  • 尹, 韓日관계 원로 오찬간담회…"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힘써 줄 것"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1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일관계 원로 초청 오찬 간담회를 가졌다.이에, 이번 간담회에는 이홍구 前 총리, 김성재 김대중아카데미 원장, 최상용 前 주일대사, 라종일 前 주일대사, 유명환 前 외교부 장관(前 주일대사), 유흥수 前 주일대사, 이대순 한일협력위원회 회장 등 한일관계에 정통한 사회 원로 7인이 참석했다.특히, 윤 대통령은 지난 3월 6일 발표한 우리 정부의 강제징용 판결 해법과 향후 한일관계 추진 방향에 대한 참석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오랜 기간 전문적 식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일관계 발전에 기여해 온 원로 인사들의 기여를 평가하면서, 앞으로도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힘써 줄 것을 당부했다.또한, 간담회에 참석한 사회 원로들은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대통령의 굳건한 의지를 높이 평가하고, "12년 만에 이뤄지는 우리 정상의 양자 방일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한일 간 안보, 경제, 문화, 인적교류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이 한층 확대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아울러, 정부는 앞으로도 각계각층의 의견을 경청하면서 한일관계의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한편, 이번 간담회에는 박진 외교부 장관,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배석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5
  • 尹 대통령,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 주재…'국가 첨단산업단지 조성 계획' 확정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15일 오전 영빈관에서 개최된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첨단산업 육성전략을 논의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첨단산업은 핵심 성장엔진이자 안보·전략자산이고, 우리의 일자리와 민생 문제와도 직결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최근 반도체에서 시작된 경제 전쟁터가 배터리, 미래차 등 첨단산업 전체로 확장되고 있으며, 각국이 첨단산업 제조시설 유치에 대규모 보조금과 세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우리는 메모리반도체, OLED 디스플레이 등 일부 분야에서 이미 세계 수준의 기술과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더 성장해 나가기 위한 민간의 투자를 정부가 확실히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2026년까지 계획 중인 반도체 등 첨단산업 6대 분야에 대한 총550조 원 이상의 민간 투자가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가 입지, R&D, 인력, 세제지원 등 필요한 지원을 빈틈없이 해야 한다"면서, "오늘은 그중에서 첨단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국가 첨단산업단지 조성 계획'을 확정한다"고 밝혔다.이어, 윤 대통령은 "우선 300조 원에 달하는 대규모 민간 투자를 바탕으로 수도권에세계 최대 규모의 신규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기존 메모리 반도체 제조단지, 150개 이상의 국내외 소부장 기업, 판교팹리스와 연계해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로 키워나갈 것"이라고강조했다.    이는 치열한 글로벌 반도체 투자유치 전쟁 속에서 국가 경제와 국민의 미래 먹거리를 살리기 위한 윤 대통령의 결단에 따른 것으로, 정부는 적극적인 민관협력의 결과로 국내에 대규모 투자가 결정됨으로써 글로벌 반도체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초석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지방에도 우주, 미래차, 수소 등 첨단 산업을 키우기 위해 전체 3,300만㎡, 총 1,000만 평이 넘는 규모의 14개 국가 첨단산업단지를 신규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첨단산업의 발전은 전체 경제성장과도 연결되지만 지방 균형 발전과도 직결되는 것"이라며, 후보시절부터 일관되게 지켜온 지방 균형발전 기조에 따른 정책 발표임을 강조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선거운동시에도 지방 균형발전의 기조에 대해 지방이 스스로 비교우위 분야를 선택하고 정부는 이를 지원하겠다고 했다"며, "이번 국가 첨단산업단지 조성 계획 역시 지역이 주도해 지역의 최우선 과제를 제시한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이에 따라 "지역 스스로 비교우위 분야를 키워나갈 수 있도록 정부가 토지이용 규제를 풀고,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14개 국가 첨단산업단지는 충청권에서 대전(나노·반도체, 우주항공), 천안(미래모빌리티, 반도체), 청주(철도), 홍성(수소·미래차, 2차전지등)에, 호남권에서 광주(미래차 핵심부품), 고흥(우주발사체), 익산(푸드테크),완주(수소저장·활용 제조업)에, 영남권에서 창원(방위, 원자력), 대구(미래자동차·로봇), 안동(바이오의약), 경주(소형모듈원전), 울진(원전 활용 수소)에,강원권에서 ⑭강릉(천연물 바이오)에 조성될 예정이다. 이어, 윤 대통령은 "중요한 건 속도"라며, "오늘 발표된 국가 첨단산업단지 조성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는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국가 첨단산업 설비투자 세액공제 확대 법안(최대 25~35% 세액공제)이 빠른 시일 내에 통과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아울러, 윤 대통령의 방침에 따라 정부는 기존의 입지 '규제'에서 탈피해, 규제를 완화하고 기업을 도와주는 국가로 산업단지 개발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방침이다.    이어, 이번에 조성되는 신규 국가산단은 종전 대비 사업 준비 기간을 기존 7년에서 5년으로 1/3가량 단축하고, 지자체의 그린벨트 해제 권한을 30만㎡에서 100만㎡로 완화하는 등 역대 어느 정부보다 더 신속하고 과감하게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와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국가 첨단산업벨트 범정부 추진지원단'을 구성해 산업단지별로 앵커기업의 유치를 적극 지원하고, 관련 인프라와 제도를 적극 지원하여 기업 투자 유치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가 첨단전략산업 및 소부장 특화단지(산업부), 스마트혁신지구(중기부) 및 창업중심대학(중기부등) 등 지방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부처별 지원을 다각도로 확대할 예정이다. 앞으로 정부는 이날 발표한 '첨단산업 육성전략'인 초격차 기술력 확보, 혁신인재 양성, 지역 특화형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 튼튼한 생태계 구축, 투자특국 이룩 및 국익 사수 통상외교 수행 등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첨단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총력으로 지원할 계획이다.이어, 이번 발표는 첫째, 대한민국 미래를 책임질 국가 핵심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국내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획기적인 결단이며, 둘째, 주요국들이 앞다투어 자국 첨단산업 제조시설 투자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공세를 펼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글로벌 반도체 패권을 잡기 위한 승부수를 던졌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민간기업이 선제적인 투자로 앞장서고, 정부가 입지 조성과 규제완화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는 대표적인 경제살리기 프로젝트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한편, 오늘 회의에서 민간기업들은 '26년까지 시스템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미래차 및 로봇 등 6 첨단산업 분야에 총 550조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임을 밝히기도 했으며, 신속한 정책 지원, 중앙과 지방의 긴밀한 협력, 대·중소기업 상생형 클러스터 조성 등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관심을 가지고 함께 노력해 줄 것을 요청했다.    끝으로, 오늘 토론에는 김형준 서울대 명예교수,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남이현 파두(반도체 팹리스업체) 대표이사, 조용진 성균관대학교 반도체 계약학과 학생 등 학계, 업계, 중소기업, 학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참석하여 의견을 나눴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5
  • 尹, 근로시간 유연화 법안 추진 재검토 지시…"MZ세대의 의견을 면밀히 검토하라"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14일 고용노동부가 3월 6일 입법예고한 근로자의 근로시간 선택권 확대 및 유연화 법안과 관련해 "입법예고 기간 중 표출된 근로자들의 다양한 의견, 특히 MZ세대의 의견을 면밀히 청취하여 법안 내용과 대 국민 소통에 관해 보완할 점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4
  • 尹, 일자리 창출 우수기업 CEO 초청 오찬…"고용을 창출한 여러분들이 애국자"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일자리 창출을 통해 우리 사회에 기여한 100여개 기업 CEO를 격려하는 오찬을 가졌다. 이에, 윤 대통령은 격려사에서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이며 양질의 일자리는 민간에서 나온다"면서, "정부의 역할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민간기업에 방해되는 규제를 타파하고 미래 전략기술 분야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지원하는 것"이라며 민간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의 강한 지원 의지를 밝혔다. 특히, 윤 대통령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동개혁과 교육개혁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면서 "정부의 노동개혁은 노동자들에게는 정당한 보상체계를, 기업에게는 생산성과 경쟁력을 증대시키는 것이며, 교육개혁은 기업에게 인적자원을 제대로 공급하고, 미래세대에게는 지식과 경쟁력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정부가 노동개혁과 교육개혁을 통해 구조적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또한, 윤 대통령은 격려사를 마치며 "정부는 기업과 원팀이 되어 우리 경제의 높은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스타트업 육성에도 적극 힘쓰겠다"고 말했다.아울러, 격려사에 이어 참석자 중 최연소(90년생) CEO인 생활용품 제조기업 '소셜빈' 김학수 대표가 건배사를 진행했으며, 김 대표는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히면서 "기업과 함께"를 선창했고, 참석자 전원이 "일자리가 미래다"를 후창하며 오찬을 시작했다.이어, 오찬에서는 일자리 창출 우수기업 대표들의 사례 및 소감 발표도 함께 진행됐다.먼저, 대전에서 3대에 걸쳐 성심당 제과를 운영 중인 '㈜로쏘' 임영진 대표이사는 "대학과 협력, 주문식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학생과 기업, 대학이 모두 만족하고 있다"며 일자리 창출 우수사례를 발표했고, 교육기업 '(주)잇올'의 백태규 대표이사는 "여성 및 청년 채용에 앞장서고 있다"며 "전국 폐교를 활용하는 방안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은 물론 국내인구 감소와 지방소멸 문제에도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또한, 핀테크 스타트업 '㈜핀다'의 이혜민 대표이사는 "기업이 잘돼야, 나라를 돕는 것이다`라는 대통령 말씀을 잘 새기고 있다"며, "금융산업은 규제 분야인 만큼 새로운 기회를 여는 열쇠가 될 수 있으며, 대한민국의 금융혁신을 글로벌로 펼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아울러,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생산기업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의 박광선 대표이사는 "청년을 비롯하여 여성, 고령층, 장애인 등 고용 취약계층의 채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한국반도체 산업발전과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발달장애인 고용을 목표로 설립된 사회적기업 '(주)베어베터' 이진희 대표이사는 "장애인 고용과 관련하여 고용부와 장애인고용공단이 적극적으로 지원해줘서 늘 감사하다"며, 장애인 고용 확대를 위해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올리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이어, CEO들의 이야기를 들은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노사를 불문하고 산업현장에 법치를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하며, "정부의 맞춤형 채용, 지원 제도를 적극 활용해 달라"고 참석자들에게 당부했다.또한, 윤 대통령은 오찬을 마무리하며 "어려운 여건 하에서 기업을 키워 많은 고용을 창출한 여러분들이 애국자"라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기업이 커지면 인사, 노무관리에 대한 두려움도 커져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주저하게 되는 면도 있다"면서, "정부는 금융 지원, 판로 개척 등 각종 지원에 더해 인사·노무 관리에 대한 상담 지원을 강화해, 자신감을 갖고 기업을 키우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기업인들을 격려했다.한편, 오찬을 마친 후 대통령은 기업인 한 명 한 명과 악수와 인사를 나눈 후 참석자 전원과 함께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끝으로, 이날 행사에는 식품기업 '㈜허닭'의 CEO를 역임했던 개그맨 허경환 씨가 사회를 맡아 오찬 분위기를 한층 화기애애하게 만들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4
  • 행안부, 2023년 재·보궐선거 14~18일까지 거소투표 신고 접수
    행정안전부 [동국일보] 행정안전부는 4월 5일 실시되는 ‘202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3월 14일부터 3월 18일 오후 6시까지 ‘거소투표 신고’를 서면과 우편, 온라인으로 접수한다고 밝혔다. 202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가 실시되는 지역은 9곳이다. 재선거 지역은 국회의원 1곳(전북 전주시을), 기초의원 2곳(전북 군산시 나, 경북 포항시 나) 등 3곳이며, 보궐선거는 기초단체장 1곳 (경남 창녕군), 교육감 1곳 (울산), 광역의원 2곳(경북 구미시제4, 경남 창녕군제1), 기초의원 2곳 (울산 남구 나, 충북 청주시 나) 등 6곳에서 시행된다. 거소투표 신고 대상자는 사전투표소 및 투표소와 멀리 떨어진 영내 또는 함정에서 오랫동안 생활하는 군인이나 경찰공무원, 병원・요양소에 머물거나 수용소․교도소 또는 구치소에 수용․수감된 사람, 신체에 중대한 장애가 있어 거동할 수 없는 사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규칙이 정하는 외딴 섬에 사는 사람 등이다. 또한, 재·보궐선거에 한해 재·보궐선거가 실시되는 선거구 밖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도 우편으로 투표할 수 있다. 거소투표 신고를 하려는 사람은 거소투표신고서를 작성해 본인의 주민등록지인 시·군·구청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에 도착하도록 우편발송하거나 직접(본인 또는 대리인) 제출하면 된다. 거소투표신고서는 시·군·구청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에 비치된 거소투표 신고서를 이용하거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는 각 시‧군‧구 누리집에서 서식을 내려받아(다운로드) 작성하면 된다. 거소투표신고서를 우편으로 발송하는 경우는 3월 18일 오후 6시까지 도착해야 한다. 특히, 이번 재‧보궐선거부터는 거소투표 신고 대상자가 우편발송이나 직접 제출하기 어려운 상황 등을 고려하여 시‧군‧구 누리집을 통한 온라인 거소투표 신고도 가능하다. 다만, 온라인 거소투표 신고의 경우, 신청자가 거소투표 대상자임을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여 신고 마감일인 3월 18일보다 더 일찍 신고해야 한다. 온라인 신고 접수 후, 신고자 주민등록지역의 통·리·반장 등이 거소투표 대상자 여부를 확인한다. 최훈 행정안전부 지방자치균형발전실장은 “행정안전부는 국민의 소중한 참정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자치단체와 협력하여 거소투표신고서 접수 등 법정선거사무 추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거소투표 대상자분들께서는 관할 시·군·구에 거소투표 신고서 접수 방법(서면, 우편, 온라인)을 확인하고 신고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정치
    • 선거
    2023-03-12
  • 尹, 美 '바이든' 대통령 명의 '제2차 민주주의 정상회의' 공식 초청장 접수
    초청장 원본 스캔본 [동국일보]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제2차 민주주의 정상회의 공동주최국으로서 협력을 고대하고 본회의 세션 중 하나를 주재해 줄 것을 요청하는 초청장을 보내왔다.이에, 바이든 대통령은 윤 대통령에게 "이번 정상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도와주셨다"고 언급하면서 "이번 3월 그리고 향후에도 대통령님과 함께 인간의 존엄성을 증진시키고, 인간의 잠재력을 발휘하며, 우리 모두를 위한 평화와 번영을 이루기 위해 계속하여 협력해 나가길 고대한다"고 말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2
  • 尹 대통령, "한일관계 해법이 국민과의 약속이자 미래를 위한 결단"
    [동국일보] 대통령실은 '한일관계 해법이 국민과의 약속이자 미래를 위한 결단'이라는 점을 강조한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을 '쇼츠'와 함께 추가 공개하며 한일관계의 개선 필요성을 강조했다.이에, 오늘 공개된 제10차 국무회의(3.7.) 마무리 발언에서 윤 대통령은 "강제 동원 문제 해법은 대선 공약을 실천한 것"이라고 밝히며, "대선 때 외교 정책은 한미 경제·안보동맹을 통한 확장억제 강화, 김대중-오부치 정신의 계승과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글로벌 중추국가 지향이 핵심 방향이었다"고 말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취임 초부터 외교부에 해결방안을 주문했고, 그동안 여러 우여곡절을 통해서 우리 정부의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또한, 윤 대통령은 국무위원들에게 "강제동원 문제를 조속히 풀어내고, 한일 간 경제·안보·문화 분야 교류를 활성화하는 것이 절실하다는 입장을 초기부터 분명히 했다"며 정책적 뒷받침을 주문하는 한편, "국민들께 약속한 선거 공약을 실천한 것이라는 점을 확실하게 인지해달라"고 당부했다.아울러,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 집무실 책상 위 패에 적힌 "The Buck Stops Here(모든 책임은 내게 있다)"를 쇼츠 영상 전면에 내세우며, 이번 해법이 지난 정부 5년간 경색된 한일관계를 풀기 위한 윤 대통령의 책임 있는 결단임을 강조했다.이어, "The Buck Stops Here(모든 책임은 내게 있다)"는 美 트루먼 대통령의 발언으로, 윤 대통령은 대선 당시 대통령이 되면 이 문구를 책상 위에 두고 새기겠다고 밝힌 바 있다. 美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5월 방한 당시 이 문구가 적힌 패를 직접 선물하기도 했다. 한편, 이번 한일관계 해법에 대해 세계 각국 정상 등 국제사회의 환영과 지지 표명이 잇달아 나오고 있다.또한, 윤 대통령의 결단을 높이 평가하며 지지 의사를 밝힌 국가와 국제기구는 일본을 비롯해 미국, EU, 영국, 독일, 캐나다, 호주, 노르웨이, 핀란드, UN 등 총 10곳이다.아울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한일 양국의 발표는 미국의 가장 가까운 두 동맹국 간의 획기적인 협력과 파트너십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했고, 미 상원 외교위원회 위원장(민주당 밥 메넨데즈 의원)과 공화당 간사(제임스 리시 의원)의 지지 표명도 이어졌다.이어, 클레벌리 영국 외교장관은 "민감한 역사적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과 일본이 발표한 조치를 환영한다"고 했고,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교장관은 "한일 양국의 안전하고 번영하는 미래를 위해 있어 중요한 진전을 이룬 이번 발표를 환영한다"고 답했다.또한, 유럽연합(EU)은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으로 한국과 일본 정부가 3.6일 발표한 중요한 조치를 환영한다"고 밝혔다.UN도 공식 입장을 통해 "안토니오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은 최근 한일 간의 긍정적인 교류와 미래지향적인 대화를 환영한다"고 발표했다.아울러, 반기문 제8대 UN 사무총장도 "장기간 경색되어 온 한일관계에 새로운 미래로 가는 모멘텀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어려운 결단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이어, 환영의 뜻을 밝힌 주요 단체는 한국 경제단체 6곳, 일본 경단련 및 경제동우회, 미국 전략문제연구소, 주한 미국상공회의소(암참) 등 20곳에 달한다. 특히, 주한 미국상공회의소는 지난 8일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변제를 맡은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직접 기부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왔다.또한,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은 2016년 포스코에서 60억 원을 기부받은 후, 한일관계가 경색되면서 주로 수백만 원대 소액 기부금에만 의존해 왔으며, 이로 인해 피해자 및 유족에 대한 경제적 지원도 1인당 연간 50만 원에 그치는 등 뚜렷한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이번 한일관계 개선의 물꼬가 트임에 따라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의 자금이 확충되면, '강제징용 피해자 및 유족 지원 프로그램'이 본격 가동되고, 진정성 있는 추모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된다.한편, 윤석열 정부는 "피해자분들과 긴밀히 소통해 이번 발표 내용을 진정성 있게 설명하고, 피해자분들의 의견을 경청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끝으로, 피해자분들의 실질적 권리 구제와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힘쓰는 동시에, 국제사회의 지지를 받는 해법이 성공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후속 조치를 이어 나갈 예정이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2
  • 尹 대통령, 해군사관학교 제77기 졸업 및 임관식 참석…"국민세금이 아깝지 않다"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3월 10일 오후 해군사관학교 제77기 졸업 및 임관식 참석 후 이지스구축함인 세종대왕함을 방문해 승조원들을 격려했다.이에, 윤 대통령은 "세종대왕함은 1년에 200일 이상 해상작전을 수행 중으로 대단히 힘든 임무임을 잘 알고 있다"면서, "여러분들의 헌신과 강한 자부심에 국군 통수권자로 감사하다"고 했다.특히, 윤 대통령은 "가장 중요한 것은 여러분의 대적관과 전시에 혼란과 두려움 없이 맡은바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몸이 자동적으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평소에 훈련을 연마해 달라"고 당부하면서, "여러분의 모습을 보니 국군통수권자로서 뿌듯하고 국민세금이 아깝지 않다"고 덧붙였다. 또한, 윤 대통령은 국내 최초로 독자 설계한 도산안창호함에 승함해 어뢰 발사관 등 잠수함 내부를 시찰했으며, 해군 특수전전단도 방문해 방명록에 '불가능을 모르는 세계최강 특수부대'라고 적었다.이어, 윤 대통령은 UDT SEAL 및 해난구조부대 현황을 보고받은 뒤 "최근 전쟁은 비대칭전과 특수전 양상을 띄고 있기 때문에 특수전 전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우리군에서 가장 어렵고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얼마나 고되고 힘든 훈련을 하고 있는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직접 와서 보니 든든하고 자랑스럽다. 여러분이 곧 대한민국 군의 국격이다. 군 통수권자로서 신뢰한다"면서, "세계 최고의 특수부대가 되길 바란다"고 격려했다.한편, 역대 대통령이 해군 특수전전단을 방문한 것은 처음이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0
  • 김건희 여사, 환경단체 대표 초청 오찬 간담회 등 참석…"작은 실천이 중요하다"
    [동국일보] 김건희 여사는 3월 9일 환경·동물보호 활동가들과 함께 오찬을 함께하며 이들의 활동을 격려했다.이에, 김 여사는 "국민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작은 실천이 중요하다"며 "누구나 일상에서 참여할 수 있는 캠페인을 이어나가자"고 말했다.    특히, 김 여사와 참석자들은 다회용품 사용, 동물 구조, 기후위기, 취약계층 지원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으며, 교육과 문화를 통한 인식 개선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공감했다.또한, 김 여사는 참석자들의 환경·동물보호 활동 요청에 대해 "환경과 동물보호, 취약계층 지원이 제가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화답하고, "환경보호와 동물권 증진을 위해 연대해서 하나의 목소리로 메시지를 내자"고 전했다. 이어, 김 여사는 국제백신연구소(IVI) 한국후원회의 초청으로 백신 외교의 날 행사에 참석했으며, 그동안 IVI 한국후원회는 대통령 배우자를 명예회장으로 추대해왔고, 오늘 김 여사를 제5대 명예회장으로 추대하며 감염성 질병 예방을 통한 인류 복지 증진에 기여해 줄 것을 요청했다.아울러, 김 여사는 "코로나19 등 질병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해온 국제백신연구소 한국후원회의 명예회장을 맡게 되어 영광스럽다"고 말하고, "백신 개발과 보급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해 활동하겠다"며 IVI 한국후원회 명예회장직을 수락했다.끝으로, 김 여사는 국제백신연구소 연구실을 방문하여 "어린이를 비롯한 수많은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계신다"며 연구원들을 격려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0

사회 검색결과

  • 외교부, 한미동맹 70주년 기념사업 추진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로고[동국일보] 외교부는 올해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한미 전역에서 양국 국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념사업을 연중 개최할 예정이다. 특히, 외교부는 이번 70주년 기념사업을 통해 ① 지금까지의 한미동맹의 ‘성과’를 돌아보고, ②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도약하고 있는 한미동맹의 ‘발전’을 확인하며, ③ ‘청년세대’와 함께 한미동맹의 ‘미래’ 비전을 조망하는 데 주안점을 둘 예정이다. 이를 통해, 12년만에 성사된 4월 말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국빈 방미를 계기로 ‘미래로 전진하는 행동하는 한미동맹’을 구현하는 데에 기여해 나갈 것이다. 우선 외교부는 윤 대통령의 국빈 방미에 앞서 양국의 전문가들과 함께 지난 70년 간 이룩해 온 한미동맹의 ‘성과’를 확인하고 향후 포괄적 분야에서의 양국 협력방안에 관해 논의하는 행사를 추진중이다. 4월 중순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국국제정치학회,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등과 공동 주관으로 '한미동맹 과거 70년, 미래 70년' 정책 포럼을 개최하여 양국의 전·현직 정부 인사와 전문가와 함께 12년 만에 성사된 국빈 방미의 의의와 기대 성과를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4월 중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한국국제교류재단과 하버드대학교 벨퍼센터(Belfer Center)가 함께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한반도 안보서밋(Korean Security Summit)'을 열고, 외교안보 및 경제·기술·사이버 안보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양국의 안보협력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를 갖는다. 아울러, 외교부는 군사안보를 뛰어넘어 경제안보, 첨단기술 및 미래산업, 지역 및 글로벌 도전과제로 협력의 외연을 대폭 확대 중인 한미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의 ‘발전’을 보여줄 수 있는 행사도 다수 기획중이다. 우선 올해 상반기 중 주한美상공회의소와 공동 주최로 '한미 경제 파트너십 간담회'를 개최하여 그간의 한미 경제협력 성과를 정부와 기업이 함께 공유하고, 하반기에는 미국 국무부와 공동 주관으로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민관합동포럼'을 개최하여 경제안보·기술동맹의 구체 협력방안에 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미국 국무부와 공동으로 연내 '한미 우주포럼'을 개최하여, 한미간 포괄적 우주 협력을 심화하고 우주분야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한미동맹 강화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한국국제협력단(KOICA), 미국 국무부 및 국제개발처 (USAID), 민간 전문가와 함께 '한미 개발협력 심포지움'을 갖고 한미가 공동의 비전 아래 개발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지역 및 분야를 협의한다. 한국국제교류재단과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연례 개최하는 '한미 전략포럼'을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특별 행사로 마련하여 안보, 경제, 신흥이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전략적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미동맹을 이끌어 갈 미래 주역인 ‘청년세대’가 한미동맹의 중요성과 효용성을 직접 체감하며 동맹의 ‘미래’를 함께 그려볼 수 있는 맞춤형 행사도 실시할 계획이다. 한미 외교관이 연중 수시로 국내 중·고등학교 및 미국 지역사회를 순회 방문하여 '한미 외교관과의 대화'를 가질 예정이며, 국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미동맹 퀴즈대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한미 대학생 취업연수사업(WEST) 참여자를 초청하여 경험을 공유하는 행사를 개최하고, 한미동맹의 발전을 이끌어 온 정부 인사들의 릴레이 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현장감 있는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는 기회도 마련할 것이다. 양국의 청년세대들이 서로에 대한 친밀감을 더욱 높이기 위해 미국에 소재한 우리 재외공관 주최로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할 것이며, 미국 내 주요 도시에서는 '한국주간(Korea Week)'을 지정하여 영화, 음악, 미술 등 한국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행사도 가질 예정이다. 외교부는 이러한 기념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SNS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청년세대의 접근성을 강화할 것이며,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이 아닌 쌍방향형·참여형 행사를 통해 더욱 쉽고 재미있게 한미동맹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올해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외교부뿐만 아니라 범부처 차원에서 역대 가장 많은 수(외교부, 국방부, 보훈처,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기념사업 총 150여건)의 한미동맹 기념행사가 양국에서 연중 개최될 예정이다. 외교부는 이러한 기념사업들이 한미동맹에 관한 양국 국민들의 이해와 지지를 높이고, 한미동맹 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 사회
    2023-03-22
  • 국토교통부,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공간혁신구역’ 선도사업 추진
    국토교통부[동국일보] 국토교통부는 3월 22일 오후 2시 국토부 도시정책관과 17개 광역 시․도의 도시정책 관련 국장급이 참여하는 「제1회 도시정책협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금년도 첫 협의회에서는 국토부가 지난 1월 6일 발표한 「도시계획 혁신방안」과 연계하여 국회에서 발의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개정안(2.27, 김정재의원 대표 발의)과 공간혁신구역 선도사업 추진계획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도시계획 혁신방안」에서 ➊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도시개발, ➋융․복합 도시공간 조성, ➌도시계획시설의 입체 복합적 활용 등을 위한 3가지 공간혁신구역을 도입키로 한 바 있다. 이를 위해 국토계획법의 개정을 추진하고, 법이 개정되면 빠르게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지자체와 함께 공간혁신 선도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➊도시혁신구역 : 용도·밀도 제약 없이 자유로운 개발이 가능한 구역(한국형 White Zone) ➋복합용도구역 : 기존 용도지역 변경 없이 다양한 용도의 시설 설치가 가능한 구역 ➌도시계획시설 입체복합구역 : 도시계획시설 복합화를 위한 용도·밀도 완화(최대 2배) 이와 관련하여 국토부는 이번 협의회에서 공간혁신 선도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다양한 활용사례를 제시하고 지자체의 다양한 선도사업 후보지 제안을 요청할 계획이다. 특히, 도심내 노후화된 공업지역을 복합공간 및 혁신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한 공업지역 활성화 사업을 적극 연계해 줄 것을 요청하고, 그 밖에 공공시설 이전부지나 기능이 쇠퇴한 시설 등 다양한 사업 후보지도 제출할 수 있음을 안내한다. 공간혁신 선도사업지 선정은 ❶노후․쇠퇴 지역의 기능을 변화시키거나 한정된 도시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혁신성이 있는 사업지역, ❷국공유지 등 사업추진이 용이한 지역, ❸광범위한 지역에서 공간 혁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지역을 우선할 예정이다. 특히, 단순히 해당 유휴부지만 고밀․복합 개발하는 사업 보다는 공간혁신구역 개발을 통한 해당 지역의 공간구상 또는 마스터플랜을 제시하고, 해당 지역의 도시계획을 포괄적으로 변화시키는 「공간재구조화 계획」 구상을 판단해서 선정할 계획이다. 공간혁신 선도사업은 법 개정 이전인 점, 신속한 추진이 필요한 점 등을 고려하여 국토부·지자체 및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 시행자가 협력하여 추진하는 공공주도 선도사업 형태로 속도감 있게 진행할 예정이다. 선도사업은 지자체에서 사업 후보지를 제안하면, LH 등과 함께 사업타당성을 평가하고, 선정된 지역에 대해 국토부가 직접 계획을 수립하는 형태로 추진될 예정이다. 특히, 국토부는 국회와 긴밀히 협의하여 상반기 내 국토계획법 개정안 심사를 추진하고, 이와 연계하여 하반기부터 선도사업지 선정 및 계획 수립 절차에 들어가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 구역 지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길병우 국토교통부 도시정책관은 “유연하고 혁신적인 도시공간 창출을 위한 「도시계획 혁신방안」의 신속한 추진이 중요하다”고 하며, “이를 위해 국토계획법 개정, 공간혁신 선도사업 추진에 대해 국회,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사회
    2023-03-22
  • 교육부 소관 2개 안건 국무회의 통과
    교육부 [동국일보] 교육부는 3월 21일 국무회의에서 '학교도서관진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령안' 등 교육부 소관 2개 안건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학교도서관진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개정 전의'학교도서관진흥법 시행령'은 학교도서관을 ‘학교의 주 출입구 등’과 근접한 곳에 설치하도록 일률적으로 규제하고 있어, 학교의 다양한 여건이나 시설구조 등을 고려할 수가 없었다. 이에 학교도서관 위치를 규제하고 있는 조항을 삭제하여, 학교가 자율적으로 학교도서관 위치를 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번 시행령 개정을 통해, 학교가 교육환경의 변화 및 학교구성원의 이용편의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학교도서관 위치를 정할 수 있게 되어, 학교의 자율성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디지털 대전환과 반도체산업 등의 인력 부족 현상 가속화에 대응하여, 보다 활발한 산학협력으로 첨단산업 분야의 인재양성을 촉진하기 위해 계약학과와 기술지주회사 관련 제도를 개선・보완하고자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개정한 것이다.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대학은 별도의 계약학과를 설치하지 않고도 이미 설치되어 있는 일반학과 내에 계약정원을 추가 증원*하여 산업체가 요구하는 인재를 신속하게 양성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기술지주회사가 자회사로 편입(주식‧지분 매입)할 수 있는 회사 범위를 확대하여 환경 변화에 따른 기술의 융・복합 사업화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기술지주회사의 이익배당금 사용처를 ‘연구개발 기획 업무’에서 ‘연구개발 업무’로 확장하여 기술 사업화로 창출한 수익을 연구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체계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사회
    • 교육/입시
    2023-03-21
  • 교육부 , 제6차 한-호주 교육공동위원회 개최
    교육부 [동국일보] 교육부는 3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호주 교육부와 ‘제6차 한-호주 교육공동위원회’를 개최한다. 한-호주 교육공동위원회는 2008년 양국이 체결한 교육협력 양해각서에 따라 양국 간 교육 교류·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2년마다 개최하는 행사로,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대면 실시한다. 이번 공동위원회에 참석하기 위해 카렌 샌더콕(Karen Sandercock) 호주 교육부 국제처 국장을 수석대표로 한 호주 측 대표단이 방한했으며, 박지영 글로벌교육기획관의 주재 아래 양국의 교육 현황을 공유하고 초·중등 및 고등교육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교육공동위원회는 모두 네 개의 주제로 나누어 양국 간 발표와 질의·답변 시간을 가진다. 먼저, 한국과 호주의 교육정책 추진 현황을 소개한 후 두 번째로 고등교육과 양질의 디지털 및 온라인 교육에 대해 공유한다. 한국 교육부는 ‘국내 대학과 외국 대학 간 온라인 공동학위 과정 운영’과 ‘온라인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지원 방안’을 소개하고, 호주 교육부는 ‘호주 관점에서의 국가를 넘어선 고등교육’을 발표한 후 이어서 고등교육질관리기구의 ‘온라인 교육의 질 보증’에 대해 설명한다. 이후 양국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양질의 고등교육 가능성을 논의한다. 세 번째 주제로 양국은 고등교육에서의 연구 중점 방향과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한다. 한국 교육부에서는 고영훈 학술연구정책과장이 ‘2023년 교육부 학술연구정책 및 추진 방향’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어서 한국교육개발원 김은영 글로벌협력실장이 ‘고등교육에서의 연구 중점’에 대해 소개한다. 호주 교육부에서는 나디아 톰슨(Nadia Thompson) 연구처 과장이 ‘고등교육에서의 연구 중점’에 대해 설명한다. 양국은 주제 발표 후 향후 고등교육분야에서의 연구 협력 가능성을 탐색하는 기회를 가진다. 또한, 이번 공동위원회에서는 양국 간 대학협의체를 통한 고등교육 협력 확대를 위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호주대학협의체(Universities Australia) 관계자 간 논의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양국의 초·중등 교육 주요 정책 추진 현황과 교원의 역량 제고를 주제로 논의한다. 한국 교육부는 ‘교육에서의 디지털 전환’ 정책과 ‘교원의 디지털 역량 제고’, ‘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에 대해 소개하고, 호주 교육부는 ‘국가수준에서의 학교 개혁’, ‘예비 교원의 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학생 복지(Wellbeing)’ 관련 추진 사항을 공유한다. 아울러, 교육공동위원회의 논의 결과는 합의의사록에 담아 양국이 공유한다. 박지영 글로벌교육기획관은 “제6차 한-호주 교육공동위원회는 디지털 대전환 및 코로나19 등 급격한 환경 변화 속에서 양국 간 초·중등 및 고등교육에 대한 상호 이해를 높이고 서로의 정책 추진 경험을 나눔으로써, 향후 교육 분야에서의 교류 및 협력 강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이다.”라고 밝혔다.
    • 사회
    • 교육/입시
    2023-03-21
  •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주한 덴마크 대사대리 머스크 CEO와 면담
    해양수산부 [동국일보]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3월 21일 15시 서울에서 사브리나 미어슨 마이네케(Sabrina Meersohn Meinecke) 주한 덴마크 대사대리, 빈센트 클럭(Vincent Clerc) A.P. 몰러-머스크 그룹 CEO와 면담을 가졌다. 조 장관은 이번 면담에서 국제해운 탄소중립과 친환경 선박부문 및 해상풍력 발전부문에서 양국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사업들을 소개하고 협력방안 논의를 통해 교류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조 장관은 부산의 2030 세계박람회 유치 타당성과 준비 상황을 설명하며 덴마크 측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지도 요청했다. 조 장관은 면담에서 “덴마크와는 녹색해운을 위해 그간 꾸준히 협력해왔으며, 해상풍력 분야에서도 경험을 공유하는 등 지속적인 소통을 해나갈 것”이라며, “이번 면담이 양국 간 해양, 해운 분야의 협력을 더욱 증진 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 사회
    2023-03-21
  • 행정안전부, 경찰제도발전위원회, 경찰대학 개혁방안 논의
    행정안전부[동국일보] 행정안전부는 3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찰제도발전위원회’ 9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경찰제도발전위원회는 지난해 9월 6일 국무총리 소속으로 설치됐으며, 당초 올해 3월 5일까지였던 존속 기한을 3개월 연장하여 오는 6월 5일까지 9개월간 활동한다. 이번 9차 회의에서는 경찰대학 개혁방안, 현장경찰 역량 강화 등과 관련한 내용이 논의됐다. 첫 번째 안건인 경찰대학 개혁방안과 관련해서는 경찰대 졸업생이 별도 시험 없이 자동으로 경위에 임용되는 현행 시스템 개선과 경찰 고위직의 특정출신 독점구조 해소, 경찰 전문성 강화 등을 위한 방안 등이 논의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찰대 졸업생들도 별도의 시험을 통해 경위에 임용하는 방안과 경찰대의 학사과정을 폐지하는 방안 등이 논의됐다. ○ 경위 입직시험 실시 방안에 대해서는 기존 경찰대 졸업생의 경위 자동 임용에 따른 형평성 문제는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지만, 여전히 소수의 경찰대 졸업생에게만 부여되는 응시자격 형평성 문제와 별도의 시험 실시로 인한 행정력 낭비 등이 지적됐다. 경찰대 학사과정을 폐지하고 전문교육기관으로 개편하는 방안과 관련해서도 다양한 논의가 진행됐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국가 예산으로 양성된 경찰대 졸업생들이 로스쿨 등 민간으로 이탈하는 것과 경찰대 출신의 고위직 독점, 일반대학 경찰학과와의 형평성 문제 등이 해소될 것으로 거론됐다. 다만, 우수 인재 유치 방안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두 번째 안건인 현장경찰 역량 강화와 관련해서는 해양경찰 공무원들의 외상후스트레스 장애(PTSD)와 관련한 현황과 문제점, 향후 개선 방안 등에 대한 보고가 진행됐다. 아울러,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민간해양구조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에 대한 보고도 실시했다. 다음 회의는 4월 11일에 개최할 예정이다.
    • 사회
    • 보건/복지
    2023-03-21
  • 복지부, 제16회 암 예방의 날 기념, 유공자 포상 및 국가 암 관리 사업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
    암예방 생활 수칙 [동국일보] 보건복지부는 3월 21일 13시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제16회 암 예방의 날 기념식'을 열고, 암 예방 및 암 관리 사업에 기여한 유공자 포상과 함께 전국 암 관리 사업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유공자 및 가족, 암 관련 단체 관계자,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등 약 200명이 기념식에 참석하여 열 여섯 번째 암 예방의 날을 축하했으며, 식전 행사인 토론회를 시작으로 보건복지부 장관 개회사, 유공자 포상, 기념사진 촬영, 암관리 사업 우수사례 경진대회 순으로 진행됐다. 국립암센터 및 대한암예방학회 공동주관으로 '한국인의 암 예방을 위한 주요정책 현황과 발전 방향'이라는 주제로 개최한 토론회에서는 흡연・음주・식이와 관련된 우리나라 암 예방 정책과 문제점, 대안에 관하여 집중 토론하고 암 예방을 위한 차별화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를 가졌다. 아울러, 기념식 이후에는 국가 암 관리사업담당자의 사기 진작을 위해 '국가암관리사업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열었다. 우수사례로 선정된 경남 진주시보건소 등 10개 기관에 대해 장관상을 수여하고, 각각의 우수사례를 발표하고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유공자에게 포상을 수여하고 기념사를 통해 "건강한 생활습관 실천으로 암을 예방하고, 주기적인 암 검진이 백세시대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첫걸음이다"라고 말하며, 암예방 실천에 대한 개인과 사회의 관심을 강조했다. 더불어, "소아암 치료의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해 소아암 지방 거점병원을 육성하여 소아암 환자와 가족이 지역에서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역단위 소아암 진료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 사회
    • 보건/복지
    2023-03-21
  • 방송통신위원회, TV조선 '재승인' 의결
    방송통신위원회 [동국일보] 방송통신위원회는 2023년 3월 21일 전체회의를 개최하여 2023년 4월 21일 승인유효기간이 만료되는 종합편성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인 ㈜조선방송의 재승인 여부를 심의·의결했다. 방통위는 지난 2월 방송‧미디어, 법률, 회계 등 총 5개 분야 전문가 13인으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2박 3일('23.2.22.~24.)동안 합숙 심사를 진행했으며, 방송의 공적책임·공정성의 실현 가능성과 지역·사회·문화적 필요성, 방송프로그램의 기획·편성·제작 및 공익성 확보 계획의 적절성, 방송발전을 위한 지원 계획의 이행 및 방송법령 준수 여부 등 방송법에 규정된 6개 심사사항을 심사했다. 심사위원회 심사 결과 ㈜조선방송은 689.42점(총점 1,000점)을 획득했으며, 방통위는 「2023~2026년도 방송사업자 재허가‧재승인 사전 기본계획('22.9.21.)」에 따라 '재승인'을 의결하고 4년('23.4.22.∼'27.4.21.)의 승인 유효기간을 부여했다. 또한, 방통위는 심사위원회 심사의견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방송의 공적책임·공정성을 실현하고 방송프로그램의 공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총 8개의 조건과 9개의 권고사항을 부과했다. 조건과 권고사항의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방송의 공적책임·공정성 강화를 위해 취재보도 준칙, 윤리강령 등 내부규정과 교육제도를 재정비하여 운영하고 내부규정을 위반할 경우 징계 규정을 엄격히 적용할 것'을 조건으로 부과하고, 기존의 방송심의 관련 규정위반 건수를 일정 기준 이상 제한하는 조건은 유지하되, '선거방송심의 특별규정' 조건 위반 건수를 판단함에 있어 선거 대상의 범위를 기존의 전국단위 선거에서 재·보궐 선거도 포함하도록 기존 조건을 수정했다. 또한,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공적책임, 공정성 진단을 수행하는 외부 전문기관을 투명하고 공개된 공모절차를 통해 선정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방통위에 제출'하도록 권고했다. 아울러, 심사위원회에서 제시한 의견에 따라 '방송의 사회문화적 다양성을 제고하고 상대적 소수이거나 이익추구 실현에 불리한 집단·계층의 권익증진을 위해 공익적 프로그램 편성을 확대하고 접근성 확대를 위해 노력할 것'과, 방송의 품격제고를 위해 현재 TV조선이 운영 중인 '팩트체크 제도를 시사프로그램에도 적용하도록 노력할 것' 등의 권고사항을 부과했다. 그리고, 콘텐츠 투자금액을 집행하지 못했을 경우 해당금액을 이행실적 점검이 있었던 다음해까지 투자토록 하던 것을 재승인 기간 내 투자할 수 있도록 관련 조건을 수정하여 방송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방통위는 ㈜조선방송이 사업계획서와 재승인 조건 등을 성실히 준수함으로써 방송의 공적책임 및 공정성 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이행실적을 매년 철저히 점검할 계획이며, 점검결과 미이행 시에는 방송법령 등에 따라 시정명령 등 엄격한 행정처분을 부과할 예정이다.  
    • 사회
    • 사회일반
    2023-03-21
  • 한-싱가포르 해양안보 협력 대응 강화
    제16차 한-싱가포르 정례회의에 앞서 이명준 국장과 싱가포르 사령관이 토의 기록 서명식 하는 사진[동국일보] 해양경찰청은 오늘부터 24일 까지 3일간 제16차 한-싱가포르 해양치안기관 정례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싱가포르 정례회의는 지난 2004년 기관 양해 각서(MOU) 체결 이후 16회째로 2019년 이후 4년 만에 싱가포르 해경 사령관 정깅굥(Cheang Keng Keong) 치안감이 다시 해양경찰청을 방문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그간 양 기관의 교류협력 성과를 평가하고 올 하반기 싱가포르 해양경찰 특공대 초청 합동훈련 등 인적교류 활성화와 인재 양성을 논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싱가포르 대표단은 제주지방해양경찰청 등 방문 일정을 이어가 해양경찰의 도서지역 안전관리 및 사고 예방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도출 할 계획이다. 해양경찰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해적·해상강도 등에 공동대응하고 국제성 범죄 예방 등 양 기관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사회
    • 사회일반
    • 경찰
    2023-03-21
  • 이기식 병무청장, 해군 제2함대 동원훈련장 방문
    병무청[동국일보] 이기식 병무청장은 21일 해군 제2함대 동원훈련장을 방문해 훈련 중인동원예비군과 부대 관계자를 격려하고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이날 방문은 코로나19로 인해 중단됐던 동원훈련이 정상 시행됨에 따라 동원훈련 과정의 감염병 대응 실태 확인 및 현장의 소리를 듣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하여 마련됐다. 이기식 청장은 국방개혁 추진 등 현역병 감축에 따라 예비전력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시기에, 생업을 미뤄두고 국가의 부름에 기꺼이 응하여 동원훈련에 참가한 예비군들에게 고마움을 전했다. 또한, 대한민국 서해 및 수도권 해안 방어를 책임지는 해군 2함대 부대 관계자를 격려하며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기식 청장은 코로나19 상황이 안정화되면서 4년 만에 정상 시행되는 훈련임을 강조하며,“군과 긴밀히 협력하여 감염병 및 각종 사고로부터 안전한 환경에서 동원훈련이 실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사회
    2023-03-21
  • 질병관리청, 동남아 방문 시 모기매개 감염병 주의하세요!
    [동국일보] 질병관리청은 동남아시아 방문자에서 뎅기열 및 치쿤구니야열 지속 발생에 이어, 최근 올해 첫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도 확인됨에 따라 동남아시아 방문 시 모기매개 감염병에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주의를 당부했다.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병을 일으키는 원인체는 각기 다르지만, 모두 감염된 숲모기류(이집트숲모기, 흰줄숲모기)에 물려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매개 모기가 동일하다. 해외유입 모기매개 감염병 3종은 각각 전세계 아열대 및 열대지역 약 100여 개국에서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10개국*은 모두 매개모기 서식 및 모기매개 감염병 자체 발생이 보고된 국가에 해당한다. 올해 현재까지 국내 발생이 보고된 모기매개 감염병 사례는 이번에 첫 확진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를 포함하여 모두 41명으로, 2022년 동기간(2명) 발생 대비 약 21배 증가했으며, 이들 중 인도 또는 볼리비아 방문력이 있는 2명을 제외한 39명(95.1%)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국가 방문 후 확진됐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첫 확진사례는 50대 여성으로, 올해 2월 인도네시아에 방문하여 모기에 물렸으며, 3월 초 귀국 후 피로, 고열, 발진, 결막염 등 증상이 지속되어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확진됐다. 뎅기열은 올해 1월부터 현재까지 신고된 확진환자 35명 중 베트남을 방문한 후 감염된 사례(12명)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인도네시아(9명), 필리핀 (5명), 태국 및 말레이시아(각 2명), 라오스, 싱가포르, 인도, 볼리비아(각 1명) 순이었다. 치쿤구니야열은 올해 5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태국(4명), 필리핀(1명) 방문 후 감염이 확인됐다. 지영미 청장은 동남아 등 모기매개 감염병 발생 국가를 방문 계획하고 있는 국민에게 다음과 같이 해외유입 모기매개 감염병 예방수칙을 숙지하여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및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 사회
    • 보건/복지
    2023-03-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위공무원 인사(국장급)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동국일보] 과기정통부 고위공무원 인사 국장급 전보 ▲ 연구개발투자심의국장 오대현 (吳大鉉, 성과평가정책국장)
    • 사회
    • 부음/인사
    2023-03-21
  • 소방청, 심정지환자 생명 살린 '영웅' 5,667명
    심정지 환자 병원 전 자발순환 회복률 (최근2년간) [동국일보] 소방청은 2022년 한 해 동안 심정지환자에게 신속하고 적극적인 응급처치를 시행하여 생명을 살린 소방공무원 및 일반 국민 하트세이버가 모두 5,667명이라고 밝혔다. 2008년부터 시작된 ‘하트세이버’는 심정지환자에게 심폐소생술 또는 심장충격기 등을 활용해 일상 생활이 가능한 정도로 소생시킨 사람에게 인증서(인증패)나 배지를 수여하는 제도이다. 하트세이버 5,667명 중 소방공무원은 5,107(90.1%)명으로 가장 많고, 일반 국민 412명(7.3%), 그 외 사회복무요원·의무소방원 등이 148명(2.6%)이었으며, 2021년 대비 5,110명과 비교하면 557명(10%)이 증가한 것이다. 증가한 이유로는 소방상황실 119 신고 접수단계에서 전화로 응급처치를 안내하는 ‘전화지도 CPR’ 시행률 증가, 중증 응급환자를 전문적으로 처치하는 특별구급대 확대 운영, 목격자의 적극적인 CPR 시행 등으로 분석된다. 또한, 119구급대로 이송된 심정지 환자의 병원 전 자발순환 회복률 도 2021년 9.8%에서 2022년 9.9%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태한 소방청 119구급과장은 “하트세이버 중 특히 남다른 사명감과 헌신의 마음으로 소중한 생명을 구해준 국민들이야말로 진정한 영웅”이라면서 “앞으로도 국민들께서 심정지환자를 목격했을 때 신속·정확하게 CPR을 실시할 수 있도록 일반인 대상 CPR 교육 및 전화 지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사회
    • 사회일반
    • 소방
    2023-03-21
  • 행안부, 주택 등에 인접한 산지 태양광 주변 비탈면 일제조사
    행정안전부[동국일보] 행정안전부는 산지를 개발하여 설치한 태양광 시설 주변 지역에 대한 비탈면 붕괴, 토사 유출 등의 위험성이 제기되어 옴에 따라, 산지 태양광 시설 주변의 급경사지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산지 태양광 시설로 인한 사고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총 35건이 발생했으며, 작년 8월에는 집중호우로 강원도 횡성군의 한 야산에서 태양광 발전부지 인근 비탈면이 유실되면서 인명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산지 태양광 시설 설치 과정에서 흙을 쌓거나 깎아내어 조성되는 급경사지는 자연상태 경사지에 비해 안정성이 낮아 급경사지 상단에 설치되는 시설물의 무게 등과 같은 외부하중에 무너지는 등 취약하다. 또한 급경사지의 배수로 내에 토사가 유입되어 물이 잘 빠지지 못하면서 수압으로 인해 붕괴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는 등 우려가 크다. 행정안전부는 주택, 도로 등 생활권에 인접한 전국 산지 태양광 주변의 지형도면 분석을 통해 급경사지 위험지역으로 추정되는 9개 시․도, 49개 시․군․구에서 총 251개소를 추출했다. 시․군․구 등 급경사지 관리기관에서는 이번 추출된 위험지역을 포함하여 지자체가 파악하고 있는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지역과 붕괴위험지역 정비사업장 등에 대해 안전관리 일제조사를 하고 있다. 특히 행안부는 민간전문가와 합동점검반을 구성하여 3월 27일부터 31일까지 전국 20여 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관리기관의 안전점검, 시설물 유지관리 등이 적정하게 실시되고 있는지 표본 현장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점검결과는 지자체 등 관리기관에 즉시 통보하여, 위험요인 제거, 관련 시설 사용 제한, 현장 통제 등의 응급조치를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보수․보강을 하도록 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올해 말까지 산지 태양광 주변의 급경사지를 신규로 지속 발굴하고, 그 결과를 관리기관에 통보하여 신규 급경사지로 관리토록하는 한편, 해빙기와 집중호우 시기에 대비하여 매년 실시해오고 있는 안전점검이 보다 철저히 실시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실장은 “최근 기후변화와 인위적인 산지 개발로 인해 급경사지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크다”라면서, “행안부는 꼼꼼한 점검과 신속한 안전 조치를 통해 국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사회
    2023-03-21
  • 행정안전부, 전국 읍면동장이 모여 국정과제 추진 공감대 형성
    행정안전부[동국일보] 행정안전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은 3월 22일, 전국 읍면동장 245명을 대상으로'읍면동장 국정과제 공유 연수회(워크숍)'를 정부세종청사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회는 주요 국정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국가 주요 정책이 각 지역에서 실질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연수회의 프로그램은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추진 방향, ▴지역복지정책 추진방향, ▴바람직한 읍면동장의 역할, ▴지역복지사업 및 주민자치회 우수사례 소개 등으로 구성됐다. 안승대 행정안전부 자치분권정책관은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추진 방향'을 설명하고, 노정훈 보건복지부 지역복지과장은 읍면동의 실제 복지업무를 중심으로 '지역복지정책 추진방향'을 공유한다. 이어서, 노계향 함께자치연구소장은 지방시대를 열어가는 '바람직한 읍면동장의 역할'에 대해 강연하고 우수사례를 공유한다. 지역의 읍면동 우수사례로는 광주 광산구 “지역복지사업 추진현황” 사례와 세종시 고운동에서 추진되고 있는 “고운동주민자치회 추진사업” 등이 소개된다. 한창섭 행정안전부 차관은 “활력 넘치는 지방시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역 일선 현장의 책임자인 읍면동장의 리더십과 역할이 중요하다”라며, “이번 연수회가 읍면동장이 국정과제를 이해하고, 살기좋은 지역을 만들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는 데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사회
    2023-03-21

경제 검색결과

  • 국토교통부, 알뜰교통카드로 지난해 대중교통비 21.3% 아꼈다
    '21년 대비 '22년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만족도 등 비교 [동국일보]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이성해)는 알뜰교통카드 사업의 '22년도 이용실적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대중교통비 절감을 위해 시행중인 알뜰교통카드의 지난해('22년) 이용자들은 월 평균 13,369(마일리지 적립액 9,245원, 카드할인 4,124원)원을 아껴 월 평균 대중교통비 지출액(62,716원)의 21.3%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 이용자(차상위계층 및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월 평균 17,657원(마일리지 14,263원, 카드할인 3,394원), 대중교통비의 30.9%를 절감한 것으로 분석되어 '21년도 월 평균 15,571원, 대중교통비의 28.1% 절감한 것에 비해 대중교통비 부담이 더욱 경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가안정대책의 일환으로 저소득층에 대한 혜택이 대폭 확대('22.8월~)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동 기간동안 저소득층 가입자도 대폭 증가했다.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21년 12월 29만명에서 '22년 12월 48.7만명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현재 53.6만명('23. 3월 현재)을 넘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알뜰교통카드 이용지역도 계속 확대되어 현재 전국 17개 시‧도의 173개 시ㆍ군ㆍ구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용횟수도 월 평균 39.6회로 '21년(38.9회) 대비 0.7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알뜰교통카드 이용자의 연령대는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은 20대(40%)·30대(34%) 젊은층 이용비율이 여전히 높았고, 40대~60대의 이용자 비율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년 이용만족도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만족 이상이 92.0%(매우만족 55.6%, 약간 만족 36.4%)으로 나타나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응답자의 95.1%가 알뜰교통카드가 교통비 절감에 효과가 있다고 응답했다. 한편, 알뜰교통카드 앱 사용 안정성/실행속도, 조회/정보 업데이트 부분에 대한 만족도는 감소하여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원희룡 장관은 “알뜰교통카드 이용으로 교통비가 절감되어 고물가 시기에 국민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릴 수 있게 됐고,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수와 이용횟수 또한 모두 증가하는 등 대중교통 이용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면서,ㅇ“7월부터 적립한도를 늘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사업이 시행되면 교통비 부담완화 효과가 더욱 확대될 것이다”라며 “이용자 수가 증가한 만큼 앱 실행 속도 등 불편사항을 개선하고 편의성을 높여, 청년층뿐만 아니라 전 국민 대중교통 플랫품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 경제
    2023-03-22
  • 환경부, 물산업 매출액 47조 4,220억 원, 전년대비 1.8% 증가
    물산업 통계조사 인포그래픽[동국일보] 환경부는 2021년 기준 국내 물산업 현황 및 실태를 담은 ‘물산업 통계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정부의 물산업 분야 정책 및 연구 등에 활용하기 위해 물산업 활동을 영위하는 종사자 1인 이상 모든 사업체를 대상으로 2011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승인 통계조사다. 조사항목은 물산업 사업체 일반현황, 경영활동 등 20개 항목으로 구분되며, 특히 올해부터는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수출 활성화와 전문인력 양성 필요성에 따라 해외 입찰·수주 현황, 재직자 교육·훈련 현황도 조사항목에 추가됐다. 이번 조사 결과, 사업체 수를 비롯해 물산업 분야 매출액 및 수출액 등이 전년에 이어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물산업 사업체 수는 전년(1만 6,990개) 대비 1.7% 증가한 1만 7,283개이며 업종별로는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8,947개,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5,413개로 전체의 83.1%를 차지했다. 물산업 분야 종사자 수는 전년(19만 7,863명) 대비 2,787명이 증가(1.4%↑)한 총 20만 650명으로 확인됐다. 물산업 분야 총 매출액은 약 47조 4천억 원으로 국내 총생산(GDP) 2,071조 7천억 원의 약 2.3%를 차지하며, 전년도 매출액(약 46조 6천억 원) 대비 약 1.8% 증가했다. 특히, 물산업 분야 수출액은 총 1조 9,749억 원으로 전년(1조 8,656억 원) 대비 약 5.9% 증가하여 매출액보다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파악됐다. 해외진출 사업체는 445개로 전년(400개) 대비 11.3% 증가했으며, 이 중 물산업 제조업 분야가 399개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물산업 사업체 중 연구개발 사업체 비율은 16.9%로 전년(14.8%) 대비 높아졌으나, 물기술 혁신을 위해서는 앞으로 연구개발(R&D) 확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통계조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물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한국상하수도협회를 통해 물산업 관련 기업에게도 배포될 예정이다. 손옥주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물산업 통계를 통해 물산업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물산업 관련 정책 수립과 의사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물산업 통계를 참고하여 앞으로도 물산업 육성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국내 물산업 성장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경제
    2023-03-22
  • 중소벤처기업부, 대기업과 함께 문제를 해결할 스타트업을 모집합니다!
    ’23년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 지원사업[동국일보] 중소벤처기업부는 2023년도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OI) 지원사업’의 문제해결형(Top-Down)과 자율제안형(Bottom-Up) 프로그램에 참여할 스타트업을 3월 22일부터 모집한다고 밝혔다.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OI) 지원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가 대․중견․공기업과 스타트업 간 상생협력의 개방형 파트너십을 유도하고 협업체계를 구축, 지원하는 사업이다. 대․중견․공기업은 외부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활용해 신시장과 신사업 창출의 새로운 계기가 되고, 스타트업은 대기업 등과 협업을 통해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문제해결형(Top-Down) 프로그램은 대․중견․공기업이 제안한 과제를 스타트업이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활용해 대․중견․공기업과 함께 해결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스타트업과 협업을 희망하는 23개 수요기업이 38건의 협업과제를 신청했고, 그 중 디지털전환,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분야와 ESG 경영 분야를 중심으로 총 16개 수요기업의 18개 협업과제를 선정했다. 주요 과제로는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한국수자원공사는 인공지능 위성영상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K-water 관리 수도부지 내 불법행위 검출 등 자동 탐지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인공지능 분야'에서 풀무원은 AI를 활용한 농산물 재배 조건 최적화 모델링&시뮬레이션을 제안했다. '환경분야'에서 무림P&P는 펄프 소재 활용을 통해 기존 소재, 제품을 대체 할 수 있는 친환경 생활용품 및 산업용품 생산/가공 기술개발을, '사회 분야'에서 카카오는 제주의 폐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새활용 제품 개발을 제안했다. 문제해결형(Top-Down) 프로그램은 총 3단계의 평가와 2차례 고도화 상담(멘토링)을 거쳐, 결선진출 스타트업에게는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1위) 및 창업진흥원장상(2·3위)을 수여한다. 총 45개사 내외 수상 스타트업에게는 과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구체화 및 협업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업화 자금(최대 1억원 이내)과 기술개발자금(최대 1.2억원 이내) 등을 후속 연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4월 5일부터 공모하는 자율제안형(Bottom-Up) 프로그램은 민간에서 운영 중인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스타트업과 대․중견․공기업의 협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14개 민간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신청결과 12개 프로그램이 선정됐으며, 프로그램별로 스타트업을 모집하고, 평가를 통해 선정된 협업 스타트업을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OI)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지원한다. 총 27개사 내외로 협업 스타트업을 선정할 계획이며, 최종 선정된 스타트업에 사업화 자금 최대 1억원 및 1:1 전담 멘토링, 공동R&D․사업기회, 투자유치 등을 패키지로 지원한다. 공모 일정은 프로그램별 상이하니 해당 수요기업의 누리집 확인이 필요하다.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OI) 지원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스타트업은 3월 22일부터 5월 10일까지 케이(K)-스타트업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 누리집과 K-스타트업 누리집에서 공고문을 확인하면 된다.
    • 경제
    2023-03-21
  • 한덕수 총리, 부울경 지역 기업의 현장애로 청취
    국무조정실[동국일보] 한덕수 국무총리는 3월 21일 오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있는 부산상의(부산 부산진구 황령대로 24)를 찾아 부울경지역 기업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방문은 지난 3월 16일 충남 아산에서 있었던 충청지역 수출기업 현장간담회에 이어 부울경지역 기업 현장의 의견을 듣고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이뤄졌다. 이날 한 총리는 심재운 부산상공회의소 경제정책본부장으로부터 지역 경제현황을 소개받은 다음 간담회를 통해 지역기업의 현장애로를 청취했다. 기업 대표들은 간담회에서 ▴해외 바이어와 직접 계약 후 해당 고객의 납품처인 국내 기업에 제품을 보내는 경우에도 수출실적 인정 ▴수출국 현지 인증제도 등에 대한 컨설팅 제공 ▴B2C 제품 수출지원 확대 등을 건의했다. 이 자리에서 한 총리는 대내외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주력산업인 자동차·선박 등의 선전으로 부울경 지역이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 되어주고 있으며, 앞으로도 우리 경제가 흔들리지 않도록 부울경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다음달에 있을 2030 부산엑스포 현지 실사 결과가 BIE 회원국의 의사결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만큼 부울경 기업에서도 힘을 모아줄 것을 당부했다. 한 총리는 지난주 충청지역, 이번주 부울경지역 간담회에 이어 앞으로도 지역별로 현장 간담회를 개최하여 기업의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소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 경제
    2023-03-21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 공포안 국무회의 통과
    중소기업 매출채권팩토링 사업 구조[동국일보]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사장 김학도)이 중소기업 매출채권팩토링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근거를 명확히 하기 위한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 공포안이 3월 21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번 법률 개정안은 국회에 발의된 2개 의원안을 통합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 대안으로, 본회의 통과 후 정부로 이송됐으며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공포일로부터 3개월 후 시행된다. 팩토링 사업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판매기업의 매출채권을 매입하여 단기유동성을 공급하고, 구매기업으로부터 상환받는 사업으로 지난해부터 추진됐고, 올해도 1월 31일부터 신청을 받고 있다. 특히, 구매기업이 대금을 결제하지 못하더라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판매기업에 상환을 청구하지 않아 중소기업의 연쇄 부도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법안의 주요 내용은 중소벤처기업창업 및 진흥기금의 사용 용도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사업 범위에 ‘중소기업·벤처기업이 물품 또는 용역을 제공하고 취득한 매출채권의 상환청구권 없는 매입·관리 및 회수’를 추가하는 것이다. 이번 법률 개정을 통해 지난해 신규 사업으로 시작된 팩토링 사업의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기반을 마련했으며, 앞으로도 팩토링 사업의 지속 수행을 통해 중소기업의 유동성 애로를 해소하고 연쇄 부도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경제
    2023-03-21
  •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이 혁신기업가로 성장하는 생태계를 만든다
    소상공인 지원 기본계획(2023년~2025년) 인포그래픽[동국일보] 중소벤처기업부는 3월 21일 대통령 주재 제12회 국무회의에서 「소상공인 지원 기본계획(2023년~2025년)」을 발표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소상공인기본법」 제7조*에 따라 3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계획으로, 향후 3년간 소상공인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립했다. 최근 20~30대의 기회형 창업이 증가하고, 지역의 위상이 높아지는 ‘로코노미*’가 나타나며, 경제 전반에 디지털화가 확산되는 등 소상공인들이 새로운 혁신을 추구할 수 있는 경제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다만, 코로나19의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高 위기, 에너지비용 상승 등이 이어지며 경영상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현장의 목소리도 함께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8월 ‘새정부 소상공인·자영업 정책방향’을 발표하여 단기적인 긴급대응 플랜과 중장기적으로 ‘기업가정신과 시장경쟁력을 갖춘 소상공인 육성’을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으로 제시했다. 또한, 지난 2월 15일 제13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덜어줄 방안들을 마련하고, 업계 관계자 및 전문가들과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소상공인들이 직면한 경영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이를 종합하여, 소상공인이 위기를 극복하고 혁신기업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중점 추진할 5대 전략과제를 중심으로 이번 2차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기업가형 소상공인 성장단계별 육성전략] 창업부터 성장, 도약까지 단계별 지원체계를 만들어 유망한 소상공인을 발굴하고 글로벌로 진출하는 기업가 또한 지역을 선도하는 로컬기업으로 육성한다. 창업 단계에서는 전국 17개 신사업창업사관학교에 현장형 교육훈련을 확충하고, ‘소상공인 혁신허브’를 새롭게 구축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예비창업자를 발굴한다. 성장 단계에서는 ‘강한 소상공인’, ‘로컬크리에이터’ 등 유형별 유망 소상공인을 선정하고 사업화와 자금을 집중 지원하여 사업모델을 고도화하고, 사업규모를 확장하도록 돕는다. 마지막으로 도약 단계에서는 ‘우리동네 펀딩’, ‘매칭융자’ 사업과 함께 소상공인에게 적합한 투자제도를 신설하여 유망 소상공인에게 민간의 자금이 유입되어 스케일업을 촉진할 수 있는 투자환경을 조성한다. [ 지역상권·전통시장 발전계획 본격 추진] 선도 로컬기업을 중심으로 지역의 산업·문화·컨텐츠를 연계하여 누구나 방문하고 싶어지는 매력적인 스토리를 보유한 ‘로컬브랜드 상권’을 구축한다. 또한 상권활성화 3개년 종합계획 및 민간혁신가와 자본의 유입을 촉진하는 상권기획자, 상권발전기금 제도를 도입하여 상권의 발전을 뒷받침하는 든든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상권기획 – 활성화 – 사후관리를 단계별로 지원하여 민-관 협업을 통해 상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상권세움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전통시장의 경우 IT 대기업과의 상생협약*을 체결하고 디지털 전담인력과 배송시설을 지원하는 등 디지털 인프라를 보급하며, 특히 디지털 전환을 통해 유의미한 성과를 창출해 내는 선도모델 ‘등대 전통시장’을 2개소 만들어낼 계획이다. 온누리상품권을 매년 4조원씩 발행하여 전통시장 매출을 활성화하고, 주차환경개선과 화재공제를 통해 전통시장의 접근성과 안전성을 개선하는 등 기존 지원정책들도 차질 없이 추진할 예정이다.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확산·고도화] 2025년까지 5만개의 스마트상점과 공방을 보급하고, 온라인으로 진출하여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E-커머스 소상공인’을 매년 10만명씩 양성한다. 더 나아가 대기업이 선도기술과 노하우를 전수하고 비용도 분담하는 ‘상생형 스마트상점’과 업종별로 다양한 스마트기술을 도입한 ‘스마트상점 모델샵’ 등 고도화된 형태의 스마트상점을 구축할 계획이다. 스마트공방의 경우, 5개사 내외 소공인이 팀을 구성하여 공동 작업하는 ‘클러스터형 스마트공방’을 새롭게 만들고, 전담 컨설턴트를 통해 공방 수준에 따른 맞춤형 고도화를 진행한다. 또한, 데이터 경제 시대에 발맞춰 소상공인들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영환경을 분석하고, 새로운 사업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기관별로 분산된 상권정보를 집약한 전국상권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 회복-폐업-재기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정책융자(’23. 3조원)와 신용보증(’23. 25조원) 및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23~’24. 9.5조원)을 공급하여 소상공인 금융애로를 해소하고, 대출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은 새출발기금을 통해 채무조정을 지원한다. 특히 2023년의 경우 금리 및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상반기에 정책융자를 78.3% 수준으로 신속 집행하고, 하반기에는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의 가계신용대출도 일정부분 대환대상에 포함할 계획이다. 또한 에너지비용 경감을 위해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등에만 적용되던 전기・가스요금 분할납부를 소상공인에게도 확대 적용*하고,중소벤처기업부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에너지고효율 설비를 소공인 작업장에 보급하고, 에너지비용 절감 효과가 높은 스마트기술을 발굴·검증하여 소상공인 상가에 보급할 예정이다. 경영회복이 어려울 경우, 안전하게 폐업하고 신속하게 재창업·취업에 성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소상공인 폐업 안전망 ’노란우산공제‘에 복지·후생사업 신설을 추진하여 소상공인의 가입을 확대하고, 컨설팅·법률자문·점포철거·채무조정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원스톱 폐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희망리턴패키지’를 통해 재취업·재창업에 필요한 교육과 자금을 지원하고, ’재기지원 패스트트랙‘을 구축하여 성실한 채무조정자들이 재도전에 성공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한다. ‘소공인 성장 패스트트랙’을 만들어 혁신기술을 보유한 소공인을 육성하고, ‘로컬유통 인프라’를 구축하여 도·소매 소상공인의 물류 경쟁력을 강화한다. 그 외에 음식점업, 개인서비스업, 농·어업 등 업종별 맞춤형 지원방안도 함께 추진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상의 5대 전략과제를 2025년까지 차질 없이 이행하여 소상공인들이 직면한 경영위기를 극복하고, 기업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할 계획이다. 이영 장관은 “그동안 소상공인은 생계유지를 목적으로 창업하고, 정부의 보호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보편적이었다. 이제는 소상공인이 벤처·유니콘 기업으로 나아갈 수 있는 성장의 씨앗으로 여겨지도록 하겠다”며,“우리 경제를 지탱하는 근간인 소상공인이 혁신기업가로 거듭나 국민의 삶을 행복하게 만들고, 대한민국 경제를 이끌어나가는 당당한 경제 주체로 자리잡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경제
    2023-03-21
  •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 확대 추진본부 농기계 분야 간담회 개최
    농림축산식품부[동국일보]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3월 21일 오후,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충남 천안시 소재)에서 K–Food+ 수출 확대 추진본부 농기계 분야 간담회를 개최하여 농기계 수출 현황을 점검하고 업체들을 격려했다. 이날 간담회는 K–Food+ 수출 확대 추진본부 출범 이후 첫 농기계 분야 간담회로 농기계 수출을 주도하는 ㈜대동, TYM, LS엠트론과 중소 업체인 긴트, 헬퍼로보텍, 장자동화와 한국기계연구원, 한국농기계학회, 농촌진흥청 등 유관기관이 참여하여 농기계 수출 확대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정황근 장관은 “올해 우리부는 농식품과 농업 전후방 연관산업의 수출액 135억불 달성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으며, 최근 농기계 수출은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어 수출 전망이 밝은 산업으로 농기계 역할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업체들이 어려운 상황에도 농기계 수출 확대에 더욱 노력해 줄 것”을 당부하면서 수출 확대를 위한 업체의 요구사항을 꼼꼼히 챙기겠다”라고 밝혔다. 정부는 금년부터 기존 농기계 생산구입자금(금리 2.5%)을 2천억원에서 3천억원으로 확대 지원하고, 범정부 차원의 신성장 정책자금 2조 2천억원 확보, 혁신성장펀드 3조원 투자 대상에도 농기계 분야를 포함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 경제
    2023-03-21
  • 고용노동부, 2023 예술인 고용보험 찾아가는 설명회 개최
    2023년도 예술인 고용보험 찾아가는 설명회[동국일보] 근로복지공단(이사장 강순희)과 한국예술인복지재단(대표 박영정)은 문화예술용역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사업주들이 보다 쉽게 예술인 고용보험 관련 사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전국 9개 주요지역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사업주뿐만 아니라 예술인과 예비예술인들이 더욱 쉽게 예술인 고용보험 제도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대학 등 예술 관련 교육기관을 대상으로도 찾아가는 설명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근로복지공단 강순희 이사장은 “지난 2020년 12월 10일에 시작된 예술인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17만 명에 달하는 등 문화예술 분야 고용안전망으로서 기반이 정착되었다. 이번 설명회가 제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고용안전망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예술인이 더욱 쉽게 예술인 고용보험제도에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 경제
    2023-03-21
  • 고용노동부, 청년이 찾는 기업 만들기, “공정채용 컨설팅”으로 도와드립니다
    「공정채용 컨설팅」 지원사업 개요[동국일보]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어수봉)은 3.21일 「공정채용 컨설팅」 사업을 신규 시행하고, 채용 제도에 대한 정보‧체계가 부족한 중소기업 150개소를 직접 찾아가 공정채용 제도의 설계‧도입을 무료로 지원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사업 홈페이지에 접속해 원하는 컨설팅 기관을 선택하고 신청하면 된다. 정부는 공정채용에 대한 국민의 높은 관심과 기대에 발맞춰 “공정한 채용기회의 보장”을 국정과제(50-1)로 선정하고, 다양한 정책 노력과 함께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해 왔다. 「공정채용 컨설팅」은 그간 현장에서 수렴된 청년과 기업의 요구에 대해 전문가가 직접 해법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현장의 자율적 변화를 지원한다. 기업에게 “투명”하고 “능력” 중심의 채용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청년과 기업이 모두 “공감”하는 채용문화를 확산할 계획이다. 주요 지원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업의 현 채용 제도를 진단한다. 전문 컨설팅 기관이 자료 검토(채용광고, 인사규정 등) 및 담당자 인터뷰를 토대로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보완점을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체계적인 절차를 갖추고 있는지(채용일정 안내, 응시원서 접수 등) ▴법령에 어긋나는 요소가 있는지 ▴원하는 인재를 채용하고 있는지 ▴채용된 인재의 조기 이탈이 있는지 등을 진단한다. 다음으로, 청년과 기업이 공감하는 공정채용 제도를 설계한다. 먼저, 채용 과정의 불법‧불합리한 점을 개선하고 투명한 채용시스템 운영을 지원한다. 서류‧면접 등 단계별 결과를 신속히 안내하고, 면접에서 불합격한 경우, 결과와 함께 기업 상황에 맞게 불합격 사유를 피드백해주는 방안을 제시한다. 아울러, ▴키‧몸무게 등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면접에서 직무와 무관한 사항을 요구하지 않도록 컨설팅하고, 기업의 대표, 채용 담당자, 면접관 등을 대상으로 면접관 교육도 실시한다. 한편, 기업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평가모델을 구축하고 원하는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를 선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청년 구직자들도 필요한 직무역량과 수행할 직무를 사전에 구체적으로 확인해 준비 부담을 덜고 입사 후 직무 부적응에 따른 조기 이직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기업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우수사례를 제공한다. 이미 현장에서 검증된 우수 채용 제도를 기업의 사정에 맞게 도입함으로써 기업은 청년 인재 확보와 이미지 제고의 효과를, 청년은 채용 과정의 공정성을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고용노동부 이현옥 청년고용정책관은 “새롭게 시행하는 「공정채용 컨설팅」 사업은 그간 현장에서 수렴된 공정한 채용을 바라는 청년과 기업의 목소리에 대한 정부의 피드백”이라고 강조하며 “현장에 공정한 채용질서와 문화를 확산해나가기 위해, 컨설팅 등 인식개선 노력과 아울러 「공정채용법」 개정도 차질 없이 추진해 법적 기반을 탄탄히 다져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경제
    2023-03-21
  • 고용노동부, “노동의 미래 포럼” 발대식 개최
    고용노동부[동국일보] 고용노동부는 3월 21일 KT&G 상상플래닛에서 「노동의 미래 포럼」 발대식을 개최했다. 「노동의 미래 포럼」은 그간 대통령이 노동개혁은 미래세대를 위한 것이며, 다양한 소통을 강조한 데 따른 후속 조치이다. 「노동의 미래 포럼」에는 대학생, 재직자(사무직ㆍ현장직), 플랫폼기업 대표, 중소기업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 전문직, 청년활동가, 각 부처 청년보좌역 등 다양한 직업과 경력의 청년 약 40명이 참여했다. 포럼위원들은 현장방문, 간담회 등 다양한 대국민 행사와 노동개혁 논의체에 참여하는 전문가들과의 연석회의 등을 통해 청년 등 국민 여론 수렴, 정책 홍보, 개혁과제에 대한 제언 등의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날 발대식에 참석한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노동개혁의 성공을 위해서는 이해관계자와의 충분한 소통과 폭넓은 의견수렴이 중요하다.”며 “현장과 함께하는 소통을 확대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포럼 위원들에게 “앞으로 다양한 현장에서 청년을 포함한 여러 분야의 이해관계자들과 잦은 소통의 기회를 가지면서 젊고 참신한 시각으로 바라본 현장의 목소리를 가감 없이 생생하게 전달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하면서, 정부는 “포럼 활동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입법예고 중인 근로시간 제도 개편안에 대해서도 “현장에서는 정당한 보상 없이 연장근로만 늘어나고 일한 후 제대로 쉴 수 없는 것 아닐까 하는 불안과 우려가 있다.”며 “정부는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도록 입법예고 기간 동안 청년을 비롯한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제도 개편 취지가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보완방안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특히, 공짜노동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으로 강력히 대처해 현장의 편법‧불법‧불신을 해소하고 준법과 신뢰의 노동질서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후 발대식에서는 임소형 위원이 포럼 활동계획을 발표했고, 이어서 상생임금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한석호 전태일재단 사무총장이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 발제했다. 발제 이후에는 ‘청년이 바라는 노동개혁’이라는 주제로 포럼 참여 청년들과 함께 토론이 진행됐다. 우선, 앞서 발제한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과 관련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근로 여건을 개선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달라는 요청이 있었다. 정부가 추진 중인 근로시간 제도개편에 대해서도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제도개편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공짜야근, 임금체불, 장시간 근로 관행, 연차 사용의 어려움 등이 해소되어야 실질적으로 지지와 공감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편, 노사 법치주의 확립이라는 노동개혁 방향에 대해 다수 청년들이 공감하면서, 직장 내 괴롭힘, 불공정 채용 등 청년들이 체감하는 현장의 불법‧불합리한 관행을 확실하게 개선해달라고 말했다. 토론을 마무리하며,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청년들이 바라는 미래 일터의 모습이 현실이 되려면 청년들이 직접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며, 앞으로 적극적인 포럼 활동을 통해 노동개혁의 취지를 국민께 잘 전달하고,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도 모아주기를 당부했다. 정부는 앞으로 청년, 중소기업(제조·도소매·음식·숙박업 등), 미조직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며, 노․사 단체 의견도 폭넓게 수렴할 계획이다.
    • 경제
    2023-03-21
  •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이노스페이스 비행시험 성공 축하
    이노스페이스 비행시험 성공 축하메시지 [동국일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종호 장관이 이노스페이스 김수종 대표에게 한빛-TLV 엔진 비행성능 검증 시험발사(3.19, 브라질) 성공에 대한 축하의 인사를 전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어려운 여건에서도 성과를 만들어낸 김수종 대표와 이노스페이스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와 격려를 전하면서, 앞으로 정부는 공공위성을 통한 민간수요 창출, 민간전용 발사장 및 관련 인프라 구축, 민간 발사허가제도 마련 등 종합적인 정책을 강구하여 뉴스페이스시대 민간 발사서비스의 상용화 지원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약속했다.  
    • 경제
    • IT/과학
    2023-03-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미 민간 우주˙위성항법 회의 개최
    KPS-GPS 기술 작업반 회의 공동발표문[동국일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외교부는 2023년 3월 20일부터 3월 21일까지 서울에서 美 국무부, 상무부, 우주군, 해안경비대 등과 '한-미 우주‧위성항법 회의(U.S.-ROK Civil Space/GNSS Meeting)'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2022년 5월 한-미 정상회담과 같은 해 12월 제3차 한-미 민간우주대화에서 합의한 우주분야 협력사항에 대한 후속조치로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Korean Positioning System)의 개발과 우주산업 진흥에 관한 사항들을 협의하기 위하여 열렸다. 먼저, 회의 첫 날인 3월 20일에는 ‘KPS-GPS 기술 작업반(Technical Working Group) 회의’가 열렸다. 우리 측은 KPS와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KASS, 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의 개발 현황 및 향후 추진계획을 설명했으며, 양국 정부는 평화적 목적의 우주 기반 위치·항법·시각(PNT) 서비스를 일반 대중 모두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양측은 KPS와 美 위성항법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간의 공존성과 상호운용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기술적 협력과, 유엔 국제위성항법위원회 (UN ICG) 등 국제기구에서의 공조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이어서 양측은 이번 회의의 주요 논의사항을 담은 공동발표문(Joint Announcement)을 채택하고, 올해 9월 미국에서 제2차 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이 날 오후에는 한-미 우주산업 실무회의를 통해 올해 말 개최 예정인 ‘한-미 우주산업 포럼’의 세부 계획을 논의했다. 양측은 우주산업 분야에서의 정책적 협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했으며, 양국 간 우주산업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첫 단추로서 올해 하반기에 한-미 우주산업포럼을 열기 위해 지속하여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회의 둘째 날인 3월 21일에는 민간 GPS 서비스 소통 위원회(CGSIC, Civil GPS Service Interface Committee) 산하의 분과위원회인, CGSIC 국제정보 분과위원회(International Information Subcommittee) 회의를 개최했다. CGSIC는 美 정부가 전 세계의 민간 GPS 사용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운영 중인 회의체로서, 美 교통부와 해안경비대가 공동으로 주관한다. 특히, CGSIC 국제정보분과위원회는 美 정부가 해외 GP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정보 교류와 요청사항 수렴을 위해 주요 협력국에서 개최하는 분과위원회이다. 이번 회의에서 美측은 우리나라 산·학·연·관의 위성항법시스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GPS의 개발·운용 최신 현황, 활용 사례, 현대화 계획 등을 발표했으며, 이에 관한 질의‧응답 및 의견 청취도 실시했다. 우리 측도 KPS 개발 현황과 도심항공교통(UAM)에서의 GPS 활용 기술 등을 발표했다. 과기정통부 조선학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개회사를 통해 “우주경제 시대를 맞이하여, KPS의 성공적인 개발과 우주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우주분야의 선도국가인 미국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면서, “앞으로 KPS-GPS 공동 작업반 회의를 정례적으로 개최하고, 연내에 우주산업 포럼을 개최하는 등의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한-미 우주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외교부 한민영 기후환경과학외교국 심의관은 “우주분야에서 양국 간의 긴밀한 협력은 한국의 우주 역량 강화뿐만 아니라, 우주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국제 규범 마련에도 기여할 전망”이라고 언급하며, “앞으로도 우주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경제
    • IT/과학
    2023-03-2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화위복 촉매 표면에 쌓인 탄소로 암모니아 촉매 합성 성능 향상시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동국일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상수 센터장 공동연구팀이 기존 하버-보슈법 대비 26%의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는 전기화학적 암모니아 합성 촉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과 소재연구데이터플랫폼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 성과는 에너지·환경 분야 국제학술지'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IF: 24.319, JCR 분야 상위 0.926%)에 게재됐다. 암모니아(NH3)는 비료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등 우리 생활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되는 물질이다. 최근 들어 암모니아는 높은 수소 저장밀도와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친환경 수소에너지의 핵심 물질로도 주목받는다. 그러나 널리 사용되는 암모니아 생산 공정인 하버-보슈법은 높은 온도(400~500˚C)와 압력(100-300기압) 하에서 작동하여 에너지 소모량과 탄소 배출량이 많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온(25˚C), 상압(1기압)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지만 투입 에너지 대비 생산되는 암모니아의 양이 매우 적은 상황이다. 금속화합물 촉매의 경우 금속 물질과 탄소유기물질을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촉매 물질을 합성하게 되는데,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촉매 합성 후 금속 표면에 남은 탄소유기물질로 인해 촉매 성능이 저하됐다. 연구팀은 촉매 표면의 탄소유기물질을 제거하는 대신 반대로 이 탄소유기물질을 이용해서 촉매 표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계산과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구했다.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황화물계 촉매에 탄소유기물질인 티오요소(Thiourea)를 조촉매로 사용하게 되면 전기화학적 암모니아 합성 촉매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티오요소를 니켈(Ni) 전극과 반응시켜 황화니켈(NiS) 촉매를 합성했고, 해당 촉매는 기존의 황화물계 촉매들과 비교했을 때 세계 최고 수준의 촉매 성능을 보였다. 연구팀은 티오요소는 황화니켈 촉매 표면에서 전기화학반응 동안에 그 자체가 암모니아로 변환되기도 하고, 동시에 암모니아 변환 후에 남아있는 탄소(C)는 촉매 표면에서 새로운 암모니아 생산을 촉진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됨을 발견했다. 또한 개발된 촉매는 50시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도 안정적으로 촉매 성능이 유지되는 등 안정성 측면에서도 다른 촉매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한상수 센터장은 “개발된 촉매는 촉매 성능도 우수하지만 저렴한 원료를 기반으로 쉽게 제조가 가능하여 향후 전기화학적 암모니아 생산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겼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촉매 소재 개발의 시행착오를 줄여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 경제
    • IT/과학
    2023-03-21
  • 과기부, 국산 초광대역(UWB) 칩의 글로벌 인증 최초 획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국일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최영해, ‘TTA’)는 국내기업이 독자 개발한 초광대역(UWB) 칩인 ‘엑시노스 커넥트 유(U)100’가 국내 최초로 초광대역(Ultra-WideBand, UWB) 표준 기구인 피라(Fine Ranging, FiRa) 글로벌 인증을 3월 21일(화)에 획득했다고 밝혔다. 초광대역(UWB)은 500MHz 이상의 광대역 주파수를 활용하여 넓은 공간에서 한 기기에서 다른 기기까지의 방향과 거리를 수 센티미터 이내 오차로 정밀 측정할 수 있는 기술로서, 스마트 홈의 도어락, 자동차의 스마트 키, 긴급구조 정밀측위 등 세밀한 위치측정과 보안이 중요한 다양한 응용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리무선통신 기술이다. 이러한 초광대역(UWB)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상호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2019년 8월에 글로벌 사실표준 단체인 FiRa 컨소시움이 출범하여 초광대역(UWB) 칩셋, 디바이스, 서비스 등에 대한 표준과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해 왔으며, 현재 구글, 애플, 퀄컴, 보쉬, 삼성 등 글로벌 기업 97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그간 정부에서는 스마트폰 등 소형기기에서 초광대역(UWB)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관련기관, 기업 등과 협력하여 다양한 지원노력을 기울여 왔다. 과기정통부는 ’22년 11월에 ‘디지털산업 활력제고 규제혁신 방안’을 발표하고, 그 후속조치로서 스마트폰 초광대역(UWB)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신고하지 아니하고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 고시 제10조’를 ’22년 12월에 개정하여 규제를 완화한 바 있다. 기존에는 초광대역(UWB) 서비스가 항공기・선박의 통신기기 주파수와 혼・간섭 우려가 있어 주파수 대역폭 500㎒ 이내만 사용이 허용됐으나, 규제 완화 이후에는 혼・간섭을 자동 차단하는 기능을 구현한 스마트폰에서는 대역폭 500㎒ 이상 사용도 허용됐다. 이에 따라 이전보다 더 정밀도가 높고 실시간에 가까운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해지면서, 향후에는 증강현실(AR) 기술과 결합하여 스마트폰 카메라로 방을 비추면 서랍 속 키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해 주는 등 융복합 서비스 출시도 가능해지게 됐다. 또한, TTA는 과기정통부로부터 지원(글로벌 사물인터넷(IoT) 시험인증센터) 받아 ’22년 10월에 세계 최초로 FiRa 국제공인시험소 자격을 획득했으며, FiRa 인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국내 기업이 해외에 나가지 않고도 국내에서 공인 인증 시험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번에 국제공인 인증받은 초광대역(UWB) 칩은 보안, 메모리, 저전력 기술 등이 하나에 집적된 초소형 칩으로 소형 기기에도 쉽게 적용가능한 특징이 있어서 앞으로 스마트폰, 사물(IoT) 등에 탑재되어 초광대역(UWB) 서비스가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TA 최영해 회장은 “최근 재난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가중되는 시대에 위급 상황 발생시 신고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광대역(UWB)가 탑재된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보다 정밀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므로 신속한 대응으로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번 국산 초광대역(UWB) 칩의 FiRa 인증을 통하여 초광대역(UWB) 기반 통신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했다. 과기정통부는 “초광대역(UWB) 기술은 자동차 스마트 키 등 다양한 정밀위치 기반의 서비스 제공에 필수이기 때문에, 혁신적 기술과 서비스를 창출하고 빠르게 상용화할 수 있도록 정부가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하며, “올해 발표한 ‘케이-네트워크(K-Network) 2030 전략’에 따라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우리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여 글로벌 기술 주도권을 확보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경제
    • IT/과학
    2023-03-21
  • 산업통상자원부, 청정수소·암모니아 혼소발전 업계 간담회 개최
    산업통상자원부[동국일보]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 21일,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한전 전력연구원에서 '청정수소·암모니아 혼소발전 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청정수소·암모니아 혼소발전 기술개발, 연료도입 및 수소발전 분야 13개 기업과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에너지기술평가원 등이 참여했다. 산업부는 지난 3.13일 수소발전 입찰시장 고시 제정안을 행정예고하며, 연료에 따른 시장구분·개설시기와 향후 3년간(‘23~‘25) 입찰시장에 진입할 수소발전량을 발표했다. 오늘 간담회는 내년 상반기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에 앞서, 청정수소발전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소발전 업계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입찰시장에 적극적인 참여 유도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운영방안에 대한 주제 발표가 있었으며, 산업부는 이와 관련한 업계 의견을 청취했다. 산업부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달성을 위해 수소발전 도입은 필수적이며, 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을 통해 수소발전 사업자 간 가격경쟁으로 수소발전 단가 하락을 유도하고,낙찰된 사업자에 대해서는 10년 이상 장기계약을 통해 수소 생산-유통-활용 등 수소 생태계 전반에 민간 투자의 불확실성을 해소할 계획으로, 업계의 적극적 의견 개진과 참여를 요청했다. 또한, 국가 연구개발(R&D)을 통해 ‘25년까지 가스터빈-수소 50% 혼소, 석탄-암모니아 20% 혼소 기술개발을 완료하고, 장기적으로 수소 100% 전소터빈과 암모니아 50% 혼소 기술개발을 지원할 계획임을 밝혔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인수기지, 배관 등 공공기관의 선제적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예타면제 또는 간소화, 온실가스 감축사업의 부채비율 산정 제외, 예산지원 등 정부지원 필요사항을 건의했다. 또한, 수소발전 입찰시장에서 낙찰된 수소발전량의 계약기간은 해외 수소개발 사업의 투자기간(15년 이상)을 고려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국내 수소산업의 육성을 위해 혼소설비의 국산화, 청정수소 국내생산 또는 국내기업이 참여한 해외 청정수소 도입시 입찰평가에서 가점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 오늘 간담회를 주재한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은 “2027년 청정수소발전 상용화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담대한 도전으로 정부, 유관기관, 민간이 원팀으로 모든 노력을 경주해야 달성가능한 목표” 라고 밝히며, “오늘 간담회를 비롯해 앞으로도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고, 청정수소발전을 통해 민간의 자발적인 투자와 고용이 촉진되고, 국내 수소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입찰시장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경제
    2023-03-21

국제 검색결과

  • 한국무역협회, EU 탄소중립산업법 지원 대상 주요 핵심 기술 제조 역량 목표 달성 전망
    한국무역협회[동국일보] EU 집행위는 최근 이른바 '탄소중립산업법(Net-Zero Industry Act)'(안)을 통해 태양광, 풍력터빈, 배터리, 전기분해, 히트펌프 등 친환경 및 에너지 전환에 필수적인 기술의 역내 제조 역량 최소 40% 이상 확보를 추진한다. 법안은 EU 역내 공공조달, 옥션 및 보조금 지원 대상 선정에 있어 '지속가능성 및 회복력(Sustainability and Resilience)'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도록 의무화함으로써,핵심 기술 역내 제조 역량 확대 및 리쇼어링, 국제협력을 통한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 러시아 및 중국 등에 대한 에너지 및 핵심 기술 의존도를 완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하는 동 법이 제시한 주요 기술별 제조역량 강화 목표, 현황 및 달성 가능성 전망이다. [태양광 패널] 목표 : 2030년까지 EU 역내 태양광 패널 제조 역량 30기가와트(GW) 달성을 목표 현황 : 현재 EU 역내 폴리실리콘 제조 역량은 23GW, 잉곳 및 웨이퍼 2GW, 태양 전지 1GW, 태양전지 모듈 9GW 수준. EU 기업들은 2030년까지 30GW의 웨이퍼 및 60GW 모듈 어셈블리 능력 확보를 위해 관련 제조 역량을 확대중이나, 폴리실리콘은 제조 역량 확대를 위한 프로젝트는 수행되지 않고 오히려 작년 노르웨이 폴리실리콘 제조업체가 조업을 중단하는 등 제조 역량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장애요소 : 고순도 폴리실리콘, 잉곳 가공 및 웨이퍼 제작, 태양전지 모듈 어셈블리 및 인버터와 그리드 연계 등에 대한 對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은 점(특히, 잉곳 및 웨이퍼의 경우 EU 전체 수요의 90%를 중국에 의존), 중국 제품과의 가격경쟁, 美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관련 투자 유출 우려 등이 장애요소로 지적된다. 전망 : 태양광 관련 모든 단계의 가치사슬이 EU 역내에 존재하나, 2030년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단계별 제조 역량 확대를 위한 적절한 프레임워크 및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풍력 터빈] 목표 : 2030년까지 EU 역내 연간 36GW의 풍력터빈 제조 역량 확보가 목표 현황 : 현재 EU 풍력터빈 제조 약량은 연간 20~25GW 수준. 2022년 EU 역내 16GW의 풍력 발전 역량이 확대됐으며, 99%의 터빈이 EU 역내에서 제작됨. 다만, 이는 동 법이 제시한 목표의 절반에 그치는 수준이다. 장애요소 : 현재 EU 역내 수요를 충당할 풍력 터빈 제조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나, 최근 크로아티아, 이탈리아 등 회원국이 중국 업체와 풍력 터빈 제작을 계약하는 등 중국 업체와 경쟁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망 : 업계는 풍력 터빈의 경우 기술 혁신 보다는 제조 역량 확대가 핵심이며, 2030년 목표 달성은 충분히 가능하지만 유럽투자은행(EIB) 및 혁신기금(Innovation Fund)을 통한 재정적 지원이 불가결하다고 평가했다. [히트펌프] 목표 : 2030년까지 연간 31GW의 히트펌프 제조 역량 확보가 목표 현황 : 현재 EU 역내 생산 역량은 약 22GW 수준. 현재 EU 역내 히트펌프 생산량은 전체 수요의 60%, 對중국 수입 의존도는 30% 정도이다. 장애요소 : 히트펌프 생산을 위한 숙련 기술자 확보 및 향후 규제가 도입될 F-gases의 계속적인 사용 가능성 여부이다. 전망 : 최근 급증하고 있는 히트펌프 수요 충족을 위해 업계가 제조역량을 확대중이며, 제시된 목표는 오히려 업계의 전망치보다 50% 정도 낮은 수준으로 히트펌프 제조 역량 확대 목표의 달성은 무난히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분해 장치] 목표 : 2030년까지 수소생산을 위한 전기분해 역량 100GW 수준으로 확대가 목표 현황 : 현재 EU 역내 전기분해 역량은 170메가와트 수준에 불과하며, 현재 EU의 제조 역량은 전체 수요의 25%, 중국 의존도는 55% 수준이다. 장애요소 및 전망 : 업계는 복잡한 허가절차, 역내 가치사슬 미비, 숙련 기술자 및 핵심원자재 부족 및 복잡한 자금조달 접근성 등이 개선되지 않으면 2030년 100GW 전기분해 역량 확보는 쉽지 않을 것으로 평가된다. [배터리] 목표 : 2030년까지 역내 전기차 배터리 수요의 90%에 해당하는 550기가와트시(GWh) 배터리 제조역량 확보가 목표 현황 : 현재 EU 역내 배터리 제조역량은 77GWh 수준으로 중국 등 아시아 경쟁상대에 비해 배터리 제조 역량이 크게 낮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전망 : 업계는 목표 달성이 대체로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하지만, 이를 위해 회복력 있는 공급망, 저렴한 에너지 가격 및 숙련 기술자 등을 통한 전체 배터리 가치사슬의 리쇼어링과 특히, 리튬 및 망간 등 핵심원자재의 공급 원활화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 국제
    2023-03-22
  • 한국무역협회, 중국, 네덜란드의 반도체 제조장비 수출통제에 강력 대응 경고
    한국무역협회[동국일보] 중국 정부는 네덜란드가 반도체 제조장비에 대한 추가 수출통제 도입을 강행하면 반드시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며 전례 없는 강한 어조로 경고했다. 탄 지엔 주네덜란드 중국 대사는 20일(월) 네덜란드 언론과 인터뷰에서 '국가안보'를 반도체 제조장비 수출통제의 구실로 악용해서는 안 되며, 수출통제로 인해 중국에 손해가 발생하면 중국의 이익을 보호할 대응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언급했다. 또한, 추가 수출통제 대상 반도체 제조장비가 첨단 기술에 해당하지 않고 일반 상업적 용도의 장비에 불과하며, 중국이 지난 수백 년간 유럽의 이익을 훼손한 적도 없다고 강조했다. 지난 3월 초 네덜란드는 미국이 주도하는 對중국 첨단 반도체 제조장비 수출통제에 참여할 것을 공식 발표, 이에 대해 중국은 외교채널을 통해 네덜란드에 항의했다. 이에 대해 네덜란드 외교부는 중국의 우려에 대해 이해할만한 것이라고 인정하면서도, 반도체 수출은 양국간 폭넓은 교역관계의 일부에 불과하며, 반도체 제조장비 추가 수출통제가 양국간 교역관계 전반을 훼손하는 계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 국제
    2023-03-22
  • '이신화'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 제네바 방문
    이신화 대사,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의 상호대화 발언 [동국일보] 이신화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는 3.16일부터 23일까지 유엔 인권이사회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의 상호대화', 북한인권 관련 부대행사 참석 등을 위해 스위스 제네바를 방문 중이다. 이 대사는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 임명('22.7.19) 후 처음 참석한 금번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우리 정부대표로 3.20일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의 상호대화'에 참석하여 북한의 심각한 인권 실태를 상기하고,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을 요청했다. 또한, 이 대사는 납치‧강제실종‧전쟁포로 문제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북한이 우리측 이산가족 상봉 제안에 화답할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이 대사는 북한이 유엔 인권 메커니즘과 협력을 확대하기를 촉구했으며, 3.21일 오후(현지시간)에는 주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가 북한인권조사위원회 설립 10주년을 맞아 주최하는 행사에 참여할 예정이다. 한편, 이 대사는 이번 제네바 방문기간 동안 마이클 커비 전(前)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 위원장, 제라드 퀸 유엔 장애인 인권 특별보고관 등을 만나 북한인권 관련 협력 방안에 대해 협의했으며, 나다-알 나시프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부대표 등 인권 관련 유엔 주요 인사들과도 면담할 예정이다.  
    • 국제
    2023-03-21
  • 외교부, 일본정부, 주요 7개국 협의체(G7) 정상회의 초청 관련 논평
    외교부[동국일보] 외교부는 3.20일 일본 정부가 우리나라를 2023 G7 정상회의에 초청한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우리 대통령 방일의 후속조치로서 G7 초청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외교부는 우리의 G7 정상회의 참여는 유례없는 복합위기 해결을 위한 노력에 적극 동참하는 한편,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G7 국가들과의 연대와 협력을 심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 국제
    2023-03-20
  • 정부,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에 민관합동 구호물품 전달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에 민관합동 구호물품 전달 [동국일보] 튀르키예 지진 피해 지원을 위한 민관합동 구호물품을 전달하는 기증식이 3.20일 10:00(현지시각) 이스탄불 공항에서 개최됐다. 금번에 전달된 구호물품은 민간은 물론, 정부 산하기관에서 기증 의사를 밝힌 물품 중 튀르키예측의 긴급한 수요가 확인된 품목으로, 대한적십자사가 지원한 창고에 집결된 후 대한항공이 지원한 화물전세기를 통해 튀르키예로 수송됐으며, 정부는 구호물품 수송ㆍ전달의 전 과정에서 기관간 협조를 조율했다. 우리 정부는 해외긴급구호대 2진 파견 당시 2.18일에도 1차로 10억원 규모의 민관합동 구호물품을 튀르키예 정부측에 전달한 바 있다. 이우성 주이스탄불총영사는 우리 정부과 민간이 한마음으로 형제의 나라인 튀르키예에 위로와 응원을 보내고 있다면서, 이번에 전달된 구호물품은 이를 반증하는 것이라고 하고, 앞으로도 우리 정부가 튀르키예 복구와 재건을 위한 지원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행사에 참석한 Vefa Ayhan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 긴급대응국장은 어려운 시기에 튀르키예의 아픔을 진심으로 나누며 물심양면 지원해주는 한국 정부 및 국민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를 표하고 싶다고 하고, 오늘 전달된 물품은 지원이 시급한 지역인 카흐라만마라스에 전달될 예정이라고 했다. 또한, 튀르키예 외교부 이스탄불 사무소 Zeynep 참사관은 한국의 긴급구호대 파견 활동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면서, 피해가 가장 극심한 지역에서 구조활동을 펼친 한국 대원들과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했다.  
    • 국제
    2023-03-20
  • 외교부, 제2차 한-네 사이버정책협의회 개최
    한-네 사이버정책협의회 [동국일보] 제2차 한·네 사이버정책협의회가 조현우 외교부 국제안보대사와 네덜란드측 나탈리 야스마(Nathalie Jaarsma) 외교부 사이버안보정책 대사의 주재로 3.20dlf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개최됐다. 이번 협의회에는 우리측 외교부, 국정원, 국가안보실, 과기부, 법무부, 국방부, 대검찰청,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 등과 네측 외교부, 법무‧치안부, 국방부, 검찰청, 경찰청 등 양국의 사이버안보 관계기관 담당자 약 40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의회에서 양측 수석대표는 작년 11월 한-네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언급된 사이버 안보분야 협력 강화를 양국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중요한 축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특히 양국은 △최근 사이버 위협 동향, △사이버 공격에 대한 억지 전략, △유엔 등 다자무대에서의 협력 강화 방안, △사이버 안보역량 강화 및 △사이버범죄 수사 공조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양측은 외교‧국방‧사법‧기술 등 전 분야에서 사이버 협력의 수준과 범위를 더욱 확대해나가기로 하면서 사이버안보 협력이 격상된 양국관계의 발전을 더욱더 견인해 나갈 수 있도록 상호 노력하기로 했다. 한편, 양측은 북한 불법 사이버 활동을 통한 가상 자산 탈취 및 핵․미사일 관련 기술 탈취가 국제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라는데 양국 간 인식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각심 제고를 위해 공조하는 한편, 사이버 공간의 악의적 위협에 대한 대응 방안을 함께 모색해나가기로 했다.
    • 국제
    2023-03-20
  • 외교부,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유선협의
    외교부[동국일보] 김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3.19일 성 김(Sung Kim) 미국 대북특별대표 및 후나코시 다케히로(船越健裕) 일본 북핵수석대표와 3자 유선협의를 갖고, 금일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논의했다. 3국 수석대표는 금일 발사가 다수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며, 한반도 및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도발임을 지적하고 이를 강력히 규탄했다. 3국 수석대표는 내일(3.20) 유엔 안보리 회의를 비롯하여, 북한의 도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단호하고 단합된 대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한미일 간 긴밀한 소통과 공조를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한미간 현재 진행 중인 '자유의 방패(Freedom Shield)' 연습 등 굳건한 연합방위태세 유지 노력과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 등을 바탕으로 북한의 위협과 도발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 국제
    2023-03-19
  • 한국무역협회 , 베트남, 관광산업 회복을 위해 개방적 비자 정책 시행 고려
    한국무역협회 [동국일보] 베트남 Pham Minh Chinh 총리, 관광회복을 가속화하기 위해 비자면제국 수를 늘리고, 외국인 관광객의 체류 기간을 연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전자 비자 발급 대상 국가를 확대하고, 국내외 항공사의 직항노선 개설에도 힘쓸 것이다. 베트남은 동남아 최초로 관광을 재개한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외국인 관광객 수는 360만명으로 팬데믹 이전의 20% 수준이다. 2022년 팬데믹 이후 베트남의 관광산업 회복지수 18.1% 기록했다. (싱가포르 30.9%, 말레이시아 27.5%, 태국 22%) 작년 싱가포르의 외국인 관광객 수는 630만명, 말레이시아 720만명, 태국 1,000만명이다. 관광 수입을 늘리고, 관광회복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개방적 비자 정책이 핵심이다. 2019년 베트남 외국인 관광객 수는 베트남 국내 관광객의 21% 수준이었지만, 전체 관광 수입의 3분의 2 차지한다. 외국인 관광객은 평균 8~12일 체류하며 약 1,100~2,000달러를 지출하지만, 베트남 국내 관광객의 평균 여행일수는 1~2일이다. 현재 베트남은 25개국의 관광객에 대한 비자를 면제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국가에 비해 훨씬 적은 수준이다. 말레이시아 162개국, 싱가포르 162개국, 태국 68개국, 필리핀 157개국, 일본 68개국, 한국 66개국이다. 이에 호주, 캐나다, 네덜란드, 스위스, 벨기에와 같은 베트남의 주요 관광시장에 대한 비자 면제 고려 중이다. 또한 베트남은 다른 ASEAN 국가들에 비해 무비자 체류 기간이 짧다. 현재 베트남은,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키르기스스탄의 관광객에게는 30일, 칠레, 파나마에는 90일 비자 면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유럽과 같은 주요 관광시장에 대한 무비자 체류 기간을 현재 15일에서 30~45일까지 연장 고려 중이다. [출처:https://e.vnexpress.net/news/travel/vietnam-to-expand-list-of-eligible-countries-for-visa-exemption-4581636.html]
    • 국제
    2023-03-19
  • 외교부, 제9차 한미 에너지안보대화(ESD) 개최
    제9차 한미 에너지안보대화(ESD) [동국일보] 강재권 경제외교조정관과 제프리 파이어트(Geoffrey R. Pyatt) 미 국무부 에너지자원국 차관보가 수석대표로 주재하는'제9차 한·미 에너지안보대화(ESD: Energy Security Dialogue)'가 3.17일 외교부 에서 개최됐다. 금번 한미 에너지안보대화는 올해 한미 동맹 70주년을 맞아 기존 국장급 대화를 차관보급으로 격상하여 개최했으며, 양측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촉발한 글로벌 에너지 위기 상황을 진단하고, 에너지 안보 제고 및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양측은 글로벌 에너지 시장 안정을 위한 △전략비축유 방출 등 양국 정부의 노력을 평가하고, △신재생 에너지에 대해 협의하는 한편, △전력망·에너지 인프라 등 주요 기반 시설의 사이버 안보 강화 방안 등에 대해서 의견을 나누었다. 아울러, 미측은 우크라이나 전력망 복구를 위한 우리 정부의 지원에 사의를 표하고, 양측은 향후 협력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우리측은 에너지 믹스 재정립을 골자로 하는 우리 정부의 에너지 기본 정책과 수소 산업의 생태계 구축 등 수소 경제 정책을 소개하고,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과정에서 미측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미측은 한국이 수소 활용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평가했으며, 양측은 △표준 확립, △청정 수소 생산(CCUS)·운송 등 가치사슬(value chain) 전반에 걸쳐 한미간 공조 확대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양측은 청정에너지산업에 필수 소재인 핵심광물의 공급망 안정 및 다변화를 위한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ineral Security Partnership)하 협력 현황을 점검하고, 아시아 등 제3국내 지역에서의 한미 협력 등에 대해서도 심층 논의했다. 특히, 미측은 우리 정부가 MSP 출범 단계부터 고위급, 실무급을 불문하고 MSP 활동에 적극 참여해 온점에 대해 사의를 표명했다. 내년 제10차 한미 에너지안보 대화 개최시, 양측은 민간 에너지 분야와의 협력 및 네트워킹 강화를 위해 기업인들도 참여하는 1.5 트랙 회의도 연계 개최 하는 방안도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 국제
    2023-03-17
  • 한국무역협회, 베트남 중앙은행, 금리 인하 결정
    한국무역협회[동국일보] 베트남 중앙은행(SBV)이 No 313/Qđ-NHNN 정책에 따라 3월 15일부터 일부 정책금리 인하를 발표했다. 이번 금리인하는 2020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진행된다. 재할인율 4.5%→3.5%, 오버나이트금리 7%→6%, 우선부문 단기대출 금리상한 5.5%→5%, 국민신용펀드와 소액 금융기관의 단기대출 금리상한 6.5%→6% 재융자금리 6%를 유지한다. 미국연방준비제도와 다른 국가들이 높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SBV의 금리 인상은 예상 밖의 움직임이다. 올해 인플레이션이 정부의 목표치인 4.5% 수준으로 통제되고 있고 주요 국가들에 비해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진행된 결정이다. 통계청, 2023년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전월대비 0.45% 증가한다. 베트남이 지속적으로 낮은 인플레이션을 유지할 수 있다면, 베트남 금리는 더 낮아질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는 기업과 개인의 높은 금리에 대한 부담을 완화시키고자 한다. 또한, 베트남 통화 시장을 안정화하고, 정부의 올해 경제성장 목표인 6.5%를 달성하기 위함이다. 출처:https://vietnamnews.vn/economy/1497913/central-bank-makes-first-rate-cut-since-2020-to-support-economic-growth.html
    • 국제
    2023-03-17
  • 외교부,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유선협의
    외교부[동국일보] 김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3.16일 성 김(Sung Kim) 미국 대북특별대표 및 후나코시 다케히로(船越健裕) 일본 북핵수석대표와 3자 유선협의를 갖고, 금일 북한의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3국 수석대표는 금일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비롯한 최근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는 다수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임을 지적하고 이를 강력히 규탄했으며, 이러한 불법적 도발에는 분명한 대가가 따를 것임을 재확인했다. 특히, 북한이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방문 출국 전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동해상으로 발사한 것은 역내 긴장을 심각하게 고조시키는 중대한 도발임을 강조했다. 3국 수석대표는 북한의 도발에 대한 유엔 안보리 등 국제사회의 단호하고 단합된 대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한미일 간 긴밀한 소통과 공조를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한미 연합연습의 철저한 수행 등을 통해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한미일 안보협력을 더욱 강화하여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압도적인 대응 능력을 지속 제고해 나가기로 했다.
    • 국제
    2023-03-16
  • 한국무역협회 , 유럽의회, '데이터법(Data Act)' 관련 의회 입장 확정
    한국무역협회 [동국일보] 유럽의회는 14일(화) 본회의 표결에서 '데이터법(Data Act)'에 관한 의회 입장을 확정했다. 데이터법(Data Act)은 사물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산업데이터 공유를 활성화하기 위해, 데이터 공유 장벽 제거 및 모든 경제주체의 데이터 공유 관련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는 내용이다. 유럽의회가 데이터법 관련 입장을 확정함에 따라, EU 이사회 및 EU 집행위와 최종 타협안 모색을 위한 3자협상(Trilogue)을 개시할 예정. 첫 3자협상은 오는 28일(화) 실시한다. [데이터법 적용 범위] 데이터법은 데이터 생성에 기여한 사물인터넷 사용자에게 해당 데이터에 접근권 보장 원칙을 규정. 접근권이 보장되는 데이터는 사물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는 비개인정보로 제한한다. [기업-소비자(B2C) 데이터 공유] 사물인터넷 사용자(소비자)는 데이터 보관자(제조사 등) 이외 별도 수리 서비스 이용 등의 목적을 위해 사물인터넷이 생성한 데이터 접근권을 보유하며, 습득한 데이터의 판매도 가능하다. 데이터 보관자는 데이터 생성에 기여한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데이터 공유가 의무화되며, 데이터 공유와 관련한 직간접 비용을 부과할 수 없고, 사물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의 형식 등에 대한 투명성 의무가 강화된다. [기업-기업(B2B) 데이터 공유] 기업 간 데이터 공유 시 데이터 보관자는 데이터 수집 및 공유와 관련한 경제적 인센티브의 일환으로 공유 대상 기업에게 데이터 공유에 대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 다만, 공유 대상이 중소기업인 경우 데이터 공유와 관련한 기술적 비용을 초과할 수 없다. [기업-정부(B2G) 데이터 공유] 정부 등 공적 기관은 공공의 위기 대응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예외적으로 민간기업에 데이터 공유를 요구할 수 있음. 다만, 공유 요구 가능 데이터는 비개인정보로 제한되며, 데이터의 경제적 가치 보호 등 엄격한 요건이 부과된다. [영업 비밀] 기업 간 데이터 공유 시 민감한 영업 비밀 보호를 위한 여러 제한이 부과되며, 데이터 공유 기업은 데이터의 불법적인 공개로 인한 데이터 보관자의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이 부과된다. [클라우드 스위칭] 데이터법은 소비자가 쉽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를 도입. 특히,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새로운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동일한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이른바 '기능적 동등성' 요건을 도입한다. [데이터 국제 이전] 데이터법은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가 보유한 EU의 비개인정보를 제3국 정부 당국과 공유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유럽의회는 동 규정에 클라우드 사업자에 대해 데이터 보관 인프라를 반드시 유럽에 구축하도록 의무화한다. [불공정 계약 금지] EU 집행위의 데이터법 원안은 중소기업 보호를 위해 데이터 공유와 관련한 불공정한 계약의 금지를 규정하고 있으나, 유럽의회는 불공정 계약 금지 대상을 모든 기업으로 확대한다.
    • 국제
    2023-03-16
  • 한국무역협회 , EU, 수개월 내 태국과 자유무역협정 협상 재개 추진
    한국무역협회 [동국일보] EU는 태국과 양자 간 자유무역협정 협상을 수개월 내 재개할 방침이다. 발디스 돔브로브스키스 EU 통상담당 부집행위원장은 15일(수) 태국의 주린 락사나위싯 부총리 겸 상무장관과 회담을 가진 후 양자 간 무역협상 재개를 발표할 예정이다. 양측은 지난 1월 브뤼셀에서 개최한 양자 간 회담에서 향후 수개월 이내 중단된 무역협상을 재개에 합의한 바 있으며, 이번 화상 회담을 통해 협상 재개를 공식 확인할 예정이다. EU-태국 자유무역협정 협상은 2014년 태국 군부 쿠데타로 인해 중단됐으며, EU 이사회가 2019년 집행위에 대해 협상 재개를 승인했으나, 아직 협상은 재개되지 않은 상황이다. EU는 러시아 및 중국 의존도 완화를 위해 무역협정 체결 등 적극적인 통상정책을 통한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 현재 인도네시아, 인도, 호주 등과의 협상에 주력하고 있다. 현재 EU는 아세안 국가 가운데 베트남 및 싱가포르와 양자 간 무역협정을 체결한 상태이다.
    • 국제
    2023-03-16
  • 외교부, 한-말레이시아 동방정책 40주년 기념리셉션 개최
    한-말레이시아 동방정책 40주년 기념리셉션[동국일보] 이도훈 제2차관은 3.15일 오후 말레이시아 국제통상산업부와 주한말레이시아대사관이 주최한 한-말레이시아 동방정책 40주년 기념 리셉션에 참석했다. 이번 리셉션에는 자프룰(YB Senator Tengku Datuk Seri Utama Zafrul Tengku Abdul Aziz) 국제통상산업부 장관과 그 대표단을 비롯하여 말레이시아 동방정책 추진 관련 우리측 각계각층의 인사 150여명이 참석했다. 이틀 전인 3.13.(월)에는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우리 주말레이시아대사관 주최로 동일한 행사가 개최됐으며, 이 행사에도 자프룰 장관이 직접 참석하고, 박진 외교장관이 영상 축사를 했다. 이 차관은 축사를 통해 한국과 말레이시아가 최근 FA-50 18대의 수출 계약 체결을 포함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의미 있는 협력 성과를 일구어 왔다고 하면서, 그 과정에서 말레이시아의 동방정책이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우리 정부의 아세안 중시 기조를 반영한 ‘한-아세안 연대구상’ 추진을 통해 한-말레이시아 양자 관계를 한층 고도화시켜 나갈 것임을 강조했다. 자프룰(Zafrul) 장관은 동방정책이 지난 40년 동안 한-말레이시아 양국간 무역, 투자, 인적교류를 크게 증진시키는 등 양국관계 발전의 굳건한 토대가 되어왔다고 하고, 향후 한국과 AI, 디지털, 환경 등 분야에서 협력이 더욱 심화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한국과 말레이시아 정부는 올해 한-말레이시아 동방정책 40주년을 기념하여 코로나19로 인해 정체되어왔던 고위급 교류를 재활성화하고, 다양한 기념행사를 연중 실시함으로써 양국 국민들 간 상호 관심 및 이해를 증진시키는 등 양국 간 우호‧협력 관계를 한층 강화해나갈 예정이다. 한편, 박진 장관은 자프룰 장관과 별도 환담을 가지고, 올해 한-말레이시아 동방정책 40주년 및 ‘한-아세안 연대구상’ 이행 원년을 맞이하여 향후 양국이 방산, 인프라, 첨단기술 등 분야에서의 협력을 한층 더 발전시켜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자프룰 장관은 이에 적극 공감하는 한편, 양국간 고위급 교류 강화를 희망한다고 하면서 박 장관이 올해 빠른 시일 내에 말레이시아를 방문해줄 것을 요청했다.
    • 국제
    2023-03-15
  • 외교부 장관 특사, 동티모르 방문
    외교부 장관 특사, 동티모르 방문[동국일보] 외교부 장관 특사로 동티모르 딜리를 방문(3.15.-17.) 중인 김창범 前 주인도네시아 대사와 최경희 서울대학교 교수는 3.15일 동티모르 대통령 '조세 하무스 오르타(José Ramos-Horta)'을 예방하여 우리 정부의 인태 전략 및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 하 한국과 동티모르의 협력 관계 강화 의지를 전달했다. 아울러, 한국의 오랜 친구인 오르타 대통령을 6월 초 개최되는 제주 평화 포럼 개막식에 초청하고, 동 방한을 통해 양국 간 고위급 교류가 활성화되기를 희망했다. 특사단은 한국과 동티모르는 외교관계 수립 이전부터 맺어온 특별한 관계임을 상기하고, 현재는 개발, 노동,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오고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노동 분야에서 현재까지 5천명 이상의 동티모르 근로자들이 한국에 근무하면서 양국 간 인적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음을 평가했다. 이어 특사단은 아세안이 동티모르의 가입을 원칙적으로 승인한 것을 환영하며, 동티모르의 아세안 정식 회원국 지위 획득을 위한 노력을 적극 지원할 것임을 강조했다. 오르타 대통령은 한국이 상록수 부대 파병 등 동티모르의 독립 이전부터 도움을 준 매우 각별한 우방임을 강조하며, 한국을 동티모르의 발전 모델로 삼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동티모르 발전을 위해 양국 간 교육 협력 활성화에 대한 기대를 표명했다. 이어, 인태전략을 통해 역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는 한국의 의지를 환영하며,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을 위한 한국의 지원 의사에 사의를 표명했다. 외교부는 올해 우리 정부의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 기조하에 동남아 친선그룹('Friends of SEA(Southeast Asia)')을 발족하여 동남아시아 중소국들(동티모르·라오스·브루나이)과의 협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이번 특사단의 동티모르 방문은 2017년 외교부 제1차관 이후 5년만에 이루어진 고위급 방문으로서, 특사단은 3.16일 외교장관 면담을 비롯하여, 개발 협력 현장 답사, 동티모르 공무원 대상 강연, 한국 유학 동문회 리셉션 등의 일정을 가질 예정이다.
    • 국제
    2023-03-15

스포츠 검색결과

  • 대한축구협회, 넥슨과 파트너 계약 2026년까지 연장
    대한축구협회, 넥슨과 파트너 계약[동국일보] 대한축구협회와 넥슨의 공식 파트너십이 4년 연장된다. 대한축구협회는 21일 오후 파주NFC 강당에서 넥슨과 ‘2022-2026년 공식 파트너 계약 조인식’을 개최했다. 이날 조인식에는 이영표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을 비롯해 국가대표팀의 클린스만 감독과 손흥민, 오현규 선수, 박정무 넥슨 그룹장이 함께 참석했다. 넥슨은 PC온라인과 모바일게임 시장을 선도하는 대표적인 게임 기업으로, 전세계 190개 이상의 국가에 50여종의 게임을 서비스하고 있다. 특히 넥슨이 서비스하고 있는 ‘EA SPORTS™ FIFA ONLINE 4(이하 ‘FIFA 온라인 4’)’와 ‘EA SPORTS™ FIFA 모바일’은 국내 축구 게임 시장에서 독보적인 1위를 달리고 있다. 대한축구협회와 넥슨은 지난 2018년 처음 공식 파트너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번 협약으로 넥슨은 2026년까지 대한축구협회 주최 A매치 경기장 보드 광고권을 비롯해, 협회와 국가대표팀이 보유한 지적 재산을 활용해 홍보, 마케팅 활동을 펼칠 권리를 갖게 된다. 이영표 부회장은 행사 인사말을 통해 “넥슨과 파트너십을 연장하게 돼 매우 기쁘다. 넥슨은 축구게임을 통해 상상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좋은 파트너다. 한국 축구가 꿈꾸고 바라는 상상들이 넥슨과 함께 현실이 되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클린스만 감독은 “한국의 어린 팬들이 게임으로 축구를 접할 뿐만 아니라, 이후에는 경기장에서도 직접 축구를 즐기는 일이 많았으면 좋겠다”는 소감을 전했다. 박정무 넥슨 그룹장도 “넥슨의 FIFA 온라인4는 단순한 게임을 넘어 축구를 즐기는 새로운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넥슨은 축구 문화에서 역할을 다하기 위해 앞으로도 대한축구협회와 국가대표팀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파트너십 연장을 통해 축구팬들에게 더 큰 즐거움을 주는 한국축구의 동반자로 함께하겠다”고 화답했다.
    • 스포츠
    2023-03-21
  • ‘해외파’된 오현규 “영어 빨리 배워 감독님께 다가가겠다”
    ‘해외파’된 오현규[동국일보] 스코틀랜드 리그에서 뛰고 있는 오현규(셀틱)는 공격수 출신인 클린스만 감독에게 직접 다가가 많은 것을 배우겠다고 다짐했다. 클린스만 감독이 이끄는 축구 국가대표팀이 20일 오후 파주NFC에 소집됐다. 국가대표팀은 파주에서 진행되는 3일간의 훈련 후 22일 울산으로 이동해 24일 저녁 콜롬비아와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28일 저녁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우루과이와의 A매치 2연전을 치른다. 20일 오후 파주에 입소한 오현규는 21일 오전 훈련 전 취재진과의 인터뷰에 나섰다. 오현규는 “어제 도착해서 가볍게 회복 훈련을 했다. 이렇게 시차 적응하며 대표팀에 소집된 적이 없는 것 같은데 (손)흥민이형이 대단한 걸 다시 느낀다”며 “저는 고작 한 번 했는데 (손)흥민이 형은 이렇게 힘든 걸 몇 년째 하고 계시는 게 대단하다고 다시 한번 느꼈다”며 해외파로서 대표팀에 소집된 소감을 밝혔다. 손흥민과 유럽 리그 적응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토트넘에서 셀틱으로 이적한 골키퍼 조 하트(셀틱)를 언급했다. 오현규는 “(손)흥민이형이 하트형이 잘 챙겨주냐고 물어봤다. 그래서 워낙 하트형이 잘 챙겨주고 있고 덕분에 셀틱 생활을 정말 잘 즐기고 있다고 했다”고 답했다. 오현규는 지난 카타르 월드컵에서 대표팀 예비 명단으로 동행해 월드컵 여정을 함께 했다. 월드컵 이후 대표팀에 정식 소집된 소감에 대해서는 “이번에는 정식으로 대표팀에 소집돼 너무나 감사한 마음이다”라며 “태극마크를 달고 있다는 자체가 너무 영광스러운 일이기 때문에 딱히 달고 싶은 등번호는 없다”며 겸손함을 보였다. 카타르 월드컵 이후 스코틀랜드 리그의 셀틱으로 이적한 오현규는 소속팀에서 주로 후반 조커로 나서고 있다. 그는 짧은 출전 시간에도 불구하고, 이적 후에만 3골을 몰아치며 눈에 띄는 활약을 펼치고 있다. 지난 18일 리그 경기에서는 팀의 승리를 결정짓는 역전 결승골을 터뜨리기도 했다. 오현규는 “(셀틱에) 가서 많은 경험을 했다. 선수로서 새롭게 배운 것들이 많아 스스로도 작년보다 한층 성장했다고 느낀다. 이번 대표팀 소집을 통해 새로운 감독님 앞에서 좋은 모습을 많이 보여드리고 싶다”는 각오를 드러냈다. 오현규는 같은 공격수 출신인 클린스만 감독으로부터 배울 수 있다는 점도 기대했다. 오현규는 “셀틱에서 선수들과 어울리려고 하다 보니 영어가 많이 늘었다. 같이 생활하면서 의사소통에 문제없는 정도가 된 것 같다”면서 “감독님이 워낙 선수 시절에 유명하셨고, 같은 공격수로서 많은 배울 점이 있다고 느낀다. 빨리 영어를 더 배워서 감독님께 직접 다가갈 수 있도록 하겠다”며 웃었다. 끝으로 오현규는 클린스만 감독이 공언한 아시안컵 우승에 대해 “저도 감독님의 생각에 동의한다. 감독님과 아시안컵에 나가 함께 우승컵을 들어 올리고 싶다”고 다짐했다.
    • 스포츠
    2023-03-21
  • ‘토트넘 선배’ 클린스만 만나는 손흥민 “굉장히 특별하다”
    ‘토트넘 선배’ 클린스만 만나는 손흥민[동국일보] 소속팀 선배이자 레전드인 위르겐 클린스만을 대표팀 감독으로 만나게 되는 손흥민(토트넘 훗스퍼)은 ‘굉장히 특별하다’는 소감과 함께 새로운 대표팀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클린스만 감독이 이끄는 축구 국가대표팀은 20일 오후 파주NFC에 소집돼 첫 훈련을 치렀다. 국가대표팀은 파주에서 진행되는 3일간의 훈련 후 22일 울산으로 이동해 24일 저녁 콜롬비아와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28일 저녁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우루과이와의 A매치 2연전을 치른다. 20일 오후 늦게 파주에 입소한 손흥민은 21일 오전 훈련 전 취재진과의 인터뷰에 나섰다. 손흥민은 “대표팀은 항상 영광스러운 자리다. 사실 월드컵이 항상 여름에 진행됐는데, 이번에는 겨울에 진행하고 이렇게 첫 소집하게 돼서 기쁘다. 새로운 감독님과 발을 맞춰볼 생각에 설레기도 한다”라는 소감을 밝혔다. [파주NFC에서 만난 손흥민과의 일문일답] - 새로운 감독 체제에서 시작되는 대표팀에 대한 기대감도 있을 텐데. 대표팀은 항상 영광스러운 자리다. 사실 월드컵이 항상 여름에 진행됐는데, 이번에는 겨울에 진행하고 이렇게 첫 소집하게 돼서 기쁘다. 새로운 감독님과 발을 맞춰볼 생각에 설레기도 한다. - 어제 클린스만 감독님과는 어떤 얘기를 나눴는지. 감독님과 주로 훈련 스케줄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 선수들한테 얼마나 자유를 주실지, 운동장이 바뀌는 부분에 대한 내용이다. 전술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특별히 얘기를 나눈 바 없다. 훈련을 차차 진행하면서 얘기를 나눌 것 같다. - 토트넘 선배이자 전설적인 공격수를 감독님으로 만나는 소감은. 굉장히 특별하다. 저희 구단에서도 감독님을 선수 때 보신 분들도 있고 또 직접 같이 구단에서 생활하셨던 분들이 계시다. 감독님에 대해서 얼마나 평이 좋은지에 대해서도 구단에서도 상당히 얘기를 많이 했었다. 감독님과 그렇게 길게 얘기 나누지 않았지만 짧은 대화를 통해서도 얼마나 좋은 분이고 또 얼마나 선수들을 생각하는지 알 수 있었다. 구단에서도 너무 좋은 분을 만나 다행이라고 해서 더 기대됐다. - 클린스만 감독님에게 기대하는 부분이나 바라는 점이 있다면. 저희가 어떻게 감독님한테 빨리 맞추느냐가 더 중요할 것 같다. 감독님이 어떠한 옷을 입혀주느냐에 따라서 선수들의 특성과 색깔이 잘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선수들도 훈련하면서 감독님이 어떤 스타일을 추구하는지 빨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저희가 감독님한테 특별히 원하는 것은 대한민국과 대한민국 축구를 위해서 더 많이 신경 써주셨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만큼 많은 정보, 좋은 경험을 충분히 가지고 있으니까 그런 것들을 저희 선수들한테 같이 공유해 주시면 분명히 좋을 거라 생각한다. 지금 너무 많은 것을 바라기보다는 차근차근 단추를 좀 맞춰가는 게 중요할 것 같다. - 메인 훈련이 오후 훈련에서 오전 훈련으로 바뀌었다. 시차 적응도 필요하고 할 텐데 힘들거나 낯설지는 않은지. 사실 유럽에서 바로 오면 시차 적응도 힘들고 잠을 잘 자지 못하는 건 사실이다. 한국에 있다가 영국에 가는 것보다 영국에서 한국에 오는 시차 적응이 조금 더 힘든 것 같다. 벤투 감독님 계실 때도 오전 운동을 좀 가끔 진행했었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괜찮다. 저는 선수로서 개인적으로 오전 운동을 하는 거를 되게 선호한다. 만약에 제가 잠이 부족하다 싶으면 오후에도 제가 좀 부족한 잠을 좀 잘 수 있게 컨디션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이 특별히 좀 많아지는 것 같아 좋다. 어떤 쪽이든 분명히 장단점이 존재한다. 저는 오히려 오전 운동하는 걸 좋아하고 선수들도 마찬가지로 오전 운동을 선호하는 친구들이 많아서 충분히 좋다고 생각한다. - 클린스만 감독님이 취임 기자회견에서 1-0보다 4-3이 좋다고 했는데 공격수 입장에서 부담이나 책임감이 될 수도 있다. 모든 선수가 골을 넣고 싶어 하고, 많은 골을 넣어 경기에서 이기고 싶어 한다. 그런 경기가 항상 없었기 때문에 매 순간순간이 어려웠고 쉽지 않은 경기를 해왔다. 저도 공격수이지만 매 순간 경기에 들어가기 전에 내가 어떻게 하면 팀을 도울 수 있을까, 어떤 찬스가 왔을 때 어떻게 마무리를 지어야 될까하는 생각을 갖고 들어간다. 어제 영권이형이 얘기했다시피 저희가 4-0으로 이길 수 있으면 4-0으로 이기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한다. 감독님이 그만큼 공격적인 축구, 또 화끈한 축구를 하시겠다고 했으니 저희 선수들이 또 잘 맞춰야 한다. 부담이라기보다는 서로서로 즐기면서 해야 한다. 지금 선수단은 서로 호흡도 많이 맞춰봤고, 실질적으로 경험도 많이 했기 때문에 서로의 장점을 다 알고 각자 어떤 플레이를 좋아하는지 안다. 이런 부분들을 저희가 잘 살려서 감독님이 원하시는 공격적인 축구를 좀 할 수 있을 것 같다. - 새 감독 체제에서도 주장직을 계속 이어가는지. 잘 모르겠다. - 감독님의 현역 시절 경기 장면이나, 미국 대표팀 감독 시절 경기를 혹시 찾아보거나 한 게 있는지. 아직 그러지 못했다. 감독님이 다른 팀에 있었을 때는 그 팀의 선수들에 맞춰서 플랜을 짜셨을 거라고 생각을 한다. 저희 선수들은 감독님이 계셨던 팀과는 다른 선수들이고 다른 색깔을 가지고 있는 선수들이다. 감독님이 이런 축구를 하시는구나 저런 축구를 하시는 것보다 저희가 어떻게 저희만의 색깔들을 감독님한테 잘 비춰드릴지가 중요하다. - 지금 또 대다수 선수들은 이제 다시 주전 경쟁에 뛰어들어야 한다. 새 감독님도 오셨고 팀 분위기도 좀 많이 올라왔을 것 같은데 고참으로 보시기에 팀 분위기는 어떤지. 어제 저녁에 합류해서 분위기가 좋다 나쁘다 할 것도 없이 정신 없이 밥만 먹고 바로 잔 스케줄이었다. 선수들 모두 월드컵 끝나고 나서 이렇게 처음 소집하는 건데도 불구하고 좋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월드컵의 효과가 분명히 있었다고 생각한다. 월드컵으로 분명히 자신감을 얻은 친구들도 있고 좋은 경험을 한 친구들도 있기 때문에 좋은 분위기를 이어가는 게 가장 어떻게 보면 중요한 사안인 것 같다. - 코치님들이 유럽에 계시는데 유럽에서 뛰고 있는 선수로서 좀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을지. 아까도 얘기했다시피 감독님 코치님들이 분명히 저희가 경험하지 못한 부분들을 많이 경험했다. 축구계에서 오래 계셨다 보니 많은 것들을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선수들한테는 작은 조언 하나 작은 정보 하나가 큰 도움이 된다. 지금 K리그에 뛰고 있는 선수들도 저도 마찬가지다. 선수들도 이런 부분에 있어서 주저 없이 거침없이 가서 물어보기도 하고 상황에 따라 어떻게 해야 할 지 서로 정보를 공유한다면 플러스 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선수들도 이런 부분들을 인지하고 있다. - 4년 전과는 리셋이 됐다. 당시 벤투호에 소집됐을 때 소감과 지금이랑 좀 어떻게 다른지. 비슷한 것 같다. 여기서 제가 감독님에 대해서 평가할 위치도 아니고 4년 전 기분을 사실 정확하게 기억하기도 힘들다. 감독님이 얼마나 같이 계실지 모르겠지만, 벤투 감독님과 4년 동안 함께 하면서도 좋은 시간과 어려운 시간이 있었다. 그러나 저희가 같이 이렇게 흔들리지 않고 같이 갈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저희가 (좋을 때나 안 좋을 때나) 항상 믿었기 때문이다. 이번에 감독님도 되게 오랜 기간을 두고 선임되신 거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있어서 많이 흔들리지 않았으면 좋겠다. 매번 좋을 수는 없다. 안 좋을 때도 저희가 분명히 얻어내는 것들, 배울 수 있는 것들이 많다. 기자님들도 마찬가지로 선수들 스태프들까지 하나로 똘똘 뭉쳐 가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다. 사실 벤투호 소집 당시에는 아시안게임 끝나고 너무 기분도 좋았고 제가 감독님을 어떻게 맞이했는지 모르겠다. 지금은 월드컵이 끝나다 보니 조금 더 냉정한 마음으로 바라보게 된다. 월드컵을 준비하는 과정이 어떻게 될까 하는 생각도 든다. - 아시안컵 우승을 목표로 감독님께서 잡으셨다. 선수로서 마지막 남아 있는 목표 중 하나일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누구나 우승을 꿈꾸고 누구나 축구하다 보면 우승하기 위해서 싸운다. 그러나 우승은 공짜로 들어오는 게 아니다. 어떻게 보면 1년도 안 남은 시간 동안 선수들끼리 잘 준비해야 한다. 저도 아시안컵 결승, 준결승, 8강에서 떨어져 봤다. 물론 제가 간다는 보장은 없지만, 그런 것들이 좋은 경험이 돼서 이번 아시안컵을 준비할 때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오랜 시간 한국에 들고 오지 못한 아시안컵 트로피를 다시 한국으로 가지고 오고 싶다.
    • 스포츠
    2023-03-21
  • 현대자동차, 클린스만호에 새 버스 전달
    현대자동차, 클린스만호에 새 버스 전달[동국일보] 현대자동차가 새롭게 출범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위해 새 전용버스를 전달했다. 대한축구협회는 20일 파주NFC에서 이영표 부회장, 클린스만 감독, 유원하 현대자동차 부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대표팀 버스 전달식을 개최했다. 현대자동차가 모기업인 K리그 전북 현대팀 소속의 국가대표 백승호, 김문환 선수도 함께 참가했다. 이날 전달식은 클린스만 감독 부임 이후 대표팀 첫 소집을 맞아 새 버스로 출발을 응원한다는 의미을 담아 진행했다. 현대자동차가 새로 제공한 버스는 28인승 프리미엄 고속버스 ’유니버스(Universe)‘다. ‘유니버스’는 선수들이 최상의 컨디션으로 경기에 나설 수 있도록 국가대표팀 전용버스로 활용될 예정이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999년부터 25년째 대한축구협회를 후원해오는 대표적인 장수 파트너다. FIFA(국제축구연맹)의 공식 파트너이기도 하다. 지난해에는 친환경 차량 아이오닉5를 업무용 차량으로 대한축구협회에 제공한 바 있다. 이영표 부회장은 행사 인사말을 통해 “제가 국가대표 선수로 뛰던 시절에도 현대자동차는 우리 대표팀의 든든한 파트너였다. 앞으로도 한국 축구가 계속 전진할 수 있도록 현대자동차가 함께 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클린스만 감독도 “우리 대표팀이 처음 모인 날, 버스를 제공해 주신 현대자동차에 감사드린다. 새 버스처럼 우리 대표팀도 힘차게 달릴수 있도록 하겠다”며 고마움을 표했다. 유원하 현대자동차 부사장은 “우리 대표팀이 유니버스를 타고 편안하게 이동하면서 멋진 경기로 국민들에게 기쁨을 선물해 주면 좋겠다”며 “현대차는 향후에도 한국 축구 발전을 위한 지원을 계속 이어나갈 것”이라고 화답했다.
    • 스포츠
    2023-03-21
  • KPGA, ㈜제이스버디의 골프웨어 브랜드 ‘어퍼스트롭’과 공식 파트너 협약 체결
    KPGA, ㈜제이스버디의 골프웨어 브랜드 ‘어퍼스트롭’과 공식 파트너 협약 체결[동국일보] (사)한국프로골프협회(회장 구자철, KPGA)와 ㈜제이스버디(대표이사 조준호, 이하 제이스버디)의 골프웨어 브랜드 어퍼스트롭이 공식파트너 협약을 체결했다. 21일(화) 경기 성남 소재 KPGA 빌딩에서 진행된 조인식에는 제이스버디 조준호 대표이사, 한국프로골프투어(KGT) 김병준 대표이사 등 여러 관계자들이 참석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을 약속했다. 본 협약을 통해 어퍼스트롭은 ‘KPGA 공식 골프웨어’로 선정됐으며 2023 시즌 KPGA 임직원은 어퍼스트롭으로부터 지급받은 공식 유니폼을 착용하고 각 투어 대회 현장 등을 누빌 예정이다. 제이스버디 조준호 대표이사는 “한국프로골프를 대표하는 KPGA와의 동행을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며 “어퍼스트롭은 KPGA 공식 골프웨어로서 더 좋은 품질과 골퍼에 최적화된 최상의 디자인으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KGT 김병준 대표이사는 “KPGA의 발전을 위해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신 제이스버디 임직원 여러분께 고마움을 전한다”며 “어퍼스트롭과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상호 발전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어퍼스트롭은 자유로운 스타일을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 골프웨어 브랜드로 스트릿 감성을 기반으로 패션성과 필드에 최적화된 기능을 더한 브랜드이다. 또한 ㈜제이스버디는 한국 소비자만족지수 요가복 부문 1위인 애슬레져 브랜드 ‘스컬피그’를 2015년 설립하여 현재까지 자체 원단 공장 보유 및 봉제 공장, 필라테스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장기적인 플랜으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 스포츠
    2023-03-21
  • 국내 최초 ‘투어 선수-男 골프 꿈나무’ 팀 대결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위너스 매치플레이’ 28일 개막
    2022년 대회서 초등연맹 선수들과 함께 플레이하고 있는 허인회(좌)와 장동규[동국일보] 올해 2회째를 맞이하는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위너스 매치플레이’가 이번 달 28일부터 29일까지 양일간 블랙스톤 제주 남, 동코스에서 펼쳐진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위너스 매치플레이’는 국내 최초로 KPGA 코리안투어 선수 1인과 한국초등학교골프연맹(이하 초등연맹) 소속 남자 선수 1인이 짝을 이뤄 함께 경기하는 대회다. 2022년 첫 선을 보인 본 대회는 당시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주니어 선수들에게 아낌없이 실력 발휘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투어 선수와 골프 꿈나무 간 최고의 멘토-멘티 프로그램이라는 평을 받았다. 대회 방식은 지난해와 같다. KPGA 코리안투어 선수 1인과 초등연맹 선수 1인이 2인 1조로 편성돼 스크램블 방식(각자 티샷을 한 뒤 더 좋은 지점에서 다음 샷을 이어가는 방식)으로 치러진다. 16개조(32명)가 출전하며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 18홀 팀 매치플레이 토너먼트를 펼쳐 우승팀을 가린다. 대회 일정은 개막 하루 전인 27일에는 조 추첨, 대회 첫째 날인 28일에는 16강전(오전), 8강전(오후), 대회 마지막 날에는 4강전(오전)과 결승전(오후)이 열린다. 유소년 기량 발전에 의의를 둔 특별한 대회인 만큼 참가하는 KPGA 코리안투어 선수들의 면면도 화려하다. ‘디펜딩 챔피언’ 허인회(36.금강주택)를 필두로 2018년과 2019년 각각 ‘제네시스 대상’을 수상한 이형준(31.웰컴저축은행)과 문경준(41.NH농협은행), 통산 11승의 ‘승부사’ 강경남(40.대선주조), 지난해 제네시스 포인트 2위 서요섭(27.DB손해보험), 제네시스 상금순위 2위 김민규(22.CJ대한통운), 군 전역 후 투어에 복귀하는 통산 5승의 이수민(30.우리금융그룹)을 포함해 이태희(39.OK저축은행), 신용구(32.금강주택), 옥태훈(25.금강주택), 이준석(35.우리금융그룹), 함정우(29.하나금융그룹), 이동민(38.동아오츠카), 최호성(50.금강주택), 김도훈753(34), 윤성호(27.우리금융그룹)가 출전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대회 2연패에 도전하는 허인회는 “좋은 취지의 대회인 만큼 출전하게 돼 설레고 뜻 깊다. 지난해 함께 플레이했던 장원영 선수의 실력이 뛰어나 놀랐던 기억이 있다”며 “이번 대회에 팀을 이루게 되는 선수가 누가 될지도 궁금하다. 최고의 팀워크를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목표는 당연히 ‘타이틀 방어’다”라며 “시즌 개막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위너스 매치플레이’ 우승을 통해 팬 분들과 메인 스폰서, 서브 스폰서 관계자 분들께도 좋은 소식을 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한편 본 대회의 총상금은 1억 5천만 원(우승상금 5천만 원)이다. 해당 금액은 KPGA 코리안투어 선수들을 대상으로만 성적에 따라 차등 분배된다. 초등연맹 소속 선수들에게는 총 5천 5백만 원 상당의 훈련 및 학업 환경을 지원하기로 해 한국프로골프를 이끌어 갈 인재 육성의 마중물 역할도 다할 예정이다. 타이틀 스폰서인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송성엽 대표는 “올해도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위너스 매치플레이’를 개최하게 돼 기쁘다. 대회에 출전하는 선수 모두를 환영하며 이번 대회서도 소중한 경험과 추억을 쌓길 바란다”며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위너스 매치플레이’가 국내 골프 꿈나무 발굴 및 육성, 골프 저변 확대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이야기했다. KPGA 구자철 회장은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의 성원에 진심으로 고마움을 표한다”며 “KPGA는 유소년 골프 저변 확대에 큰 무게를 두고 있는 만큼 대회가 성공적으로 치러질 수 있도록 온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대회 주최사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2008년 7월 투자자문사로 출범했다. 현재 3조 5천억 원이 넘는 수탁고를 운영하고 있는 자산운용사다. 꾸준하고 안정적인 운용 성과로 투자자들에게 입소문이 퍼지면서 대한민국 대표 헤지펀드 명가로 자리잡았으며 2019년 공모운용사로 전환한 이후 출시한 공모펀드와 ETF에서도 연달아 좋은 성과를 거둬 일반 투자자들에게도 널리 이름을 알리고 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위너스 매치플레이’는 4월 중 KPGA 주관방송사를 통해 골프 팬들을 찾아갈 예정이다.
    • 스포츠
    2023-03-20
  • ‘첫 소집’ 클린스만 “선수들이 무슨 생각하는지 빨리 파악하겠다”
    왼쪽부터 김영민(마이클 킴) 코치, 베르너 로이타드 피지컬 코치, 안드레아스 헤어초크 수석 코치,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 안드레아스 쾨프케 골키퍼 코치, 파올로 스트링가라 코치.[동국일보] 감독 부임 후 첫 대표팀 명단을 소집한 클린스만 국가대표팀 감독은 먼저 선수 개개인의 생각을 빠르게 파악한 뒤 A매치 2연전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클린스만 감독이 이끄는 국가대표팀이 20일 파주NFC에 소집됐다. 파주에 소집된 대표팀은 22일 울산으로 이동해 24일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콜롬비아와, 28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우루과이와 A매치 2연전을 치른다. 이날 파주에는 25명의 선수 중 19명이 들어왔다. 당초 소집명단에 포함됐던 황희찬(울버햄튼)은 앞선 19일 부상으로 인해 제외됐다. 해외파 중 손흥민과 오현규는 20일 입국 후 당일 오후 늦게 입소한다. 김민재, 이재성, 이강인, 정우영(프라이부르크)은 21일 입국한 뒤 파주에 입소할 예정이다. 클린스만 감독이 취임 기자회견에서 예고했듯이 이번 대표팀 소집 명단에는 지난 FIFA 카타르 월드컵에 나섰던 선수들이 대부분 선발됐다. 다만, 윤종규(김천상무)와 홍철(대구FC)이 빠지는 대신 이기제(수원삼성)와 오현규(셀틱)가 새롭게 합류했다. 소집훈련 첫날 취재진 앞에 모습을 드러낸 클린스만 감독은 “콜롬비아, 우루과이와 경기를 앞두고 있는데 새로 시작하는 만큼 상당히 기대된다”며 “이번 2연전을 통해 함께할 선수들, 미디어, 팬 등 한국 축구에 대한 공부의 시간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클린스만 감독과의 일문일답] - 입국할 때 아시안컵 우승이 목표라 말씀하셨다. 이번 두 번의 평가전을 통해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시는지. 콜롬비아, 우루과이와 경기를 앞두고 있는데 새로 시작하는 만큼 상당히 기대된다. 이번 2연전을 통해 함께할 선수들, 미디어, 팬 등 한국 축구에 대한 공부의 시간이 될 것 같다. - K리그 2경기를 직접 현장에서 관람하셨다. 한국 축구에 대한 평가와 선수들에 대한 생각은. 2경기는 현장에서 봤지만, 다른 대부분의 K리그 경기를 TV로 봤다. 모든 경기를 챙겨보면서 한국 축구에 조금 더 익숙해지는 시간이 됐고, 한국 팬들이 열정적이라는 부분도 느끼게 됐다. 지난 인터뷰 때도 말씀드렸지만 분명히 초반에는 많은 공부를 해야 할 것 같다. 많은 배움의 시간이 있을 것 같은데 빠르게 한국 축구 문화를 배워가는 노력을 하겠다. - 이번 두 번의 평가전을 통해 한국 선수들을 처음으로 마주한다. 체력, 기술, 멘탈 등 여러 가지 요소 중에 무엇이 가장 중요한 부분일지. 방금 말씀해주신 모든 면을 확인해야 할 것 같다. 지금 당장 전술적인 부분이나 기술적인 부분을 어떻게 하겠다고 말씀드리긴 어렵다. 여러 가지를 종합적으로 봐야 할 것 같다. 선수 개개인의 성향, 그리고 그 성향을 보여줄 때 이 선수가 왜 이런 성향을 보여주는 지도 중요하게 관찰해야 할 것 같다. 잘 관찰해야 강한 팀으로서 하나가 될 수 있다. 선수에 대한 관찰이 우선시 되어야, 어떤 팀으로 어떻게 구성할지 생각할 수 있다. 사실 오늘과 내일은 훈련 강도가 그렇게 높지 않고, 많은 훈련을 할 수도 없다. 이제 막 선수들이 소속팀에서 경기를 다 마치고 합류하기 때문이다. 수요일(22일)부터 본격적인 훈련을 진행할 예정이다. 그때부터 면밀히 관찰하면서 선수들을 파악하도록 하겠다. - 대표팀 감독으로서의 첫 훈련을 앞두셨는데 선수들에게 어떤 점을 강조하고 싶고, 감독으로서 어떤 첫인상을 남겨주고 싶은지? 가장 중요한 건 팀의 목표다. 아까 첫 질문에서 언급하셨듯이 아시안컵이 당장 코앞에 다가왔다. 큰 대회인 만큼 우리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선수들과 얘기를 나눴다. 또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즐거움이다. 훈련이 즐거워야 하고 웃음이 끊이지 않아야 한다. 웃음이 끊이지 않는다는 건 긍정적인 것이고, 긍정적이어야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카타르 월드컵 16강에 간 멤버들이 대부분 다시 소집됐는데, 이 멤버는 굉장히 완성도 높은 팀이었다. 이번 평가전을 통해 클린스만 감독님만의 전술적인 변화나 색깔을 더할 생각이 있는지? 아니면 기존 전술을 유지하면서 선수들을 관찰하실지 궁금하다. 지금 당장 큰 변화를 가져가기는 어려울 것 같다. 차츰차츰 단계별로 우리가 추구하는 그런 축구 스타일을 보여주고 싶다. 지난번 대회 때 좋은 성적을 낸 만큼 지속성도 가져가야 한다. 제 강점은 선수와 지도자 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나라에서 생활했다는 점이다. 그래서 선수들이나 다양한 사람들의 심리를 빨리 파악한다는 장점이 있다. 손흥민, 김민재, 이강인과 만나 대화를 통해 그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대화를 통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만들어가야 할 것 같다. - 내일 훈련 시간을 오전으로 앞당긴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특별한 이유는 없다. 독일 사람이 일을 빨리 처리하고 오후에 시간 갖는 걸 좋아해서 그런지 모르겠다(웃음). 오전에 훈련을 하고, 오후에는 회의를 거쳐 추가 훈련을 하거나 공격진들과의 슈팅이나 마무리 훈련, 부분 전술 훈련 등을 고려 중이다. 이런 변화들이 생길 수 있어 시간을 벌려고 했다. 오후에 혹시 훈련하지 않는다면 저도 나가서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즐길 수 있는 그런 시간을 갖게 될 수도 있다.
    • 스포츠
    2023-03-20
  • 여자 U-16 대표팀, 경남 양산에서 2차 소집훈련
    지난 12월 남해에서 열린 연습경기 중 선수들을 지도하는 김은정 여자 U-16(당시 U-15) 대표팀 감독 [동국일보] 여자 U-16 대표팀이 경남 양산에서 2차 소집훈련을 실시한다. 김은정 감독이 이끄는 여자 U-16 대표팀이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경남 양산 일대에서 소집훈련을 한다. 훈련은 경남 양산 디자인공원 축구장에서 오전과 오후 세션을 나눠 진행한다. 이 기간에는 양산중학교, 부산중앙중학교와의 연습경기도 치른다. 여자 U-16 대표팀은 오는 4월 타지키스탄에서 열리는 2024 AFC U-17 여자 아시안컵 1차 예선을 앞두고 있다. 한국은 홍콩, 타지키스탄, 이라크와 E조에 속했다. 29팀이 참가하는 1차 예선은 8개 조로 나뉘어 열리며 각 조 1위가 최종 예선에 진출한다. 9월에 열리는 최종 예선은 1차 예선을 통과한 8팀이 4팀씩 2개 조로 나뉘어 겨룬다. 최종 예선 각 조 1,2위 4팀과 2019년 대회 상위 3팀(일본, 북한, 중국), 개최국 인도네시아가 2024년 4월 열리는 본선에 나선다. 여자 U-16 대표팀 2023년 2차 국내훈련 소집명단(총 24명) GK : 우수민(경북포항전자여고), 한혜리(강원FC U-15), 김채빈(경기단월중) DF : 장예린, 신다인, 신성희, 노시은, 이하은(이상 울산현대고), 박지유, 윤희경(이상 충북예성여고), 지애(강원화천정보고), 신윤아(전남광양여고) MF : 권다은(울산현대고), 전세연(경북포항전자여고), 안수정, 범예주(이상 전남광양여고), 서민정(경남로봇고), 박주하, 김예은(이상 강원FC U-18), 김지효(경남로봇고), 장예윤, 류지해(이상 울산현대청운중) FW : 김효원(전남광양여고) 원주은(울산현대고)
    • 스포츠
    2023-03-17
  • 대한축구협회의 대표팀 의료 운영 시스템 개선 방안 발표
    대한축구협회[동국일보] 대한축구협회는 지난 1월 본 홈페이지에 게시한 발표문을 통해 카타르 월드컵 당시 발생했던 의무 트레이너 문제와 관련하여 사건의 경위와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당시 발표 내용 중에는 3월 대표팀 소집전까지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한 것도 담겨 있었습니다. 이에 대표팀 의료 운영 시스템 개선을 위한 그동안의 과정과 향후 추진 방향을 말씀 드립니다. 먼저 비슷한 상황을 겪었을 것으로 보이는 해외 사례를 참고하기 위해서, 지난 1월 잉글랜드, 독일, 일본, 호주 축구협회에 연락해 각국의 운영 방침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4개국 모두 선수의 개인 의무 트레이너를 대표팀 내의 공식 스태프로 받아들이는 곳은 없었습니다. 따라서 개인 트레이너에게 관련 비용을 지급하지도 않으며, 대표팀 숙소 출입을 위한 AD카드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다만 나라별 상황에 따라 운영 방식의 차이는 조금 있었습니다. 호주처럼 대표팀 소집 기간중에는 선수와 개인 의무 트레이너의 접촉을 전면 금지하는 나라가 있는가 하면, 독일과 일본처럼 대표팀 숙소와 떨어진 완전히 별도의 공간에서 극히 제한된 시간에만 접촉하도록 허용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잉글랜드 역시 기본적으로는 허용하지 않으나, 특별한 결정이 있을 때에는 예외적으로 선수 개인 룸에서 정해진 시간동안만 치료를 하도록 승인하고 있었습니다. 지난 2월초에는 대한축구협회 의무분과위원회(위원장 서동원)가 개최돼 개선 방안을 집중 논의했습니다. 의무분과위원회 회의 결과를 토대로 2월말에는 협회 주요 임원과 관련 부서 책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향후 개선안의 초안을 만들었습니다. 3월초 클린스만 감독 선임후에는 카타르 월드컵 당시의 사건 내용을 전달하고 감독의 의견을 청취했습니다. 클린스만 감독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 정부의 법령을 기초로 대한축구협회가 많은 논의 끝에 내린 결론임을 충분히 인지했고 존중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카타르 월드컵에 참가했던 중고참급 선수 10여명에게 협회의 개선안을 전달하고 의견 회신을 요청했습니다. 회신을 해온 대부분의 선수들은 찬반 의사를 명확히 밝히지는 않고 “이번 3월 대표팀 소집기간 중에 더 논의를 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대한축구협회는 향후 대표팀 의무 활동 개선 방향을 수립했습니다. 대표 선수들과의 추후 논의 과정이 아직 남아있어 보완될 수는 있지만, 큰 틀에서 협회가 정한 원칙과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대표팀 닥터와 의무 트레이너의 관계를 명확히 했습니다. 그동안에도 팀 닥터가 대표팀 의무 관련 업무의 총 책임자이고, 의무 트레이너는 지원 스태프라는 인식은 있었습니다. 그러나 권한과 역할이 명문화되어 있지 않아 지휘 체계에 혼선이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축구협회 등록규정과 축구대표팀 운영규정 개정을 통해 팀 닥터와 의무 트레이너의 권한을 분명하게 정리할 계획입니다. 개정안에 따라 팀 닥터가 선수단의 의료 업무를 책임지고 총괄하며, 의무 트레이너들을 직접 지휘하도록 했습니다. 선수의 부상 상태에 대한 의학적 최종 판단도 팀 닥터가 하게 됩니다. 의무 트레이너는 팀 닥터의 지시에 따라야 하고, 선수 상태와 치료 활동 내역을 팀 닥터에게 보고하는 의무를 갖게 됩니다. 둘째, 대한축구협회가 인정하는 의무 트레이너의 자격증을 3개로 제한했습니다. 해당 자격증은 물리치료사, 건강운동관리사, 선수 트레이너(Athletic Trainer)입니다. 물리치료사는 보건복지부가 자격증을 발급하고 있으며, 건강운동관리사는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발급하고 있습니다. 선수 트레이너는 한국선수트레이너협회와 대한선수트레이너협회가 발급하는 민간자격증입니다., 그동안에는 위의 3개 자격증 이외에 운동처방사를 인정해 왔으나, 선수 치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 자격증이라는 의무분과위원들의 판단과 의무 인력의 정예화를 위해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셋째, 대한축구협회가 인정하는 자격증을 보유하지 못한 사람은 앞으로 대표팀 소집 기간 중에 대표선수를 위한 의무 활동을 할수 없도록 했습니다. 그동안에는 카타르 월드컵 때처럼 협회가 인정하는 자격증이 없어도 선수의 요청이나 상황에 따라 암묵적으로 허용해 왔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지침에 따라 향후에는 허용하지 않을 방침입니다. 이는 무자격자에게 대표선수의 치료를 맡길수 없도록 한 현행 국민체육진흥법을 엄격히 준수하는 차원이기도 합니다. 넷째, 선수의 개인 의무 트레이너 중에 대한축구협회가 인정하는 자격증을 소지하고 해당 선수의 치료를 희망하는 사람은 일정 인원을 선발해 대표팀 소집기간 중에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즉 협회가 상시 고용한 의무 트레이너 외에, 파트 타임 형태로 대표팀 소집 기간중에 일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것입니다. 다만, 파트 타임으로 일하는 선수의 개인 의무 트레이너도 대표팀 닥터의 지휘를 받아야 하고, 선수 상태를 수시로 보고하는 등 기본적인 수칙은 준수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보통 2경기씩을 치르는 A매치 기간에는 파트 타임 인력을 포함해 4~5명의 의무 트레이너를 대표팀에 투입하고, 아시안컵이나 월드컵 본선처럼 장기간 소집할 때는 총 6명의 의무 트레이너 투입을 원칙으로 했습니다. 이번 3월 A매치 기간에는 협회가 상시 고용하고 있는 의무 트레이너 2명에, 임시로 채용한 파트 타임 인력 2명, 그리고 클린스만 감독이 추천한 독일 출신의 의무 트레이너 1명이 합류하게 됩니다. 독일 의무 트레이너는 이번 소집기간이 끝난후 내부 평가에 따라 계속 대표팀 소집기간에 방한할지 여부를 판단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카타르 월드컵 기간중 일부 선수들이 배제를 요청했던 전 의무팀장 A씨는 본인의 희망에 따라 연령별 대표팀만 맡기로 했습니다. 다섯째, 의무 트레이너의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을 강화하고 평가 시스템을 도입하겠습니다. 그동안 의무 트레이너의 역량에 대해 일부 선수들의 불만이 있었던 만큼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점을 두겠습니다. 이를 위해 협회 의무분과위원회와 대표팀 의무 트레이너들이 정기적으로 회의를 갖고, 선수와 코칭 스태프의 의견을 접수하여 필요한 교육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협회 주최로 대표팀은 물론 K리그1~4 구단의 의무 스태프까지 참가하는 메디컬 워크숍을 매년 개최함으로써, 국내 의무 인력 전체의 능력 향상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의무 트레이너의 능력을 종합 평가하기 위해, 협회 의무분과위원회와 각급 대표팀 코칭 스태프, 협회의 대표팀 지원 스태프가 참여하는 평가단을 구성하고, 평가 결과를 재계약 여부에 반영할 것입니다. 여섯째, 대표선수의 의무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부상 방지와 최상의 컨디션 유지에 힘쓰겠습니다. 지금까지도 대표팀 소집 기간중에 발생한 선수의 부상, 치료, 투약 등의 내역을 기록하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전산화되지 않았고 체계적이지 못해 의무진의 개인적 경험에 의존하는 등 사실상 활용이 불가능한 유명무실한 상태였습니다. 선수의 부상 이력 파악과 경기력 극대화를 위해서는 의무 기록의 정확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앞으로는 연령별 대표팀부터 A대표팀에 이르기까지 모든 선수 개인의 의무 관련 기록을 협회에서 전산 자료로 축적,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선수의 소속 구단과도 상의하여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것입니다. 지난 카타르 월드컵에서 우리 축구대표팀은 놀라운 투혼으로 16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며 온 국민에게 기쁨과 감동을 주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무 트레이너 이슈가 불거지면서 대표팀 구성원 내부의 갈등을 드러냄으로써 많은 분들에게 실망도 안겨주었습니다. 대한축구협회는 해당 사건을 계기로 우리 대표팀의 의료 시스템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개선하여 전화위복의 계기를 만들고자 합니다. 오늘 말씀드린 개선안이 모두가 만족하는 완벽한 방안이 되기에는 여전히 부족함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과거보다는 한걸음 더 나아감으로써 선진적인 대표팀 운영에 작은 디딤돌이 될 것은 분명하다고 확신합니다. 새 감독을 맞이한 가운데 새롭게 출발하는 우리 축구대표팀에게 축구인, 축구팬 여러분의 변함없는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스포츠
    2023-03-17
  • 아시안컵의 가장 큰 소득, 골키퍼 김준홍의 발견
    골키퍼 김준홍[동국일보] 이번 아시안컵에서 가장 큰 소득이 있다면 단연 골키퍼 김준홍의 발견이었다. 김은중 감독이 이끄는 U-20 대표팀이 2023 AFC U-20 아시안컵 일정을 마치고 17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한국은 아시안컵 준결승에 진출하며, 이번 대회 상위 4팀까지 주어지는 2023 FIFA U-20 월드컵 진출권을 따냈다. 한국의 아시안컵 4강 진출에는 ‘U-20 수문장’ 김준홍의 활약이 있었다. 조별리그 3경기에서 무실점을 거둔 그는 8강과 4강까지 매 경기 탁월한 선방을 펼치며 5경기에서 1실점만을 허용했다. 유일한 중국전에서의 1실점도 우리 진영에서 빌드업 도중 뺏겨 실점한 장면이므로 온전한 골키퍼의 책임이라 보기 어렵다. 입국장에서 만난 김준홍은 “1차 목표인 월드컵 티켓을 따게 돼 기쁘다. 수비수들이 몸을 던져 상대의 슈팅 각을 줄여주고 헌신했기에, 제 선방도 나올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겸손한 태도를 보였다. 김준홍은 대회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원동력으로 아버지 김이섭 코치를 비롯한 대표팀, 소속팀 코치진의 조언을 꼽았다. 김준홍은 “아버지뿐만 아니라 대표팀 차상광 코치님, 상무 정성윤 코치님이 해주신 말씀 모두가 대회를 치르는 데 도움이 됐다”며 “다들 너무 잘하려고 하지 말고 힘을 빼라는 조언을 해주셨다. 그래야 훈련한 만큼 실력이 나온다고 했는데, 힘을 빼고 했더니 그만큼 좋은 모습이 나왔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은중 감독은 앞선 인터뷰에서 소속팀으로 복귀할 U-20 대표팀 선수들의 경기 감각을 우려했다. 어린 선수들이다 보니 소속팀에서 주전으로 나서기 어렵기 때문이다. 김준홍 역시 U-20 대표팀에서는 붙박이 주전이지만, 소속팀(김천상무)에서는 강현무, 문경건, 신송훈 등 선배 골키퍼들과 치열한 경쟁을 펼쳐야 한다. 김준홍은 “저 역시도 걱정되는 부분이다. 소속팀에서 뛰지 못하는 부분은 연습경기나 팀훈련을 통해 충분히 보완해야 할 것 같다”며 “5월 월드컵에 가기 전에 친선 경기와 소집 훈련도 예정된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시기에 맞춰 다시 잘 준비해야 할 것 같다”고 답했다. 끝으로 그는 U-20 월드컵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김준홍은 “이제 아시안컵은 끝났으니 5월 U-20 월드컵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개인적으로도 이번 대회보다 더 좋은 모습 보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다”며 “이전 대회에서 형들이 해왔던 것만큼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도록 잘 준비하겠다”고 다짐했다.
    • 스포츠
    2023-03-17
  • 아시안컵 마친 강성진 “도전을 이어갈 수 있어 기쁘다”
    [동국일보] 아시안컵을 마치고 돌아온 강성진은 1차 목표였던 우승은 이루지 못했지만, 월드컵 진출권을 획득해 도전을 이어갈 수 있음에 만족했다. 김은중 감독이 이끄는 U-20 대표팀이 2023 AFC U-20 아시안컵 일정을 마치고 17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한국은 아시안컵 4강에 진출하며, 이번 대회 상위 4팀까지 주어지는 2023 FIFA U-20 월드컵 진출권을 따냈다. 이번 대회에서는 강성진(FC서울), 김용학(포르티모넨세), 배준호(대전하나시티즌) 등 측면 공격수들의 활약이 돋보였다. 특히 오른쪽 측면에서 뛰며 다양한 공격 기회를 창출했던 강성진은 5경기에서 2골을 기록하며 대표팀의 4강 진출에 큰 힘이 됐다. 요르단과의 조별리그 2차전에서는 중앙선부터 혼자 볼을 잡고 드리블한 뒤 수비수 세 명을 제치고 슛하며 ‘원더골’을 터뜨리기도 했다. 입국장에서 만난 강성진은 “작년부터 U-20 대표팀에 소집되면서 1년간 스페인 전지훈련을 비롯해 여러 준비 과정을 거쳤다. 그동안 코치진들이 잘 알려 주시고 이끌어 주신 덕분에 4강까지 올라갈 수 있었던 것 같다”며 “우승은 못 했지만, 4강 진출로 월드컵 진출권을 획득해 기쁘다. 이번 대회에서 부족했던 점을 코치진들과 잘 준비해 월드컵까지 보완하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FC서울의 유스팀인 ‘오산중-오산고’를 거쳐 2022년 프로에 입단한 강성진은 올해 프로 2년차를 맞이한다. 그는 신인임에도 지난 시즌 프로에서 34경기에 출전하며 소속팀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냈다. 강성진은 “새로 이적해 온 형들에게 아직 인사도 제대로 못 드렸다”고 운을 떼며 “특히 우리 팀에 새로 온 황의조 선배는 성인 대표팀에서 오랜 시간 뛰고 있기도 하고, 개인적으로도 존경하는 선배이다. 하루빨리 만나 같이 축구하며 많은 것을 배우고 싶다. 저랑도 경기 스타일상 잘 맞을 것 같아 기대된다”며 대표팀에서의 활약처럼 리그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이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강성진은 5월에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U-20 월드컵에 대한 기대감도 표했다. 그는 “1차 목표였던 월드컵 티켓을 따내 우리의 도전을 이어갈 수 있어서 기쁘다. 월드컵은 축제의 현장인 만큼 코치진들과 잘 준비해서 많은 분들께 좋은 모습 보여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 토너먼트에서 최대한 높이 올라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목표도 말했다.
    • 스포츠
    2023-03-17
  • 김은중 감독 "월드컵에서 좋은 성적 자신 있다"
    김은중 감독[동국일보] 김은중 감독은 월드컵 본선 진출이라는 1차 목표 달성에 만족하면서도, 5월에 열릴 U-20 월드컵에서 더 좋은 성적을 거둘 자신이 있다고 밝혔다. 김은중 감독이 이끄는 U-20 대표팀이 2023 AFC U-20 아시안컵 일정을 마치고 17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한국은 아시안컵 준결승에 진출하며, 이번 대회 상위 4팀까지 주어지는 2023 FIFA U-20 월드컵 진출권을 따냈다. 한국은 2일(이하 한국시간) 오만과의 1차전에서 4-0, 5일 요르단과의 2차전에서 2-0, 7일 타지키스탄과의 3차전에서 0-0으로 무승부를 거둬 2승 1무(승점 7점) C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12일 8강에서는 중국을 상대로 연장 승부 끝에 3-1로 승리했고, 15일 준결승에서는 개최국 우즈베키스탄을 상대로 120분간 0대0으로 맞선 뒤 승부차기 끝에 1-3으로 패했다. 11년 만에 ‘U-20 아시안컵 우승’을 목표로 했던 김은중호는 아쉬움 섞인 표정으로 입국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대한축구협회 조병득 부회장과 박경훈 전무이사, 황보관 대회기술본부장은 입국장을 찾아 따뜻한 박수로 선수들을 격려했다. [김은중 감독과의 일문일답] - 대회 마친 소감. 코로나 이후 오랜만에 치른 국제대회이다. 1년간 준비를 했고 어느 정도 목표 달성을 했다. 대회를 치르며 우리 팀의 보완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남은 기간이 많지 않지만 5월 월드컵에서도 팀이 좋은 경기 펼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아시안컵을 통해 얻은 게 있다면. 어린 선수들이 많은 관중 앞에서 경기해본 것에 대해 만족한다. 홈 관중의 압박감도 많이 느껴봤을 것 같다. 아시아권에서도 이제 매 경기 쉬운 경기가 없음을 알게 됐다. 그러나 월드컵에서는 더 강한 팀을 만난다. 더 세밀하게 준비해야 할 것 같다. - 대회 전 약점이라 평가받았던 수비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5경기에서 1실점만 기록했다. 이번 대회에서 9골을 넣는 동안 1실점을 기록했다. (중국전에서) 1실점도 우리 실수로 실점한 것이기 때문에 공수 밸런스는 많이 좋아졌다고 판단된다. 다만 결정적일 때 선수들이 운영하는 부분에 있어 미숙한 점이 많다. 아직 어린 선수들이라 이를 보완해 나가야 할 것 같다. - 아시안컵 직후 2달 만에 월드컵을 치른다. 준비할 시간이 많이 부족한데. 월드컵까지 약 60일 정도 시간이 있다. 이 중 소집해서 훈련할 수 있는 시간은 대략 20일 정도이다. 가장 걱정인 것은 대부분의 선수들이 어리기 때문에 프로팀에 복귀해 경기를 못 나간다는 것이다. 그러면 1달간 선수들의 경기력과 체력이 유지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코치진에서 가장 걱정하고 있다. - 월드컵에서는 더 강팀들을 만난다. 아시안컵에서 아쉬웠던 점을 보강한다면 어떤 점일지. 경기 체력, 경기 운영, 트랜지션 속도 등이 앞으로 보완해야 할 숙제이다. 이를 보완한다면 월드컵에서도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 월드컵에서의 목표는. 목표를 세분화해서 조별 예선을 통과하고 토너먼트를 잘 치르는 것이다. 첫 경기 잘 준비한다면 인도네시아 월드컵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자신이 있다.
    • 스포츠
    2023-03-17
  • KBO, 냉정하게 문제점을 분석하고 중장기적인 대책을 수립,리그 경기력 및 대표팀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겠습니다.
    KBO[동국일보] KBO(총재 허구연)는 야구대표팀이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과 경기력을 보인 점에 대해 응원해주신 국민 여러분과 야구 팬들께 진심으로 사과 드린다고 밝혔다. KBO와 10개 구단은 이번 WBC 대회 결과에 큰 책임을 통감하며, 여러 질책을 겸허히 받아들인다. KBO는 16일(목) 2023년 제 2차 실행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사안을 깊이 있게 논의했으며 리그 경기력과 국가대표팀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중장기적인 대책을 조속한 시일 내에 마련하기로 했다. 또한, 각 단체와 협력하고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해 KBO 리그의 경기력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대표팀이 국제대회에서 더 좋은 성적을 올릴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 스포츠
    2023-03-17
  • 김은중호, 승부차기 끝에 우즈벡에 패배.. 결승 진출 좌절
    우즈베키스탄과의 준결승에 선발 출전한 남자 U-20 대표팀 11명의 모습. 배준호가 지난 경기에 부상당한 이승원의 유니폼을 들고 있다.[동국일보] 남자 U-20 대표팀이 승부차기 끝에 우즈베키스탄에 패해 결승 진출이 좌절됐다. 김은중 감독이 이끄는 U-20 대표팀은 15일 23시(한국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분요드코르 스타디움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의 2023 AFC U-20 아시안컵 준결승에서 전후반 90분과 연장까지 0-0으로 맞선 뒤 승부차기 끝에 1-3으로 패했다. 김 감독은 이번 대회에서 주로 활용하고 있는 4-1-4-1 포메이션을 들고나왔다. 최전방 공격수로는 190cm의 장신 공격수 이영준(김천상무)를 내세우며 제공권을 강화했다. 2선에는 배준호(대전하나시티즌), 김희승(대구FC), 박현빈(인천유나이티드), 김용학(포르티모넨세)이 포진했다. 강상윤이 원 볼란치를 맡았고 포백은 황인택(서울이랜드), 김지수(성남FC), 최석현(단국대), 조영광(FC서울)이 구성했다. 골키퍼 장갑은 김준홍(김천상무)이 꼈다. 한편 이번 대회 4경기에서 3골을 기록하며 팀 내 득점 1위를 달리고 있는 성진영(고려대)은 벤치에서 경기를 시작했다. 이전까지 최대 400명대의 소규모 관중을 앞에 두고 경기했던 한국은 홈팀 우즈베키스탄을 상대로 만원 관중 속에 경기를 치렀다. 각각 포백과 파이브백을 꺼내든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은 수비적으로 라인을 내린 채 서로를 탐색했다. 전반 초반부터 우즈베키스탄의 악재가 나왔다. 이번 대회 전 경기에 출장한 팀의 에이스 콜도르호노프가 스프린트 상황에서 다리 부상을 호소하며 그라운드에 그대로 주저앉았다. 콜도르호노프는 곧바로 주라구예프와 교체됐다. 한국은 오른쪽 측면에서 조영광과 김용학의 2대1 패스로 공간을 만들었다. 전반 22분에는 김용학이 오른쪽에서 얻어낸 코너킥을 직접 올렸고, 파 포스트에서 쇄도하던 황인택이 헤더로 연결했으나 골대 옆 그물을 때렸다. 반면 우즈베키스탄은 파이줄라예프를 중심으로 왼쪽 측면을 적극 공략했다. 전반 28분에는 강상윤의 반칙으로 아크서클 왼쪽에서 좋은 프리킥 기회를 얻었다. 키커로 나선 파이줄라예프가 슛했으나 공이 골문을 살짝 비껴갔다. 전반 43분에는 파이줄라예프가 왼쪽 측면에서 돌파 후 오른발로 감아 찼으나 골대를 벗어났다. 전반 내내 한국은 우즈베키스탄의 수비를 뚫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김은중 감독은 후반 시작과 함께 교체 카드를 꺼냈다. 미드필드에 김희승을 빼고 오른쪽 측면에 강성진을 투입해 공격을 강화했다. 또한 김용학을 원톱 아래 공격형 미드필더로 이동시켜 전술에 변화를 줬다. 후반 7분과 후반 14분에는 박창우와 성진영을 추가 투입하며 공격에 불을 붙였다. 전반과 달리 우즈베키스탄의 기세가 한층 잦아 들었다. 한국은 오른쪽 측면에서 강성진의 라인 브레이크와 김용학을 중심으로 한 세트피스를 통해 주도권을 잡았다. 그러나 득점 찬스까지 연결되지는 못했고, 시간이 갈수록 체력적 부담이 경기력으로 나타났다. 지쳐 있는 한국을 상대로 우즈베키스탄이 반격했다. 후반 41분에는 아크라모프의 패스를 받은 자브노프가 왼쪽 측면부터 박스 안까지 돌파 후 슛했으나 왼쪽 옆 그물을 때렸다. 후반 추가시간 3분에는 에사로프가 문전에서 올라온 크로스를 받자마자 터닝슛했으나 공이 골키퍼 정면으로 향했다. 양 팀은 전후반 90분 간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한국은 연장 시작에 맞춰 조영광과 박현빈을 빼고 이준재와 문승민을 투입했다. 연장 전반 3분에는 이준재가 중원에서 공간을 창출한 뒤 박스 안에 있던 성진영이 기회를 잡아 슛했으나 골키퍼 품에 그대로 안겼다. 김은중 감독은 연장 후반 김용학을 빼고 이준상을 교체 투입하며 기동력을 강화했다. 킥력이 좋은 김용학을 빼고 이준상을 투입한 것은 15분 내에 득점을 노려 승부차기 이전에 경기를 끝내겠다는 계산이었다. 그러나 끝내 득점은 터지지 않았고 경기는 양 팀의 승부차기로 이어졌다. 한국은 1번 키커로 나선 강성진과 2번 키커 강상윤의 슛이 연달아 골키퍼에 막혔다. 반면 우즈베키스탄은 파이줄라예프를 시작으로 3명의 키커가 차례로 득점에 성공했다. 이어 한국의 4번 키커 김지수의 슈팅이 막히며 경기는 승부차기 끝에 우즈베키스탄의 승리로 끝났다. 2023 AFC U-20 아시안컵 준결승 대한민국 0-0 우즈베키스탄 (1 PSO 3) 출전선수 : 김준홍(GK), 황인택, 김지수, 최석현, 조영광(연전1 이준재), 강상윤, 배준호(후7 박창우), 김희승(HT 강성진), 박현빈(연전 문승민), 김용학(연후1 이준상), 이영준(후14 성진영)
    • 스포츠
    2023-03-16
  • KPGA, ㈜세라젬과 3년 연속 공식 스폰서 협약 체결
    KPGA, ㈜세라젬과 3년 연속 공식 스폰서 협약 체결[동국일보] (사)한국프로골프협회(회장 구자철, KPGA)와 ㈜세라젬(대표이사 이경수, 세라젬)이 공식스폰서 협약을 체결했다. 본 협약을 통해 세라젬의 ‘척추 의료가전’, ‘안마의자’ 등은 지난 2021년부터 3년 연속으로 ‘KPGA 공식 헬스케어 기기’로 선정됐다. 이에 세라젬의 제품들은 KPGA 코리안투어, KPGA 스릭슨투어, KPGA 챔피언스투어 대회에서 홀인원 부상 및 우승자 부상으로도 제공될 예정이다. 지난 2021년 KPGA 공식 스폰서 협약을 통해 인연을 맺은 세라젬은 KPGA와 함께 다양한 스포츠 마케팅 전개를 통해 국내 프로골프 산업 성장에 기여해왔다. 세라젬 이경수 대표이사는 “힌국 골프 산업의 근간인 KPGA와 3년 연속 공식 스폰서로 함께할 수 있어 기쁘다”며 “세라젬 헬스케어 가전에 대한 골프인들의 관심이 높은 만큼 앞으로도 골프 산업의 발전과 건강한 스포츠 문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한국프로골프투어(KGT) 김병준 대표이사는 “3년 연속 KPGA와 한국 프로골프의 발전을 위해 깊은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신 세라젬 임직원 여러분께 고마움의 뜻을 전한다”며 “본 협약이 양 사간 좋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한편 세라젬은 전 세계 70여 개국에 진출한 글로벌 홈 헬스케어 전문기업으로 의료가전, 휴식가전 등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차별화된 체험을 제공한다. 특히 세라젬의 척추 의료가전 ‘세라젬 V6’는 25년간의 ‘세라젬 테크놀로지’가 집약된 제품으로 척추 라인을 따라 집중 온열과 지압마사지를 통해 각종 척추질환 치료와 근육통 개선 등에 도움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 스포츠
    2023-03-16

연예 검색결과

  • '어쩌다 마주친, 그대' 김동욱, 비밀 가득한 '시간 여행자' 윤해준 役 안방극장 접수!
    [사진 제공: 아크미디어] [동국일보] ‘어쩌다 마주친, 그대’가 배우 김동욱의 냉철하고도 인간적인 모습의 스틸을 공개했다. 오는 5월 1일 첫 방송을 앞둔 KBS 2TV 새 월화드라마 ‘어쩌다 마주친, 그대’(연출 강수연, 이웅희 / 극본 백소연 / 제작 아크미디어) 측은 21일(오늘) 보기만 해도 숨죽이게 만드는 김동욱의 스틸을 공개했다. ‘어쩌다 마주친, 그대’는 1987년에 갇혀버린 두 남녀의 이상하고 아름다운 시간 여행기로, 과거 연쇄살인 사건의 진실을 찾아 나선 윤해준(김동욱 분)과 백윤영(진기주 분)이 서로 목표가 이어져 있음을 깨닫고 사건을 풀어가는 작품이다. ‘어쩌다 마주친, 그대’ 측이 공개한 사진 속 김동욱은 진지하고도 설득력 있는 표정이다. 누군가를 바라보는 모습에서 깊고 강렬한 인상을 주는가 하면 또 다른 사진에서는 오렌지 색상의 자동차에 앉아 결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김동욱은 극 중 우연히 타임머신을 얻어 시간 여행자의 삶을 살아가는 윤해준 역을 맡았다. 2021년 방송국 기자 출신 앵커인 윤해준은 우연한 기회로 타임머신을 얻고, 1987년으로 시간 여행을하며 기이한 일들을 겪게 된다. 그를 둘러싼 다양한 사건과 예측할 수 없는 스토리에 첫 방송 전부터 극적 흥미가 더해지는 상황. 김동욱은 연쇄살인 사건을 바로 잡아가는 윤해준의 냉철하고 이성적인 모습과 사람들 속에서 인간적이고도 감정적인 내면도 드러낼 예정이다. 이와 관련 ‘어쩌다 마주친, 그대’ 제작진은 “김동욱은 매 순간 윤해준 캐릭터에 동화돼 완벽한 싱크로율을 보여주고 있다”라며 “김동욱이 윤해준 캐릭터를 통해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주의 깊게 봐주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대체불가 매력, 윤해준 그 자체를 선보일 김동욱의 KBS 2TV 새 월화드라마 ‘어쩌다 마주친, 그대’는 5월 1일 첫 방송 된다.  
    • 연예
    • 방송
    2023-03-21
  • '장미의 전쟁' 김지민, 몰입도 200% 끌어내는 완벽 프레젠터!
    [사진 제공: MBC every1 장미의 전쟁 영상 캡처] [동국일보] 개그우먼 김지민이 귀에 쏙쏙 들어오는 사연 소개와 리액션으로 시청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김지민은 20일(어제) 방송된 MBC every1 ‘장미의 전쟁’에서 일본의 한 남성이 저지른 디지털 성범죄 ‘리벤지 포르노’ 사연에 프레젠터로 활약하며 흥미진진한 스토리를 들려줬다. 이날 방송에서 김지민은 다른 프레젠터들의 이야기에 적극적으로 질문을 하기도 하고, 몰입한 채 들으면서 공감, 분노 등의 다양한 리액션으로 보는 이들까지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만들었다. 김지민은 정다희 아나운서의 안젤리나 졸리의 블러드 러브 스토리에 자신이 과거 안젤리나 졸리 커버 메이크업을 했다는 얘기를 꺼내며 큰 관심을 드러냈고, 특히 경계성 인격장애를 겪으며 어릴 적 힘든 시절을 보낸 그녀에게 계속해서 안타까움을 표하며 집중했다. 마지막 프레젠터로 나선 김지민은 패널들의 궁금증을 자극하는 스토리텔링으로 시청자들까지 몰입시켰다. 김지민은 일본의 법까지 바꾼 끔찍한 살인사건을 저지른 이케나가에 관한 스토리를 들려줬다. 연인에게 집착, 스토킹, 디지털 성범죄, 강간, 살해까지 저지른 사연을 소개하며 자신도 분노를 참지 못하는 모습으로 많은 공감대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김지민은 방송 내내 패널들과 열띤 토론은 물론, 모두를 집중시키는 프레젠터의 면모까지 선보이며 다양한 매력을 보여줬다. 다채로운 리액션과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 김지민의 활약은 매주 월요일 저녁 8시 30분에 방송하는 MBC every1 ‘장미의 전쟁’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연예
    • 방송
    2023-03-21
  • '청춘월담' 박형식, 전소니의 든든한 방어막 됐다…"내 기꺼이 온 힘을 다해 너를 지킬 것"
    [사진 제공: tvN 월화드라마 청춘월담 영상 캡처] [동국일보] 박형식이 전소니와 윤종석을 향한 애정과 믿음으로 저주의 운명을 극복해냈다. 어제(20일) 방송된 tvN 월화드라마 ‘청춘월담’(극본 정현정/ 연출 이종재/ 기획 스튜디오드래곤/ 제작 글앤그림미디어) 13회 시청률은 수도권 가구 평균 4.4%, 최고 5.4%를 기록하며 수도권 기준 케이블 및 종편을 포함한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차지했다(케이블, IPTV, 위성 통합한 유료플랫폼 기준/닐슨코리아 제공). 이날 방송에서는 조원보(정웅인 분)가 보낸 살수들에게 습격을 당한 이환(박형식 분)과 민재이(전소니 분), 한성온(윤종석 분)이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도 서로의 손을 놓지 않는 굳건한 신뢰를 드러내 뭉클함을 안겼다. 이환은 최태강(허원서 분)을 의심하는 민재이의 이야기를 묵묵히 들어주는 동시에 최태강의 알리바이를 명확하게 밝혀주며 오해를 풀었다. 추리가 어긋나자 민재이의 혼란은 가중됐고 이환은 그런 민재이를 걱정스럽게 지켜보고 있었다. 이에 이환은 민재이와 함께 과거 의현세자(이하율 분)와 마음을 터놓았던 장소를 찾았다. 이환은 의현세자의 죽음 이후 움츠러든 자신에게 용기를 준 사람인 민재이에게 “내 기꺼이 온 힘을 다해 너를 지킬 것”이라며 방패가 되어주겠다는 진심을 전했다. 이환의 마음을 느낀 민재이 역시 깊은 눈빛으로 이환을 마주해 가슴을 먹먹하게 만들었다. 한편, 강무장 축문에 장난을 친 소격서의 관원, 오만식이 발견됐다는 소식에 이환은 민재이, 한성온과 함께 그를 만나러 나섰다. 세 사람이 오만식을 쫓고 있음을 이미 알고 있던 조원보가 수족을 시켜 오만식과 그의 가족들을 제거할 것을 명령하면서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조원보가 보낸 살수들로 인해 오만식이 사망하면서 10년 전 벽천에서 있었던 일은 다시금 미궁으로 빠져버리고 말았다. 심지어 살수들은 이환과 민재이, 한성온을 향해서도 칼과 화살을 겨눴고 수적 열세에 밀려 뿔뿔이 흩어진 세 사람은 부상을 입고 위기에 놓여 보는 이들의 마음까지 조마조마하게 했다. 화살을 맞은 채 사라진 민재이와 한성온을 찾아 헤매던 이환은 절벽 위에 흩어진 핏방울과 민재이의 봇짐을 보고 패닉에 휩싸였다. ‘많은 이들이 너의 어리석음으로 인해 죽을 것’이라는 저주의 문구가 떠오른 것. 저주의 운명으로 인해 벗은 물론 지켜주고 싶었던 여인마저 잃었다는 자책감에 절규하는 이환의 모습은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같은 시각 민재이와 한성온 역시 이환을 만나기 위해 애쓰고 있었다. 이환이 잘못됐을지도 모른다는 불길한 상상과 함께 그를 향한 자신의 연심을 자각한 민재이는 왕세자를 지키기 위해 다친 다리도 아랑곳하지 않고 사방을 헤맸다. 그런 가운데 불현듯 해가 뜨는 곳에 있겠다던 이환의 말을 떠올린 민재이는 한성온과 함께 동쪽을 향해 내달리기 시작했다. 예상대로 동쪽에서 이환을 다시 만났지만 이미 이환은 살수들의 공격으로 인해 피를 많이 흘렸던 터.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그대로 쓰러진 이환과 놀란 민재이와 한성온의 서글픈 울음을 끝으로 ‘청춘월담’ 13회가 막을 내렸다. 이렇듯 이환과 민재이, 그리고 한성온은 위기 속에서도 서로를 위하고 지키며 굳건한 믿음을 드러냈다. 이러한 신뢰와 애정은 이환에게 ‘귀신의 서’가 그저 말뿐인 허상에 불과하다는 확신을 심어줄 뿐만 아니라 저주에 대한 두려움까지 극복하게 했다. 서서히 운명의 굴레에서 벗어나고 있는 세 사람이 앞으로 어떤 삶을 개척해갈지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지고 있다. tvN 월화드라마 ‘청춘월담’은 중국과 한국 등 여러 국가에서 인기를 얻은 미스터리 로맨스 소설 ‘잠중록’ 기반의 퓨전 창작 드라마. 오늘(21일) 저녁 8시 50분에 14회가 방송된다.  
    • 연예
    • 방송
    2023-03-21
  • 개그우먼 '신기루', JDB엔터테인먼트와 전속계약 체결!
    [사진 제공 : JDB엔터테인먼트] [동국일보] 개그우먼 신기루가 JDB엔터테인먼트에 새 둥지를 틀었다. JDB엔터테인먼트 측은 21일(오늘) “솔직하고 거침없는 개그우먼 신기루와 전속계약을 체결했다. 앞으로 보여줄 신기루의 역량이 무궁무진하기에 그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기루는 지난 2005년 KBS 2TV ‘폭소클럽’으로 데뷔했다. 이후 SBS ‘웃찾사’를 비롯해 MBC ‘놀면 뭐하니?’, ‘라디오스타’에 출연, 남다른 ‘먹방’ 클라스와 거침없는 입담을 자랑하며 안방극장에 웃음 폭탄을 선사해왔다. 신기루는 지상파 예능 외에도 팟캐스트 ‘정영진 최국의 매불쇼’와 웹 예능 ‘바퀴 달린 입’, ‘터키즈 온 더 블럭’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재치 있는 이야기들로 많은 사람에게 큰 웃음을 선물했다. 신기루는 특히 tvN ‘한도초과’에서 ‘토스트 재료 맞추기’, ‘생새우회 먹팁’, ‘뉴진스 콘셉트 화보 촬영’, ‘숏폼 댄스 영상 촬영’, ‘신기루의 시그니처 삼각 머리’ 등 개성 넘치는 개그로 맹활약했다. JDB엔터테인먼트와 전속계약을 맺은 신기루는 향후 예능, 유튜브, 팟캐스트를 넘나들며 더욱 활발한 활동을 펼쳐 나갈 예정이다. JDB엔터테인먼트에는 현재 개그맨 김대희, 김준호를 비롯해 박나래, 김민경, 김지민, 유민상, 홍윤화, 박영진, 오나미, 권재관, 홍인규, 박소영, 김민기, 이세진, 한윤서, 박진호, 랄랄 등이 소속돼 있다.  
    • 연예
    • 스타
    2023-03-21
  • '닥터 차정숙' 엄정화, '정숙'치 못한 스캔들?…화끈한 인생 리부팅 2차 포스터 공개!
    [사진제공=JTBC] [동국일보] ‘닥터 차정숙’ 엄정화가 인생 리부팅 도전기를 화끈하게 쓴다. 오는 4월 15일 첫 방송되는 JTBC 새 토일드라마 ‘닥터 차정숙’(연출 김대진·김정욱, 극본 정여랑, 제작 ㈜스튜디오앤뉴) 측은 21일, 차정숙(엄정화 분)의 인생 2막을 예고하는 2차 포스터를 공개했다. 세상 밖으로 당찬 걸음을 내딛으며 환하게 미소 짓는 차정숙, 타인이 아닌 스스로의 힘으로 벽을 넘는 모습은 그의 새로운 도전에 대한 궁금증을 높인다. ‘닥터 차정숙’은 20년차 가정주부에서 1년차 레지던트가 된 차정숙의 찢어진 인생 봉합기를 그린다. 가족이 전부였던 평범한 주부에서 ‘왕년’에 잘나가던 닥터 차정숙으로 각성한 ‘정숙’치 못한 스캔들이 유쾌한 웃음과 현실적인 공감을 선사한다. 앞서 베일을 벗은 메인 포스터가 남편이자 대학병원 외과 과장 서인호(김병철 분)에게 불꽃 따귀를 날리는 정숙의 모습으로 화끈한 반격을 예고했다면, 이날 공개된 2차 포스터는 새로운 세상으로 발을 딛는 차정숙의 도전을 기대케 한다. 가족을 위해 기꺼이 커리어를 포기하고 헌신했던 20년차 가정주부 차정숙. 그를 다시 세상 밖으로 이끄는 것은 그 누구도 아닌 ‘자신’이다. 당황스러움이 역력한 주부 차정숙과 달리 레지던트 차정숙의 얼굴엔 희망과 설렘이 가득하다. 여기에 ‘이제 나한테 제일 잘할래!’라는 선언과도 같은 문구는 진정한 ‘나’를 찾아 인생 리부팅을 시작한 그의 도전을 더욱 기대케 한다. “‘닥터 차정숙’에 담긴 메시지가 너무 좋았다”라고 밝힌 엄정화는 오랜 전업주부 생활을 뒤로하고 20년 만에 다시 의사 가운을 입은 ‘차정숙’을 맡아 또 하나의 인생 캐릭터를 경신한다. 뜻밖의 위기에서 살아난 그는 가족을 위해 포기했던 전공의 과정에 재도전하며 인생의 대전환기를 맞는다고. 가족을 위한 맞춤 헌신으로 완벽한 가정을 일궈냈지만, 이제는 자신의 꿈을 위해 새로운 인생에 용감하게 도전장을 내민 차정숙의 인생 터닝 포인트가 과연 어떻게 펼쳐질지 궁금해진다. 김병철, 명세빈, 민우혁과의 시너지에도 기대가 쏠린다. 김병철은 차정숙의 깐깐하고 예민한 남편이자, 철두철미한 대학병원 외과 과장 ‘서인호’로 분해 아슬아슬한 이중생활을 천연덕스럽게 풀어낸다. 명세빈은 서인호의 첫사랑이자 가정의학과 교수 ‘최승희’를 맡아 새로운 얼굴을 선보인다. 민우혁은 정숙과 묘하게 얽히는 자유연애주의 외과 의사 ‘로이킴’을 맡아 열연한다. 한편, JTBC 새 토일드라마 ‘닥터 차정숙’은 오는 4월 15일(토) 밤 10시 30분 첫 방송된다.  
    • 연예
    • 방송
    2023-03-21
  • '딜리버리맨' 윤찬영, 방민아와 때아닌 냉전?…'환장 듀오' 관계에 찾아온 위기?!
    [사진제공=KT스튜디오지니] [동국일보] ‘딜리버리맨’ 윤찬영, 방민아의 관계에 이변이 찾아온다. 지니 TV 오리지널 ‘딜리버리맨’(연출 강솔·박대희, 극본 주효진·박혜영·한보경, 기획 KT스튜디오지니, 제작 코탑미디어) 측은 21일, 서영민(윤찬영 분)과 강지현(방민아 분)을 둘러싼 냉랭한 분위기를 포착했다. 지난 방송에서는 최하율(갈소원 분) 실종 사건을 완벽히 해결하는 귀신 전용 택시의 활약이 그려졌다. 어린 최하준(정선율 분)의 말을 믿어주고, 산속에서 목숨을 잃을 뻔한 학생을 살려준 그들의 이야기는 라디오를 타고 사람들에게도 널리퍼졌다. 강지현은 모두를 도와준 데에 대한 보답으로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함께 남산에 가서 자물쇠를 걸고 싶다고 말한 서영민. 이어진 “좋아해요”라는 고백에 강지현은 마냥 행복해할 수 없었다. 귀신이 사람을 사랑하면 성불한다는 법칙을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 그런 가운데 드러난 강지현과 도규진 사이 뜻밖의 인연은 이어질 이야기를 더욱 궁금케 했다. 그런 가운데 공개된 사진 속에는 전에 없이 냉랭한 기운이 감도는 서영민과 강지현의 모습이 담겨 호기심을 자극한다. 무언가 못마땅한 듯 팔짱을 낀채 바라보는 강지현의 모습에도 아랑곳 않고 무표정으로 대응하는 서영민. 집에 돌아온 뒤에도 두 사람의 냉전은 계속된다. 결국 서영민의 급작스러운 변화를 이해하지 못한 강지현의 눈가에는 물기가 맺히기까지 한다. 얼마 전까지 강지현을 향해 “좋아해요”라고 ‘노브레이크’ 고백을 날렸던 서영민의 태도가 180도 바뀐 데에는 어떤 이유가 숨겨져있는 것인지, 이들의 관계에 찾아온 위기에 이목이 집중된다. ‘딜리버리맨’ 제작진은 “7회에서 서영민과 강지현은 서로를 생각하는 마음 때문에 오히려 엇갈리기 시작한다. 속력을 높이는 진실 찾기와 함께 두 사람의 감정이 보다 세밀하게 그려지는 회차가 될 것”이라고 전해 기대감을 높였다. 지니 TV 오리지널 ‘딜리버리맨’ 7회는 내일(22일) 밤 9시 공개된다.  
    • 연예
    • 방송
    2023-03-21
  • 페이블, 다양한 팬 소통으로 국내외 페어리스 매료…한일 인기몰이!
    [사진 제공: 해이룸엔터테인먼트] [동국일보] 보이그룹 페이블(F.able)이 국내외 다채로운 행보로 인기몰이 중이다. 페이블은 3월과 4월, 영상통화 이벤트 및 다양한 프로모션과 일본 라이브 공연을 예고하며 팬들의 이목을 사로잡고 있다. 페이블은 오는 26일 오후 1:1 영상통화 이벤트를 통해 페어리스(팬덤명)를 만나며, 이외에도 팬들의 오감을 만족시킬만한 각종 이벤트와 팬미팅, 프로모션을 기획, 예정 중이다. 또한 페이블은 일본 도쿄에서 라이브 공연으로 현지 팬들을 만난다. 앞서 일본에서 다수의 라이브 공연을 통해 폭발적인 에너지와 대체불가한 매력을 보여준 만큼, 화끈한 퍼포먼스와 색다른 무대 구성, 꽉 찬 셋리스트로 열도를 화려하게 물들일 예정이다. 이렇듯 페이블은 앨범 발매 이후에도 국내외를 오가며 음악 활동을 쉼 없이 이어가고 있는 것은 물론, 남다른 팬 서비스로 탄탄한 팬층을 구축, 앞으로의 글로벌 활약에 기대가 더해진다. 페이블은 지난 2020년 6월 ‘으랏차 (Burn it up)’로 가요계 정식 데뷔했으며, 두 번째 싱글 ‘Run Run Run’, 신곡 ‘여행(Cloud 9)’ 등을 발표하며 음악팬들의 눈도장을 찍었다. 한편 페이블은 각종 무대와 팬미팅, 프로모션을 통해 팬들과 소통할 계획이다.  
    • 연예
    • 스타
    2023-03-21
  • '조선변호사' 차학연X천호진, 부자 호흡!…극 쥐락펴락할 '키플레이어'
    [사진 제공: MBC 금토드라마 조선변호사] [동국일보] 배우 차학연과 천호진이 ‘조선변호사’에서 부자(父子)로 만난다. 오는 31일(금) 첫 방송을 앞둔 MBC 새 금토드라마 ‘조선변호사’(연출 김승호, 이한준 / 극본 최진영/ 제작 피플스토리컴퍼니, 원콘텐츠) 측은 20일(오늘) 케미가 돋보이는 차학연(유지선 역)과 천호진(유제세 역)의 스틸을 공개했다. 극 중 부자(父子) 호흡을 펼칠 차학연과 천호진의 비장하고도 남다른 아우라를 자랑하는 스틸은 보는 이들을 압도한다. 차학연은 ‘조선변호사’에서 한성부 최고의 벼슬인 ‘판윤’ 유지선으로 분한다. 명문가의 자제로 관직에 나서기 위해 충실하게 공부한 만큼, 관료로서 공정하게 판단하고 행동하기 위해 노력해온 인물이다. 하지만 본인의 의지와 달리 힘의 논리로 움직이는 현실에 자신의 뜻을 잠식당하는 상황에 놓인 캐릭터를 보여줄 예정이다. 차학연과 연기 호흡을 펼칠 천호진은 지위와 권력을 쥔 조정 최고의 권력자 유제세 역을 맡았다. 유제세는 국정을 총괄하는 ‘원상’으로서 의정부를 대표하는 영의정이자 훈구파 수장으로 실세 그 자체다. 뿐만 아니라 차학연과 천호진은 자신이 가진 힘을 이용해 극의 흐름을 쥐락펴락하며 긴장감과 활기를 불어넣는 등 키플레이어 역할을 한다고 해 기대가 모인다. 차학연이 우도환과 김지연 사이에서, 그리고 자신의 아버지인 천호진과의 관계를 어떻게 이어갈지에 따라 반전 전개가 펼쳐질 전망이다. ‘조선변호사’는 부모님을 죽게 한 원수에게 재판으로 복수하는 조선시대 변호사 ‘외지부’의 이야기를 그린다. 진정한 복수는 의로운 일을 할 때 가치 있는 것임을 보여주며 백성을 위하는 진짜 변호사로 성장해가는 유쾌, 통쾌한 조선시대 법정 리벤지 활극 드라마다. 차학연과 천호진의 긴장감 넘치는 만남이 담긴 MBC 새 금토드라마 ‘조선변호사’는 오는 31일(금) 밤 9시 50분 첫 방송된다.  
    • 연예
    • 방송
    2023-03-20
  • 트라이비, 두 번째 미니앨범 'W.A.Y' 활동은 끝나도 팬 소통은 계속된다!
    [사진 제공: 티알엔터테인먼트] [동국일보] 그룹 트라이비(TRI.BE)가 신보 활동을 마무리한 가운데 깜짝 사인회로 넘치는 팬 사랑을 드러냈다. 트라이비는 지난 18일 개최된 두 번째 미니앨범 ‘W.A.Y(웨이)’ 대면 팬사인회와 영상통화 이벤트를 성료, 비하인드 컷을 대방출했다. 공개된 사진에는 교복에 운동화와 흰 양말을 신고 사랑스럽고 잔망스러운 분위기를 내뿜고 있는 멤버들의 모습이 시선을 사로잡았다. 트라이비는 고등학생을 연상케 하는 천진난만한 무드와 비글미 넘치는 포즈로 보는 이들의 흐뭇한 미소를 불러일으켰다. 사진과 함께 트라이비는 “트라이비 하교 완료. 트루 친구들. 우리 다음에 또 놀자”라는 귀여운 멘트로 현장에서 함께 즐긴 트루(팬덤명)의 기쁨과 행복을 자아냈다. 이날 열린 대면 사인회에서 트라이비는 신보 타이틀곡 ‘WE ARE YOUNG(위 아 영)’ 무대를 비롯해 다채로운 이벤트로 팬 서비스를 제대로 선사했다. 앨범 활동 종료 이후에도 팬들과 보다 가까이에서 눈을 맞추고 소통하며 뜨거운 팬 사랑을 자랑했다. 트라이비는 지난달 14일 두 번째 미니앨범 ‘W.A.Y’를 발표, 한 달간의 컴백 활동을 마쳤다. ‘W.A.Y’는 누구나 마주하는 새로운 순간, 실패의 두려움보다는 자신감 넘쳤던 당당한 ‘나’와 ‘우리’의 모습을 트라이비의 목소리로 그린 앨범으로, 확 바뀐 콘셉트와 업그레이드된 음악성으로 트라이비의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W.A.Y’는 발매 직후 월드와이드 아이튠즈 앨범 차트 상위권에 진입했으며, 타이틀곡 ‘WE ARE YOUNG’은 미국, 영국, 스페인, 캐나다, 싱가포르 등 전 세계 10개 국가 및 지역 아이튠즈 송 상위권 랭크, 파나마, 라트비아, 파라과이, 스웨덴 등 10개 국가 및 지역 애플뮤직 차트인에 성공하는 등 전작을 뛰어넘는 음원, 음반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며 ‘4세대 대세 아이돌’의 저력을 증명했다. 한편 트라이비는 다음 컴백 전 해외 진출과 다양한 활동을 예정하고 있다.  
    • 연예
    • 스타
    2023-03-20
  • '로코력 만렙' 유인나♥윤현민, '썸' 터지는 로코가 온다…커플 포스터 공개!
    [사진 제공 = ENA] [동국일보] ‘보라! 데보라’ 유인나, 윤현민이 ‘썸’터지는 로맨틱 코미디로 시청자들에게 설렘을 풀충전한다. 오는 4월 12일 첫 방송되는 ENA 새 오리지널 드라마 ‘보라! 데보라’(연출 이태곤·서민정, 극본 아경, 기획 KT스튜디오지니, 제작 풍년전파상·오즈아레나)측은 20일, 최강 연애 코치 데보라(유인나 분)와 사랑이 어려운 남자 이수혁(윤현민 분)의 ‘두근두근’ 커플 포스터를 공개하며 기대감을 높였다. ‘보라! 데보라’는 연애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연애코치 ‘데보라’와 연애는 진정성이라는 출판 기획자 ‘수혁’이 함께 연애서를 만들며 시작되는 과몰입 유발 로맨스다. 밀고, 당기고, 씹고, 뜯고, 맛보며 즐기는 연애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이 현실 공감을 더해 시청자들의 설렘 세포를 깨운다. ‘이 구역의 미친 X’, ‘검사내전’, ‘청춘시대 1·2’ 등 감각적이고 섬세한 연출로 대중의 사랑을 받는 이태곤 감독과 ‘이 구역의 미친 X’로 위트 넘치는 필력을 인정받은 아경 작가가 다시 의기투합했다. 무엇보다 ‘썸’ 폭발하는 공감 로맨스를 완성할 유인나, 윤현민, 주상욱, 황찬성, 박소진의 케미스트리에 뜨거운 기대가 쏠리고 있다. 그런 가운데 공개된 커플 포스터 속 데보라, 이수혁의 달콤한 분위기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흩날리는 ‘보랏빛’ 하트 아래 서로의 등을 맞대고 앉은 두 사람. 세상 연애에 통달한 확신의 ‘연애코치’ 답게 하트를 든 데보라의 얼굴은 자신만만 그 자체. 그런 데보라가 사랑스럽다는 듯 미소짓는 이수혁의 모습은 설렘을 자극한다. 데보라와 달리 조심스레 꺼내 든 하트는 사랑이 어렵고 조심스러운 그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연애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연애코치 데보라와 진정성이 중요하다는 이수혁. ‘망한 연애 고쳐드림’이라는 문구는 달라도 너무 다른 이들의 연애서에 채워질 이야기에 궁금증을 더한다. 자타공인 로코 장인 유인나는 여자들의 워너비 ‘연플루언서(연애+인플루언서)’이자, 베스트 셀러 연애서를 보유한 스타 작가이기도 한 최강 연애 코치 ‘데보라’ 역을 맡았다. 위트 넘치고 솔직한 그는 모든 연애에 통달한 듯하지만, 정작 본인의 연애에는 한 치 앞을 못 보고 뒤통수를 맞는 인물. 연애에 실패한 연애코치 데보라가 이수혁을 만나 사랑의 리턴매치에 성공할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윤현민은 까칠하지만 왠지 모르게 빠져드는 출판기획자 ‘이수혁’을 연기한다. 무심한 듯 뜨겁고, 시크한 듯 다정한 그는 사랑이 어려운 남자다. ‘연애란 어쩔 수 없이 빠져드는 것’이라는 연애 이상주의자 같다가도, ‘고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라는 무신론자 같은 면모로 궁금증을 유발하는 인물. 뜻하지 않게 데보라와 얽히게 되면서 변화를 맞는다. ‘보라! 데보라’ 제작진은 “연애코치 데보라와 사랑이 어려운 이수혁이 그려갈 연애에 대한 모든 것이 현실 공감 속 설렘을 자아낼 것”이라면서 “연애, 사랑에 관한 다채로운 감정을 섬세하게 주고받으며 공감을 극대화할 유인나, 윤현민의 연기 시너지를 기대해도 좋다”라고 전했다. 한편, ENA 새 오리지널 드라마 ‘보라! 데보라’는 오는 4월 12일(수) 밤 9시에 첫 방송된다. 출처 : RNX뉴스(https://www.rnx.kr)  
    • 연예
    • 방송
    2023-03-20
  • '패밀리' 장혁‧장나라‧이순재, 2차 티저 영상 공개…비범한 가족의 안방 상륙!
    [사진=tvN ‘패밀리’ 제공] [동국일보] tvN 월화드라마 ‘패밀리’의 2차 티저 영상이 공개됐다. 비밀요원인 장혁보다 더욱 수상하고 강력한 가족의 안방 상륙에 기대가 충만해진다. 오는 4월 17일(월) 첫 방송하는 tvN 새 월화드라마 ‘패밀리’(연출 장정도 이정묵/극본 정유선/제작 스튜디오드래곤 ㈜아이엠티브이)는 평범한 직장인으로 신분을 위장한 국정원 블랙 요원 남편과 완벽한 가족을 꿈꾸는 달콤살벌한 아내의 아슬아슬한 가족 사수 첩보 코미디. 드라마 ‘라이브’, ‘김비서가 왜 그럴까’, ‘왕이 된 남자’, ‘우리들의 블루스’, ‘환혼’, ‘아일랜드’ 등 다수의 흥행작을 총괄 프로듀싱했던 장정도 EP(Executive Producer)가 연출을 맡고 ‘흥행 잭팟 황금 조합’ 장혁과 장나라가 함께하는 네 번째 작품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극 중 장혁은 집 밖에선 무역상사 과장으로 신분을 위장한 원샷원킬의 국정원 블랙 요원이지만 집 안에서는 서열 최하위인 쭈구리 남편 ‘권도훈’ 역을, 장나라는 가족 내 서열 1위인 ‘힘숨찐’(힘을 숨긴 찐고수) 주부 9단 ‘강유라’ 역을 맡았다. 두 사람은 네 번째 호흡을 맞추는 만큼 한층 쫀득하고 맛깔스러운 케미스트리로 시청자를 사로잡을 예정이다. 이 가운데 20일(월) ‘패밀리’ 측이 2차 티저 영상을 공개해 관심을 높인다. 공개된 티저 영상은 ‘코드네임 404’ 비밀요원 권도훈의 포스 넘치는 모습으로 시작돼 시선을 단숨에 사로잡는다. 권도훈은 원샷원킬의 국정원 블랙 요원 답게 능수능란하게 저격 총을 조립한 데 이어, 버스 안에서는 격투까지 펼쳐 긴장감을 치솟게 한다. 무엇보다 경계심을 늦추지 않는 권도훈의 예리한 눈빛이 그의 비밀요원 활약을 더욱 기대하게 한다. 하지만 이내 ‘힘숨찐’(힘을 숨긴 찐고수) 아내 강유라의 등장과 함께 분위기가 반전돼 이목을 끈다. 강유라는 권도훈이 차에 매달려 있음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운전에 집중하는 한편, 카리스마 넘치던 권도훈이 포스를 내려놓은 채 애처롭게 안간힘을 쓰는 반전된 위치가 웃음을 자아낸다. 이에 더해 고령의 나이에도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환호 속에 철봉 회전 기술을 선보이는 권웅수(이순재 분)부터, 장소와 상황을 불문하고 하이텐션의 흥이 넘치는 초등학생 딸 권민서(신수아 분), 동생 부부 권지훈(김강민 분), 이미림(윤상정 분) 등 비범한 가족의 면면이 폭소를 더한다. 더욱이 ‘비밀요원 보다 더 비밀스럽고 더 강력한 우리 가족들의 이야기’라는 카피와 “이건 가족의 힘이지. Power of the Family”, “평범한 가족의 아슬아슬한 이중생활”이라는 권도훈의 내레이션이 막강한 파워를 지닌 가족의 탄생을 예감케 하는 바. 범상치 않은 가족 행보가 담길 가족 사수 첩보 코미디 ‘패밀리’에 기대감이 치솟는다. 한편 tvN 새 월화드라마 ‘패밀리’는 오는 4월 17일(월) 저녁 8시 50분에 첫 방송될 예정이다.  
    • 연예
    • 방송
    2023-03-20
  • 스타팅하우스, 新그룹 첫 멤버 채은…화려한 비주얼+도도한 분위기 눈길!
    [사진=스타팅하우스 엔터테인먼트 제공] [동국일보] '요즘 아이들' 트렌드를 함께 발맞춰 나갈 첫 번째 멤버가 베일을 벗었다. 스타팅하우스엔터테인먼트(이하 스타팅하우스)는 20일 0시 공식 SNS에 '스타팅 걸스(가칭)' 멤버 개인의 콘텐츠를 첫 공개했다. 대중들에게 처음으로 인사를 건넬 주인공으로는 채은이 등장했다. 게재한 사진엔 당당하게 카메라와 눈맞춤하는 채은의 모습이 보인다. 흰 피부와 큰 눈망울, 도도한 채은의 분위기가 시선을 사로잡았고 자신감 넘치는 포즈와 눈빛은 보는 이들의 기대감을 끌어올렸다. 영상에서는 채은과 가까워질 수 있는 포인트가 담겨있다. 자신을 '무지개'라며 다양한 매력을 지니고 있는 사람이라고 소개한 채은. 그의 첫 발자국은 춤으로 시작한다. 댄스학원에 다니며 꿈을 키워온 채은은 팀의 퍼포먼스를 통해 트렌디하고 힙한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당찬 포부를 전했다. 채은은 "우리들은 힘들어도 포기하지 않는 강인한 힘을 가졌다"라며 "무너지지 않고 최선을 다해 우리 팀만의 색깔을 보여주고 싶다"라고 밝혔다. '스타팅 걸스'에서 솔직·당당한 존재감을 지니고 있는 채은은 무대를 즐기는 모습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길 것이다. 또한 스타팅하우스는 채은의 이미지, 필름과 함께 'A(에이)'라는 알파벳을 동시에 오픈해 호기심을 높였다. 과연 'A'에는 어떤 메시지가 담겨있을지, 이후에는 어떤 힌트들로 '스타팅 걸스'의 퍼즐을 완성시킬 수 있을지 기대감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스타팅 걸스'는 올해 상반기를 목표로 가요계에 데뷔한다. 최근에는 공식적으로 SNS를 오픈해 본격적으로 팬들과의 활발한 소통을 예고한다. '스타팅 걸스'는 차별화된 퍼포먼스와 콘셉트 기획 및 작사, 안무 창작 등의 예술성을 지니고 있는 그룹이다. K팝을 상징하는 수많은 팀들 사이에서 존경하는 자세로 많은 것을 배우고 '스타팅 걸스'만의 스타일을 보여줄 계획이다.  
    • 연예
    • 스타
    2023-03-20
  • '가면의 여왕' 유선, 재색겸비 부사장이자 '질투의 여왕' 윤해미 깜짝 변신!
    [사진 제공: 채널A 새 월화드라마 가면의 여왕] [동국일보] ‘가면의 여왕’의 배우 유선이 재색겸비 호텔 부사장으로 변신, 강렬한 포스를 선사한다. 채널A 새 월화드라마 ‘가면의 여왕’(연출 강호중/ 극본 임도완/ 제작 더그레이트쇼, 래몽래인 / 기획 채널A)은 성공한 세 명의 친구들 앞에 10년 전 그녀들의 거짓말로 살인자가 된 옛 친구가 나타나 가면에 감춰진 진실이 드러나게 되고, 한 남자로 인해 인생의 소용돌이를 맞게 된 네 명의 친구들이 펼치는 질투와 욕망의 전쟁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유선은 극 중 ‘질투의 여왕’이자 마리엘라 호텔 최초 평직원 출신 부사장 윤해미로 나선다. 윤해미는 재색겸비의 부사장으로 사장 승격을 앞두고, 10년 전 친구이자 원수 고유나(오윤아 분)가 나타나 최대 난제와 맞닥뜨린다. 20일(오늘) 공개된 스틸에는 위풍당당 자신감을 탑재한 마리엘라 호텔 부사장 윤해미로 ‘착붙’한 유선의 모습이 담겨 있다. 누구보다 치열하게 부사장 자리까지 올라간 그녀는 주위의 시선 따위 아랑곳하지 않는 듯 강렬한 포스를 뿜어내 이목을 집중시킨다. 원하는 건 다 손에 넣어야 직성이 풀리는 집념의 소유자 윤해미는 단호한 표정과 날선 눈빛으로 분위기를 압도한다. 특히 여유로운 미소를 자아내다 가도, 이내 웃음기 싹 지운 극과 극의 모습은 보는 이로 하여금 팽팽한 긴장감을 형성한다. 드레스룸에서 포착된 윤해미는 화려한 호피 무늬 시스루룩으로 농염한 매력을 드러내고 있다. 자신감 넘치는 모습과는 달리 깊은 생각에 잠긴 듯한 그녀의 굳은 표정에서 심상치 않은 사건이 발생했음을 암시하기도. 인생의 모든 운과 승부욕을 쏟아부었던 그녀가 일촉즉발 위기를 극복하고 사장 자리를 차지할 수 있을지 궁금증을 증폭시킨다. ‘가면의 여왕’ 제작진은 “유선은 첫 촬영부터 섬세한 캐릭터 연구는 물론 머리부터 발끝까지 윤해미에 완벽한 녹아든 모습으로 감탄하게 했다. 파란만장한 윤해미의 인생을 어떻게 그려나갈지 많은 기대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가면의 여왕’은 강호중 감독과 임도완 작가가 의기투합한 신작으로 채널A에서 오는 4월 첫 방송된다.  
    • 연예
    • 방송
    2023-03-20
  • '꼭두의 계절' 김정현, 임수향 떠나라는 경고에도 비장한 눈빛!
    사진 제공: MBC 꼭두의 계절 [동국일보] 김정현이 비극적 운명에 선전 포고를 가한다. 오늘(17일) 밤 9시 50분 방송되는 MBC 금토드라마 ‘꼭두의 계절(극본 강이헌, 허준우/ 연출 백수찬, 김지훈/ 제작 피플스토리컴퍼니, 스토리티비)’ 14회에서는 꼭두(김정현 분)가 한계절(임수향 분)의 품으로 돌아온 머리꽂이를 발견해 저주조차 막을 수 없는 수호 본능을 표출한다. 앞서 머리꽂이를 우연히 손에 넣은 한계절은 자신의 전생, 설희(임수향 분)의 기억을 모조리 떠올렸다. 이승에서나 저승에서나 반드시 그녀를 지켜주겠다고 약속한 오현(김정현 분)이 모진 사랑에 묶여 목숨까지 바쳤고 결국 저승신 꼭두가 되는 저주를 받들게 됐음을 깨달은 것. 특히 머리꽂이로 스스로 죽음을 택했던 사실마저 알게 된 한계절이 다시 그 물건을 손에 넣은 현재의 운명은 어떻게 끝맺을 수 있을지 궁금증이 치솟고 있다. 그런 가운데 공개된 사진에서 꼭두가 한계절의 머리꽂이를 들고 비장하게 서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 한계절과의 입맞춤을 통해 그녀의 전생을 확인한 꼭두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증오에 휩싸인 설희가 현재 김필수(최광일 분)의 얼굴을 한 이의 목을 찌르는 장면을 마주했던 바. 그 끔찍한 순간이 담긴 머리꽂이가 한계절의 곁으로 돌아왔다는 사실에 위기를 느낀다. 이에 꼭두는 과거의 굴레를 끊어내기 위해 금반지(성병숙 분)를 찾아간다. 금반지는 과거에도, 현대에도 한계절에게 머리꽂이를 내어줬던 인물로 그 물건과 얽힌 자의 가혹한 결말을 예고해왔다. 이번에도 역시 주어진 운명을 따르지 않겠다는 꼭두를 향해 한계절에게서 떨어지라는 경고를 전하며 긴장감을 조여올 예정이다. 금반지 앞에 선 꼭두는 결코 물러서지 않는 태도로 그와 맞서고 있다. 이미 조물주의 뜻을 어긴 꼭두가 금반지의 도발에 무너질 리 없기에 운명에 지지 않겠다는 꼭두의 선언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한층 궁금해지고 있다. 김정현이 움켜쥔 씨앗에 불행의 꽃이 필지, 기쁨의 꽃이 필지는 오늘(17일) 밤 9시 50분 방송될 MBC ‘꼭두의 계절’ 14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연예
    • 방송
    2023-03-17
  • '조선변호사' 김지연X신동미, 어디로 튈지 모르는 두 사람의 치밀한 복수 분투기!
    사진 제공: MBC 새 금토드라마 조선변호사 [동국일보] ‘조선변호사’의 배우 김지연과 신동미가 나라와 백성을 위한 복수를 시작한다. 오는 31일(금) 첫 방송되는 MBC 새 금토드라마 ‘조선변호사’(연출 김승호, 이한준 / 극본 최진영/ 제작 피플스토리컴퍼니, 원콘텐츠) 측은 17일(오늘) 김지연(이연주 역)과 신동미(홍 씨 역)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스틸을 공개했다. 공개된 스틸 속 김지연과 신동미는 찰떡같이 붙어 다니며 일거수일투족을 함께 하는 모습이다. 두 사람은 ‘조선변호사’에서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치밀한 복수극을 벌인다고 해, 이들이 벌일 계략이 기대된다. 김지연이 맡은 이연주는 마포나루에 ‘소원각’을 열어 나루터를 오가는 사람들에게 먹을 것, 잠잘 곳 등을 제공하고, 돈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저금리 대출을 해주며 백성들과 함께 생활한다. 그녀는 자신의 복수를 위해 공주라는 신분을 숨긴 채, 소원각에서는 홍 씨의 여종으로 남아 극을 더욱 흥미롭게 만들 예정이다. 신동미는 이연주의 조력자 홍 씨로 분한다. 홍 씨는 이연주의 유모이지만 그녀를 위해 소원각의 객주인으로, 궁궐에서는 상궁으로 물심양면 돕는다. 이연주를 위해서라면 목숨도 바칠 수 있다는 홍 씨가 이연주의 곁에서 고군분투, 어떤 일들을 벌이게 될지 궁금증을 더한다. 이와 관련 ‘조선변호사’ 제작진은 “김지연과 신동미는 각자가 맡은 개성 강한 캐릭터를 통해 끈끈한 케미를 드러내는 등 극의 활력을 가져다 줄 전망이다. 두 사람이 벌일 복수의 시작과 끝이 어떻게 그려질지 기대해 달라”고 전했다. ‘조선변호사’는 부모님을 죽게 한 원수에게 재판으로 복수하는 조선시대 변호사 ‘외지부’의 이야기다. 진정한 복수는 의로운 일을 할 때 가치 있는 것임을 보여주며 백성을 위하는 진짜 변호사로 성장해가는 유쾌, 통쾌한 조선시대 법정 리벤지 활극 드라마다. MBC 새 금토드라마 ‘조선변호사’는 ‘꼭두의 계절’ 후속으로 오는 31일(금) 밤 9시 50분 첫 방송된다.  
    • 연예
    • 방송
    2023-03-17

문화 검색결과

  • 영화 '드림' 박서준, 4년 만의 스크린 컴백…쏘울리스 축구선수 '홍대'로 완벽 변신!
    영화 '드림' 스틸 컷 [동국일보] 신선한 소재와 유쾌한 재미로 남녀노소 관객을 사로잡은 이병헌 감독의 신작이자 박서준, 이지은의 첫 만남으로 기대를 모으는 영화 '드림'의 박서준이 홈리스 풋볼 월드컵 감독을 맡게 된 축구선수 홍대 역으로 다시 한번 대체 불가 매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드림'은 개념 없는 전직 축구선수 홍대(박서준)와 열정 없는 PD 소민(이지은)이 집 없는 오합지졸 국대 선수들과 함께 불가능한 꿈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영화 '청년경찰', '사자'를 비롯해 폭발적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 그리고 첫 할리우드 진출작 '더 마블스'로 글로벌한 기대를 모으고 있는 배우 박서준이 '드림'의 쏘울리스 축구선수 홍대 역으로 새로운 인생 캐릭터 경신을 예고한다. 홍대는 선수 생활 사상 최악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계획도 의지도 없던 홈리스 풋볼 월드컵 감독으로 나서게 된 인물. 운동이라고는 한 번도 해본 적 없는 홈리스 선수들의 환장할 팀워크에 기가 막히지만, 재능기부로 나선 감독직을 그만둘 수도 없는 홍대를 연기한 박서준은 까칠한 듯 인간적이고, 한 성깔 하면서도 마음 여린 면모가 있는 캐릭터를 리듬감이 살아있는 연기로 그려낸다. 특히 이병헌 감독 특유의 말맛 나는 대사를 완벽하게 소화한 박서준은 알면 알수록 빠져드는 홍대의 매력을 한층 배가시켰으며, 프로 축구선수 역을 위해 전문 훈련 과정을 거친 것은 물론 근육량을 늘리며 체형에 변화를 주는 등 특별한 노력으로 캐릭터와의 싱크로율을 끌어올렸다. 또한 홈리스 풋볼 월드컵 출전기의 다큐를 제작하는 PD 소민을 연기한 이지은과 첫 호흡을 맞춘 박서준은 말로 치고 받으며 재미를 더하는 유쾌한 티키타카로 독보적 케미를 기대케 한다. 이지은은 "처음부터 끝까지 텐션을 유지하면서 파동 없이 촬영을 이어가는 모습에 대단한 집중력이 느껴졌고, 감독님의 어떤 디렉션도 유연하고 순발력 있게 받아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라고 박서준과 함께 호흡을 맞춘 소감을 전했으며, 이병헌 감독 또한 "박서준 배우의 캐스팅과 동시에 영화가 완성된 느낌이 들었다. 함께 작업하면서 굉장히 센스 있고 좋은 배우라고 느꼈다"라고 전해 기대감을 높인다. '드림'을 통해 이제껏 보여준 적 없는 새로운 얼굴을 예고한 박서준은 올봄 극장가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것이다. 이병헌 감독과 박서준, 이지은을 비롯해 캐릭터와 완벽한 싱크로율의 국대급 배우들의 조합이 더해진 영화 '드림'은 오는 4월 26일 개봉을 확정하며 올 봄 극장가 최고 기대작으로 주목받고 있다.  
    • 문화
    • 영화
    2023-03-20
  • 영화 '킬링 로맨스', 4월 멀티 장르 버라이어티 무비 끝판왕 예고!
    킬링 로맨스 [동국일보] 4월 14일(금) 남다른 텐션과 감각으로 관객들에게 새로운 영화적 경험을 제공할 영화 <킬링 로맨스>가 남다른 포스의 티저 포스터를 공개한다.  영화 <킬링 로맨스>는 섬나라 재벌 ‘조나단’(이선균)과 운명적 사랑에 빠져 돌연 은퇴를 선언한 톱스타 ‘여래’(이하늬)가 팬클럽 3기 출신 사수생 ‘범우’(공명)를 만나 기상천외한 컴백 작전을 모의하게 되는 이야기. 4월의 화제작 <킬링 로맨스> 가 티저 포스터를 전격 공개했다. 붉은 드레스를 입은 ‘여래’(이하늬)와 초상화 배경으로 표현된 ‘조나단 나’(이선균)의 모습이 강렬한 대비를 이룬다. 한 마리의 길 잃은 백조처럼 고고하게 앉아 있는 여래의 모습은 은퇴 후 점점 자아를 잃어가는 톱스타를 상징한다. 콸라섬의 재벌 조나단 나는 황금색 지구본을 무릎에 얹고 포즈를 취하며 글로벌한 사업가로서의 야망과 과장된 근육질의 몸을 과시하며 온화한 미소를 띠고 있어 눈길을 사로잡는다. 포스터에 직접 등장하지 않고도 너무나 큰 존재감을 드러내는 조나단 나의 초상화는 영화 속 조나단 나의 집 거실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그의 감당 안 되는 나르시시즘을 제대로 보여주며, 여래에 대한 소유욕을 짐작게 한다. 너무 큰 조나단 나와 너무 작은 여래의 이미지 대비는 두 사람의 무너진 관계를 상징하며 제목 그대로 로맨스 없는 <킬링 로맨스>의 남다른 재미를 표현했다. 여기에 “로맨스는 없다! JOHN NA 죽여주는 작전 개시!”라는 문구는 앞으로 여래가 펼칠 기상천외한 작전에 대한 기대감을 제공한다. 이처럼 티저 포스터만으로도 다채로운 색감과 비주얼로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영화를 예고하는 <킬링 로맨스>는 코믹, 로맨스, 서스펜스, 드라마를 다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영화. 극장에서 멀티 체험을 예고하는 영화 <킬링 로맨스>는 오는 4월 14일(금) 개봉한다.  
    • 문화
    • 영화
    2023-03-17
  • 영화 '샤잠! 신들의 분노', 동시기 외화 개봉작 박스오피스 1위 등극!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3/16(목) 오전 7시 30분 기준) [동국일보] 영화 '샤잠! 신들의 분노'가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기준 개봉 첫날 오프닝 13,262명 기록하며 금주 개봉작 외화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스즈메의 문단속', '더 퍼스트 슬램덩크' 등 쟁쟁한 외화들의 흥행 열기 속에 '샤잠! 신들의 분노'가 합류하며, 극장가에 외화 전성시대의 방점을 찍었다. 특히 '샤잠! 신들의 분노'는 개봉하자마자 관객들 사이에서 전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DC작품의 탄생이라는 평을 얻으며 관객들을 폭넓게 흡수하는 중이다. 다가오는 주말 극장가에서 가족 관객들 사이 선전을 펼칠 것으로 보여 더욱 큰 흥행이 기대된다. 한편 이번 작품은 업그레이드된 액션과 스케일을 담아내 "DC를 부활케 하는 유쾌함이 있는 영화"(CGV ral******), "디씨 붐은 올 것이다"(메가박스 daniel**), "1편보다 확실히 연출, CG, 완성도면에서 탁월하게 발전한 게 느껴짐"(네이버 star****), "스케일도 두 배로 커진 샤잠"(네이버 jooj****) 등의 쏟아지는 호평들과 함께 "빌런이 매력적이고 볼거리가 풍성하다"(메가박스 newmega**), "샤잠도 샤잠인데 그리스 신들이 장난 아님…"(CGV db*****), "그리스 신들 어떻게 나올지 궁금했는데… 능력 장난 아니구요…"(CGV 레**) 등 역대급 빌런의 탄생을 보여준 분노한 신들, 헤스페라와 칼립소에 대한 호평들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유쾌하게 본 히어로 영화다"(CGV ga*****), "DC만의 감성이 좋았네요"(CGV ga******),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샤-잠!"(CGV ny****), "완전 중꺾샤 재질임"(CGV th*******) 등의 호평들도 이어지고 있어 올봄 극장가는 샤잠만의 유쾌함과 통쾌함으로 충전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샤잠! 신들의 분노'는 문제아로 취급받던 신의 능력을 가진 슈퍼히어로들이 빼앗긴 힘을 되찾으려는 신들과 세상의 운명을 건 위험한 대결을 펼치는 액션블록버스터. 폭발적인 호평들로 개봉 첫날 동시기 개봉작 외화 박스오피스 1위를 등극한 영화 '샤잠! 신들의 분노'는 절찬 상영 중이다.  
    • 문화
    • 영화
    2023-03-16
  • 영화 '킬링 로맨스', 죽여주는 텐션의 영화 탄생 예고…공식 보도스틸 공개!
    킬링 로맨스 [감독: 이원석 | 배급: 롯데엔터테인먼트 | 출연 | 이하늬, 이선균, 공명 등] [동국일보] 지금까지 보지 못한 색다른 텐션의 영화 '킬링 로맨스'가 오는 4월 14일(금) 개봉을 확정 짓고 공식 보도스틸을 공개한다. 영화 '킬링 로맨스'는 섬나라 재벌 '조나단'(이선균)과 운명적 사랑에 빠져 돌연 은퇴를 선언한 톱스타 '여래'(이하늬)가 팬클럽 3기 출신 사수생 '범우'(공명)를 만나 기상천외한 컴백 작전을 모의하게 되는 이야기. 오는 4월 14일(금)에 개봉을 확정한 영화 '킬링 로맨스'는 제목처럼 로맨스의 기운은 싹 걷어내고 웃음과 텐션이 넘치는 영화를 선보인다. 공개된 보도스틸에서는 지금까지 본 적 없는 이하늬, 이선균, 공명의 비주얼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늬가 맡은 '여래' 역은 톱스타로 인기를 구가하던 중 발연기로 인해 국민 조롱거리로 전락하면서 은퇴를 결심하는 인물. 이선균이 분한 '조나단'은 사람들의 눈길을 피해 남태평양 '콸라'섬으로 입국한 여래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재벌이다. 디즈니 공주를 방불케 하는 이하늬의 화려한 비주얼과 아랍왕자 뺨도 너끈히 쳐버리는 이선균의 카리스마 있는 비주얼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이들과 더불어 톱스타 여래의 3기 팬클럽 회원이자 S대만 고집하는 가풍에 못 이겨 고독한 입시 전쟁을 치르는 중인 사수생 '범우' 역은 공명이 맡았다. '극한직업'에서 마약반 선후배로 호흡을 맞췄던 이하늬, 공명이 '킬링 로맨스'에서 배우와 찐팬으로 남다른 호흡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선균 역시 드라마 [파스타]에서 이하늬와 호연했던 바, 13년 만에 다시 만난 두 사람의 케미스트리가 기대 된다. 한편 영화 '킬링 로맨스'는 지금까지 보지 못한 신선한 작품으로 버라이어티한 시공간 판타지와 신선하고 기발한 각본과 연출이 돋보이는 영화로 '남자사용설명서'의 이원석 감독과 '뷰티 인사이드'의 박정예 작가가 손을 잡았다. '킬링 로맨스'는 오는 4월 14일(금) 개봉한다.  
    • 문화
    • 영화
    2023-03-15
  • 영화 '드림', 박서준X이지은X이병헌 감독의 첫 만남…4월 26일 개봉 확정!
    영화 '드림' 포스터 [동국일보] 신선한 소재와 유쾌한 재미로 남녀노소 관객을 사로잡은 이병헌 감독의 4년 만의 신작이자 박서준, 이지은의 첫 만남으로 기대를 모으는 영화 '드림'이 오는 4월 26일 개봉을 확정 짓고, 런칭 포스터와 드림팀 명단 발표 영상을 공개했다. '드림'은 개념 없는 전직 축구선수 '홍대'(박서준)와 열정 없는 PD '소민'(이지은)이 집 없는 오합지졸 국대 선수들과 함께 불가능한 꿈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1,626만 관객을 사로잡은 영화 '극한직업'에 이어 뜨거운 팬덤을 형성했던 드라마 [멜로가 체질]까지 특유의 찰진 대사와 매력 넘치는 캐릭터, 공감대를 자극하는 스토리로 호평 받은 이병헌 감독이 '드림'으로 4년 만에 스크린에 돌아온다. 2010년 대한민국이 첫 출전했던 홈리스 월드컵 실화를 모티브로 새롭게 창작된 영화 '드림'은 매 출연작에서 인생 캐릭터를 보여주고 있는 대세 배우 박서준, 이지은의 첫 만남으로 뜨거운 기대를 모은다. 여기에 김종수, 고창석, 정승길, 이현우, 양현민, 홍완표, 허준석에 이르기까지 탄탄한 연기력을 갖춘 배우들이 합세해 완벽한 드림팀을 완성했다. 4월 26일 개봉 확정과 함께 공개된 '드림'의 런칭 포스터는 싱그러운 초록의 그라운드 위로 경기 시작을 앞두고 축구공을 중심으로 선수들이 발을 맞대고 있는 비주얼로 경쾌한 에너지를 발산하며 영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환장의 케미스트리가 온다! 드림팀 명단 발표 영상 공개! 포스터와 함께 공개된 드림팀 명단 발표 영상은 2023년 가장 유쾌한 케미스트리를 선보일 캐릭터 군단을 예고하며 기대감을 고조시킨다. 개념 없는 감독 '홍대' 역의 박서준과 열정 없는 PD '소민' 역의 이지은은 관객의 공감대를 자극할 현실감 넘치는 캐릭터로 변신, 모두가 기다려온 꿈의 조합이 발산하는 신선한 에너지로 극장가를 뜨겁게 달굴 것이다. 여기에 올드보이 '환동' 역의 김종수, 핵궁뎅이 '효봉' 역의 고창석, 반칙왕 '범수' 역의 정승길, 한국산 호랑이 '인선' 역의 이현우, 앵그리 키퍼 '문수' 역의 양현민, 밀림의 왕 '영진' 역의 홍완표, 긍정파워 사무국장 '인국' 역의 허준석까지 개성 넘치는 배우들의 라인업으로 완성된 드림팀은 한 치 앞을 예측할 수 없는 활약을 펼치며 대체 불가한 시너지를 발산할 예정이다. 이렇듯 런칭 포스터와 드림팀 명단 발표 영상을 공개하며 올해 가장 매력 넘치는 캐릭터들의 케미를 예고한 '드림'은 꿈을 향한 특별한 도전을 담은 이야기로 전 세대 관객들을 사로잡을 것이다. 이병헌 감독과 박서준, 이지은을 비롯해 캐릭터와 완벽한 싱크로율의 국대급 배우들의 조합이 더해진 영화 '드림'은 오는 4월 26일 개봉을 확정하며 올 봄 극장가 최고 기대작으로 주목받고 있다.  
    • 문화
    • 영화
    2023-03-15
  • '더 퍼스트 슬램덩크', 누적 400만 관객 돌파…'슬램덩크 페스티벌' 개최 확정!
    더 퍼스트 슬램덩크 [동국일보] 지난 1월 4일 개봉 이후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구며 역대 일본 영화 국내 흥행 기록을 차례로 갈아치워 온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3월 12일(일) 박스오피스 기준 누적 4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지난 3월 5일(일) 개봉 61일 만에 380만 관객을 넘으며 역대 일본 영화 국내 흥행 1위에 오른 데 이어 400만 돌파까지 전무후무한 흥행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는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국내 관객들의 뜨거운 사랑에 보답하고자 '슬램덩크 페스티벌'을 개최할 예정이다. '슬램덩크 페스티벌'은 4월 초 일본 성우의 내한 행사부터 주제가 '제Zero감'을 부른 가수 10-FEET의 내한 라이브 이벤트까지 풍성한 콘텐츠로 관객들을 찾으며 팬들에게 그야말로 축제 같은 한 주를 선사할 전망. '슬친자'들의 마음을 설레게 할 '슬램덩크 페스티벌'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과 참여 방법은 추후 공식 SNS 등을 통해 공지될 예정이다. 전국 제패를 꿈꾸는 북산고 농구부 5인방의 꿈과 열정, 멈추지 않는 도전을 그린 영화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전국 극장에서 절찬 상영 중이다.  
    • 문화
    • 영화
    2023-03-14
  • 영탁, 더현대 서울 특별 팝업스토어 성료…1만5천명 방문, 9억원 매출 기록!
    자료제공-밀라그로 [동국일보] 가수 영탁의 오프라인 팝업스토어가 성료했다. 지난 2월 25일부터 3월 9일까지 여의도에 위치한 '더 현대 서울' 지하 1층 대행사장에서 진행된 영탁의 오프라인 팝업스토어 'YOUNGTAK POP-UP STORE 'TAKs STUDIO(이하 '탁스 스튜디오')'가 성료했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솔로가수로서는 최대 규모로 개최된 오프라인 팝업스토어로, '영탁의 취미 생활 공간'이라는 주제를 모티브로 영탁의 작업 공간에 팬들을 초대한다는 컨셉으로 기획되었다. 영탁이 직접 만들고 조립한 피규어, 직접 DIY한 의류 등을 전시하고, 지금까지 무대에서 선보였던 의상과 활동사진들로 공간을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볼거리들로 팬들의 호응을 얻었다. 특히, 탁스 스튜디오는 '오픈런'을 위해 전국 각지의 팬들이 모여들었으며, 폭발적인 인기로 많은 인파가 몰려 하루 입장 인원 제한을 둘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 'YOUNGTAK POP-UP STORE 'TAKs STUDIO'는 오픈 기간 동안 약 1만 5000명의 관객을 동원, 약 9억원의 총매출을 기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한편, 영탁은 방영 예정인 JTBC 드라마 '힘쎈여자 강남순'을 촬영하고 있으며 배우로서 어떤 모습을 선보이게 될지 팬들의 기대감이 모이고 있다.  
    • 문화
    • 공연
    2023-03-10
  • 윤하, 4월 8일 데뷔 첫 日 팬미팅 개최…해외서도 뜨거운 인기!
    [사진 = C9엔터테인먼트 제공] [동국일보] 가수 윤하가 데뷔 첫 일본 팬미팅을 개최한다. 10일 소속사 C9엔터테인먼트는 "윤하가 오는 4월 8일 일본 FC LIVE TOKYO에서 '2023 YOUNHA Y.HOLICS FANMEETING in JAPAN(2023 윤하 홀릭스 팬미팅 인 재팬)'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3 윤하 홀릭스 팬미팅 인 재팬'은 윤하가 데뷔 후 처음으로 개최하는 일본 팬미팅이다. 2004년 일본에서 먼저 데뷔해 음악 활동을 시작한 윤하는 이번 팬미팅을 통해 현지 팬들과 보다 특별하고 소중한 추억을 쌓을 예정이다. 팬미팅에 앞서 지난달에는 윤하 재팬 공식 팬클럽 'Y.홀릭스 재팬'도 모집해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지난 9일 시작된 팬미팅의 팬클럽 선예매는 오는 19일까지 이어지며, 일반 예매는 25일 오전 10시부터 일본 온라인 티켓 예매 사이트 ePlus를 통해 진행된다. 일본 데뷔 19년 만의 첫 팬미팅인 만큼 치열한 티켓 전쟁이 예상된다. '사건의 지평선'을 통해 역주행 신화를 이어가고 있는 윤하는 최근 '제20회 한국대중음악상' 시상식에서 올해의 노래, 최우수 팝을 수상하며 2관왕을 달성했다. 오는 11일과 12일에는 서울 올림픽공원 SK핸드볼경기장에서 '2023 윤하 앵콜 콘서트 〈c/2023YH〉'를 열고 팬들과 만난다. 한편 '2023 윤하 홀릭스 팬미팅 인 재팬'은 오는 4월 8일 오후 2시와 7시 일본 FC LIVE TOKYO에서 펼쳐진다.  
    • 문화
    • 공연
    2023-03-10
  • '국민가수' 출신 하동연, 뮤지컬 '종의 기원' 성료!…"좋은 분들과 함께해 영광"
    [사진 = (주)뷰티풀웨이 제공] [동국일보] 가수 하동연이 첫 뮤지컬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하동연은 지난 5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대학로 드림아트센터에서 열린 뮤지컬 '종의 기원' 마지막 공연을 끝으로 약 2개월간의 여정을 마무리했다. 지난해 12월 개막한 '종의 기원'은 '7년의 밤', '28', '내 심장을 쏴라' 등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집필한 작가 정유정의 소설 '종의 기원'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하동연은 지난 1월부터 사이코패스 중에서도 최상위급인 포식자, 프레데터 한유진의 유일한 친구이자 의형제인 김해진 역을 맡아 무대에 올랐다. 특히 하동연은 데뷔 이후 처음으로 뮤지컬에 도전, 마음이 따뜻한 영화감독 지망생의 모습을 동시에 연기하며 섬세한 감정 연기를 펼쳐 호평받았다. 하동연은 소속사를 통해 "너무 좋은 선배님과 동료 그리고 스태프분들과 함께하게 되어서 영광이었고 많이 배웠다. 앞으로도 좋은 모습 보여드리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하동연은 현재 TV CHOSUN '국가가 부른다'에 출연하며 완성도 높은 라이브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앞으로도 음악, 방송,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를 오가며 활약을 이어갈 예정이다.  
    • 문화
    • 공연
    2023-03-07
  • 영화 '샤잠! 신들의 분노', 14일 CGV용산아이파크몰서 언론&배급 시사회 개최
    영화 '샤잠! 신들의 분노' 포스터 [동국일보] 2023년 DC코믹스 첫 슈퍼액션블록버스터 '샤잠! 신들의 분노'(수입/배급: 워너브러더스코리아(주))가 3월 14일(화)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언론&배급 시사회를 개최한다. 영화 '샤잠! 신들의 분노'는 문제아로 취급받던 신의 능력을 가진 슈퍼히어로들이 빼앗긴 힘을 되찾으려는 신들과 세상의 운명을 건 위험한 대결을 펼치는 액션블록버스터다. 분노한 신들과의 대결을 통해 전편보다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액션과 스케일을 예고한 것뿐만 아니라 마침내 슈퍼히어로 힘의 진실도 확인해 볼 수 있어 확장된 샤잠 유니버스도 예고하고 있다. '애나벨: 인형의 주인'으로 연출력을 인정받았던 데이비드 F. 샌드버그 감독이 전편에 이어 이번 작품도 연출을 맡았으며, 샤잠 역의 제커리 리바이부터 빌리 뱃슨 역의 애셔 앤젤, 프레디 프리먼 역의 잭 딜런 그레이저 등이 출연을 예고한 바 진정한 슈퍼히어로의 모습들을 보여줄 것이다. 특히 할리우드 명배우 헬렌 미렌과 루시 리우가 새로운 빌런으로 등장을 예고했으며, 라이징 스타 레이첼 지글러는 힘을 감춘 전학생 앤시아 역으로 합류해 올봄 극장가를 샤잠만의 유쾌함과 통쾌함으로 충전시킬 것이다.  
    • 문화
    • 영화
    2023-03-07
  • 위아이, 4월 두 번째 월드투어 개최 확정!…청춘돌의 핫한 글로벌 행보 '기대 UP'
    [사진 = 위엔터테인먼트 제공] [동국일보] 위아이(WEi)가 두 번째 월드투어에 나선다. 위아이는 오는 4월 두 번째 월드투어 'WEi 2ND WORLD TOUR '을 통해 글로벌 팬들과 만난다. 월드투어 개최 소식과 함께 게재된 공연 포스터는 보랏빛 밤하늘을 수놓은 별빛과 생동감이 물씬 느껴지는 모션 그래픽으로 글로벌 팬들의 시선을 사로잡았고, 'WEi 2ND WORLD TOUR ' 공연명 또한 한층 다채로워진 재미와 업그레이드된 무대 퀄리티로 채워질 월드투어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지난해 9월부터 10월까지 이어진 데뷔 첫 월드투어 'FIRST LOVE : WEi WORLD TOUR'를 성료한 위아이는 또 한번 전 세계 팬들과 만나 위아이만의 감성으로 무장한 음악과 퍼포먼스로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또 변함없는 사랑과 응원을 보내준 루아이(공식 팬덤명)와 한층 깊게 소통하며 솔직한 매력을 가감 없이 보여줄 계획이다. 위아이는 지난해 10월 'Love Pt.2 : Passion'을 발매하고 치명적인 매력의 타이틀곡 'Spray(스프레이)'를 통해 음악적 성장을 증명해 내는 동시에 절제된 섹시미의 정석을 보여줬다. 또 데뷔 첫 단독 콘서트와 월드투어, 해외 단독 라이브∙팬미팅 등을 연달아 성료하며 팬들과 활발한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를 배경으로 열일 행보를 이어온 위아이인 만큼 두 번째 월드투어를 통해 한층 빛을 발할 '글로벌돌' 활약에 팬들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위아이의 두 번째 월드투어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추후 공식 SN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문화
    • 공연
    2023-02-28
  • 영화 '가로수길 이봄씨어터', 세계 영화제 출품위한 기술 시사회 진행!
    (왼쪽부터) 이수성 감독 , 배우 한예원, 박근형, 김승민, 최상아, 한류 명품브랜드 최야성의 최야성 회장 [동국일보] 지난 24일 강남 이봄씨어터 극장에서 세계 영화제에 출품할 영화 ‘가로수길 이봄씨어터’가 해외 영화제 출품용 영어 자막 버전으로 내부 기술 시사회를 가졌다. ‘가로수길 이봄씨어터’는 실제 강남 가로수길에 있는 이봄씨어터 라는 극장에서 벌어지는 대한민국 영화인들의 신랄한 현재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보여주는 영화로 기술 시사회에 참석한 배우들 및 영화 관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기술 시사회에는 주연 배우 최상아, 김승민 과 배우 박근형, 한예원 등이 참석했으며 다수의 세계 영화제에 출품한 후 금년 하반기에 개봉할 예정이다. 이 영화는 이미 제작자인 한류 명품브랜드 최야성의 최야성 회장이 제8회 대한민국을 빛낸 2022 자랑스러운 인물대상 시상식에서 언 40년간 영화발전 분야에 헌신적인 노력이 인정되어 ‘올해의 영화 제작 대상’, 제3회 K-연예스타 나눔봉사공헌대상 시상식에서 ‘올해의 영화 제작 대상’을 수상했다. 여자 주인공(윤희 역) 배우 최상아는 SBS 어게인마이라이프, SBS 우리는 오늘부터 등에 출연했고 동국대학교 연극학부 재학중이며 2022년 대한민국 예술문화 스타대상 예술문화 신인연기상, 2021년 국가 최우수 지역발전 대상 최우수 신인여배우 대상 등을 수상했고 최근 코즈볼 화장품 TV CF 계약 하는 등 장래가 촉망 받는 배우이다. 남자 주인공 이감독 역을 맡은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를 졸업한 배우 김승민은 대학로에서 10여 년간 배우 ,연출, 작가로 활동하다 영화 시나리오 작가, 영화배우로 그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는 예술인이다. 최야성 회장은 만 19세부터 극장개봉작 메가폰을 잡아온 세계 최연소 영화감독 출신의 전설적인 멀티예술가로 한류 명품브랜드를 창조한 공로를 꾸준히 인정받아 2022 한국을 빛낸 사회발전대상 ‘명품브랜드 대상’, 2022 대한민국파워리더대상 ‘명품브랜드 대상’ 등 다수의 각종 시상식에서 명품브랜드 대상 수상한 독보적인 브랜드로 수 만수에서 수십 만수의 금박 은박 용을 수놓아 각도에 따라 다른 빛을 띠는 오묘한 조화가 특징으로 걸그룹 버스터즈 , 015B 장호일, 한국 최초 사이버 여가수 류시아 등 천 여명의 유명 연예인들에게 협찬도 했다. 또한 최회장은 1991년 설립되어 30년간 전통을 이어오며 대통령 선거 때 마다 후보 경호해 왔고 이번 대선에서도 대통령 후보 경호한 대한경호협회(대한민국 경호협회, 회장 이건찬) 단독 부회장, 더불어 2003년 전 세계 주요 경호협회가 연합하여 창립한 세계경호연맹(W.G.F)의 부회장, 그리고 세계탐정연맹(W.D.F) 부회장으로 동시에 추대되어 활동 중으로 제19대 국회의원 공천 심사위원 등 수십여 차례 각종 미인대회 심사위원을 엮임 했다. ‘제3회 대한민국을 빛낸13인 수훈 대상’ 영화감독상, ‘2021 k-연예스타 나눔봉사공헌대상’ 올해의 영화감독상 등을 수상했고 이십여 편의 극장개봉작을 제작 감독한 이수성 감독은 시나리오 작가 겸 배우인 김승민 과는 이미 여러 편 호흡을 맞춰왔고 최상아 배우를 여주인공으로 낙점한 이유에 대해서 차분한 연기와 매력이 넘치고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 되는 배우라고 답했다. 배우 윤준호, 송윤하, 강병수, 김솔민, 최원준, 윤찬일, 박찬호, 리송, 다수, 박태준, 김범석, 이영노, 권혁준, 제이김, 조영화, 이나빈, 백근비, 김세연도 출연했다. 이어서 현재 캐스팅 중인 ‘2023시라소니’ 는 하드보일드 터치 리얼액션과 극중 다양한 청춘 캐릭터들의 심리묘사에도 비중을 두는 영화로 고등학교 일진들의 우정과 사랑 폭력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영화이다. 극중 일진 캐릭터 들의 별명이 시라소니, 김두한, 신마적, 구마적, 하야시 등 다양한 인간 군상들이 주연급으로 등장한다 한류 명품브랜드 최야성의 ㈜베베비앙 최야성 회장과 이봄씨어터 극장 ㈜리필름 대표 이수성 영화감독이 공동 제작한 옴니버스 영화 ‘가로수길 이봄씨어터’와 이어서 제작하는 청춘 리얼액션 영화 ‘2023시라소니’도 함께 기대해본다.  
    • 문화
    • 영화
    2023-02-27
  • 영화 '대외비', 3월 1일(수), 4일(토), 5일(일) 무대인사 확정!
    영화 '대외비' [동국일보] "러닝타임 내내 뒤통수를 얼얼하게 하는 반전의 연속!", "연기 미쳤다!" 등 언론의 호평 릴레이를 이끌며 3월 극장가의 흥행을 견인할 화제의 범죄드라마 '대외비' 가 3월 1일(수), 4일(토), 5일(일) 서울 및 경기 지역 무대인사를 확정했다. [제공/배급: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감독: 이원태 | 출연: 조진웅, 이성민, 김무열] 1992년 부산, 만년 국회의원 후보 해웅과 정치판의 숨은 실세 순태, 행동파 조폭 필도가 대한민국을 뒤흔들 비밀 문서를 손에 쥐고 판을 뒤집기 위한 치열한 쟁탈전을 벌이는 범죄드라마 '대외비'가 3월 1일(수), 4일(토), 5일(일) 개봉일과 개봉주 주말 무대인사로 관객들을 찾아갈 예정이다. 이번 무대인사에는 조진웅, 이성민, 김무열, 원현준, 김민재 배우부터 이원태 감독까지 '대외비'의 주역들이 극장을 찾아 관객들에게 직접 인사를 전할 예정이다. 먼저 3월 1일(수)에는 조진웅, 원현준 배우와 이원태 감독이 메가박스 코엑스를 시작으로 롯데시네마 월드타워, 메가박스 성수, CGV 왕십리,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관객을 만날 예정이다. 이어, 4일(토)에는 조진웅, 이성민, 원현준, 김민재 배우와 이원태 감독이 롯데시네마 수원, CGV 수원, 메가박스 영통, CGV 오리, CGV 판교를 차례대로 찾아가 관객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5일(일)에는 조진웅, 김무열, 원현준, 김민재 배우와 이원태 감독이 메가박스 더부티크 목동현대, CGV 영등포, 롯데시네마 영등포, 롯데시네마 홍대입구를 찾을 예정이며, 연이어 찾는 CGV 홍대와 메가박스 홍대 무대인사에는 조진웅, 원현준, 김민재 배우와 이원태 감독이 참석해 관객들에게 잊지 못할 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오는 3월 뒤집고 뒤집히는 예측불허의 재미를 선사할 영화 '대외비'의 무대인사는 극장별 홈페이지 및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예매할 수 있다. 극장을 찾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팬서비스를 선사하며 잊지 못할 특별한 시간을 선사할 범죄드라마 '대외비' 는 3월 1일 극장에서 개봉한다.  
    • 문화
    • 영화
    2023-02-24

생활 검색결과

  • ‘옛날엔 뭐 하고 놀았지?’...전통놀이 무료 체험장 6곳
    [동국일보] 날도 따뜻한데 아이들과 친구들과 어디로 봄 나들이를 갈까 고민이시죠? 아이들에겐 새로운 경험을,어른들에겐 추억의 여행으로 갈 수 있는 ‘우리놀이터’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 우리놀이터란? 공공이용시설 내의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전통놀이를 가족과 친구들이 함께 즐길 수 있게 만든 문화공간으로. 현대적인 디자인+디지털 기술이 합쳐져 색다른 방식으로 전통놀이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 우리놀이터는 어디에 있을까? 우리놀이터와 함께 즐거운 봄 나들이를 즐기세요!
    • 생활
    2023-03-22
  • 문화체육관광부, ‘슬램덩크’ 등장인물의 이름이 송태섭, 정대만,서태웅, 강백호였던 이유?
    [동국일보] 일본 애니메이션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국내 누적관객 400만 명을 넘어서며 그 인기가 뜨겁습니다. 원작 만화 '슬램덩크'가 국내에서 연재를 시작했던 건 1992년. 당시 인명과 지명은 모두 우리말로 번역되어야만 했습니다. 지금은 쉽게 즐길 수 있는 일본 대중음악과 영화 등은 불과 25년 전만해도 음지에서나 접할 수 있었는데요. 그 이유를 알고 계신가요? “일본 대중문화 개방에 두려움 없이 임하라” 1990년대까지 국내에서 일본 대중문화 개방의 문은 쉽게 열리지 않았는데요. 1998년 4월, 김대중 대통령은 문화관광부 업무보고 자리에서 개방에 대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우려 속 개방, 우리 문화의 경쟁력을 높이는 기회로 일본 대중문화 개방은 1998년 ‘영화제 수상 영화 개방’을 시작으로 2004년 ‘음반·게임 전면 개방’에 이르기까지 4차에 걸쳐 단계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당시 ‘왜색(倭色) 문화가 한국에 퍼질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양국의 대중문화 개방은 일본 내 한국 대중문화의 인기가 폭발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K-드라마’, ‘K-POP’의 잇단 성공, 한국문화콘텐츠 일본 수출 본격화 2003년 KBS 드라마 '겨울연가'가 일본 NHK에서 재방송 되면서 ‘욘사마’ 붐이 일어났고, '가을동화', '대장금' 등이 잇달아 인기를 얻었습니다. 이어 가수 보아의 데뷔앨범이 일본 오리콘차트 1위에 오르고, 그룹 동방신기, 카라 진출까지 성공하면서 ‘한류’라는 뜨거운 열풍은 일본을 휩쓸며 전 세계로 뻗어나갈 추진력을 얻었죠. 일본 대중문화 개방 후 25년이 흐른 지금, 일본은 K-콘텐츠 수출시장의 15.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방탄소년단(BTS), 엔시티(NCT), 스트레이 키즈, 르세라핌, 뉴진스 등 K-POP 그룹들은 여전히 일본에서 사랑받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자유와 연대에 기반한 미래세대의 한일문화교류를 더욱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 생활
    2023-03-22
  • 해양경찰청, 차세대 수상레저 종합정보시스템 정식 서비스 실시!
    해양경찰청[동국일보] 수상 레저에 관한 검사 및 등록부터 면허 취득까지 모든 민원을 한 번에 해결하는 차세대 수상레저종합정보시스템을 새롭게 공개합니다! 해양경찰은 모터보트, 요트, 수상오토바이, 세일링 요트 등 수상레저기구 등록 부터 면허 취득에 필요한 행정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상레저종합정보시스템을 새롭게 개편했습니다. 새롭게 개편한 차세대 수상레저종합정보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4가지 변화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 동력수상레저기구 검사부터 등록까지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언제, 어디서나 방문 없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기존' 기관 방문하여 동력수상레저기구 안전검사 및 등록을 해야 하는 번거러움 발생! '현재' 수상레저종합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온라인 서비스 이용가능! 2. 간편 로그인 서비스를 도입합니다! ▶ 가입할 필요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 홈페이지 이용시 PASS, 카카오, 네이버를 통해 간편하게 접속하여 이용 가능 · 다양한 정부 사이트를 하나의 아이디로 로그인할 수 있는 디지털 원패스를 도입 3. 전자 고지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안내합니다! ▶ 문자메시지나 카카오톡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됐습니다. 동력수상레저기구 안전검사 기간을 확인하지 못하여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검사 기간을 사전에 안내 해주는 전자고지 형식의 서비스 제공 4. 전자문서의 보안이 강화됩니다! ▶ 언제 어디서나 증명서에 대한 보안 걱정 하지 마세요. · 차세대 수상레저종합정보시스템에는 온라인으로 발급한 전자문서에 보안강화 - 원본 검증 - 위·변조 방지
    • 생활
    2023-03-20
  • 질병관리청, 오늘부터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동국일보] 대중교통과 대형시설 내 개방형 약국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가 권고로 전환됩니다. 출퇴근 등 혼잡한 시간대에는 착용을 권고하며, 안전한 일상회복을 위해 상황에 따라 자율적인 방역수칙 실천을 당부드립니다. '마스크 착용 의무 주요 조정 경과' ㆍ [2020년 10월] 다중이용시설 중심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 도입 - 유흥주점 등 12종의 다중이용시설, 대중교통, 집회·시위장, 의료기관, 요양시설·주야간보호시설 마스크 착용 의무화 ㆍ [2021년 4월] 실내 전체와 일부 실외로 마스크 착용 의무 확대 -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와 상관없이 실내 전체 및 실외에서 2m 이상 거리 유지가 되지 않는 경우로 확대 ㆍ [2022년 5월] 일부 상황을 제외한 실외 마스크 착용의무 완화 -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는 권고로 전환하되, 50인 이상이 참석하는 실외집회·공연 및 스포츠 경기 관람은 착용 의무 유지 ㆍ [2022년 9월] 실외 마스크 착용 전면 권고 전환 -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를 모두 해제하고 전면 권고로 전환 ㆍ [2023년 1월 30일] 일부 시설 외 실내 마스크 착용 권고로 전환 -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는 권고로 전환하되, 감염취약시설 중 입소형 시설, 의료기관·약국 및 대중교통수단은 착용 의무 유지 ㆍ [2023년 3월 20일] 일부 의무시설 내 마스크 착용 의무 추가 조정 - 대중교통·대형시설 내 개방형 약국에서의 착용 의무 해제 감염취약시설과 의료기관 및 약국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가 유지됩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유지 시설' ㆍ 감염취약시설 중 입소형 시설 - 요양병원, 장기요양기관, 정신건강증진시설, 장애인복지시설 ㆍ 의료기관 ㆍ 약국 *대형시설 내 개방형 약국은 의무 해제 고위험군 보호 등을 위해 이런 경우에는 마스크를 착용해 주세요! '마스크 착용 적극 권고 상황' 1.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거나,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하는 경우   *(코로나19 의심 증상) 인후통, 기침, 코막힘 또는 콧물, 발열 등 2. 코로나19 고위험군이거나, 코로나19 고위험군과 접촉하는 경우   *(코로나19 고위험군) 60세 이상 연령층, 면역저하자, 기저질환자 등 3. 최근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했던 경우(접촉일로부터 2주간 착용 권고) 4. 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밀집·밀접) 실내 환경에 있는 경우 5. 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합창·대화 등 비말 생성행위가 많은 경우 ※ 권고사항이므로 마스크 미착용시 과태료는 부과되지 않음 서로를 보호하는 배려의 마음이 생활방역으로 이어져 대부분 시설에서의 착용 의무가 권고로 전환됐고, 우리는 일상으로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안전한 일상회복을 위해 상황에 따라 자율적인 방역수칙 실천을 당부드립니다.
    • 생활
    2023-03-20
  • 교육부, 초등학생·학부모를 위한 교육누리집 모음
    교육부[동국일보] 초등학생 아이들도 학부모님도 교육누리집 꼼꼼하게 확인하고 다양한 정보 얻어 가세요! 1. 꿈이 있는 아이들이라면 ‘주니어커리어넷’ 확인하세요! 교육부에서 지원하는 진로진학 정보를 제공하는 누리집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진로 정보와 진로흥미탐색 서비스를 통해 개인 맞춤형 직업정보를 볼 수 있어요! ☞ 바로가기 2. 우리 아이 창의력을 쑥쑥~ ‘크레존’ 초등학생을 위한 다양한 창의체험활동 정보와 창의인성교육 전문 자료를 제공하고 AI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학생, 학부모 등을 위한 맞춤형 콘텐츠를 볼 수 있어요! ☞ 바로가기 3. 교육비 지원 신청, ‘교육비 원클릭 신청 시스템’에서 하세요! 시·도 교육청별 교육급여 및 교육비 지원기준이 안내되어 있어 거주 지역의 교육급여 지원 범위를 알 수 있고, 신청절차와 지원 제도에 관한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어요! ☞ 바로가기 4. 꿈을 이루는 학습공간 ‘e학습터’ 온라인(비대면] 수업과 학생이 관심 있는 분야의 다양한 학습자료를 받을 수 있고,자율학습 영상과 자율평가를 통해 스스로 학습도 가능해요.
    • 생활
    2023-03-20
  • 산림청, 산불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동국일보] 2023년 2월 1일부터 시작된 봄철 산불조심 기간!  산불은 조그만 불씨였다가도 바람, 습도 등 여러 요소들로 인해 큰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어떤 요소가 어떻게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더욱더 조심 또 조심해요! ① 바람 산불의 확산속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바람’으로 6m/s의 속도로 바람이 불면 무풍일 때와 비교하여 산불확산속도는 26배나 빨라집니다. ② 습도 공기 중 실효습도가 40% 이하로 떨어지면 낙엽의 수분 함유량이 10%정도로 낮아져요. 수분함유량이 15% 이하인 낙엽은 35%인 낙엽과 비교했을 때 발화율이 약 25배 높아집니다. ③ 수종 소나무는 활엽수와는 달리 겨울과 봄에도 가지에 잎이 붙어있어, 지표층(낙엽층)에서만 타던 산불이 나무 윗부분까지 옮겨 붙으면서 불똥이 날아가는 비화로 확산됩니다. · 낮은 수분량 · 송진에는 정유물질 함유 · 잎이 날카로워 잔불씨가 남아있기 쉬움 ④ 지형 경사가 급할수록 불이 빨리 확산되는데 30°정도의 급경사지에서는 평지보다 최대 4배 빠르게 산불이 확산될 수 있어요. · 경사도 30° 풍속 6m/s인 경우 1분에 15m확산 산불의 확산을 막기위해 초대형헬기와 고성능 진화차 등 첨단장비를 활용해서 산불 초동진화해 나가겠습니다! · 논·밭두렁 태우기와 같은 소각행위는 근절 · 산불 발생위험이 높은 시기엔 입산금지구역 출입자제 · 산불 발견 시에는 신속하게 신고 ☎ 산불신고 산림청 (042)481-4119
    • 생활
    2023-03-20
  • 문화체육관광부, 이야기할머니들의 배틀이 시작된다!
    문화체육관광부[동국일보] “이야기할머니, 이제 텔레비전 방송에서도 만나요!” 어린이집, 유치원 등 전국 유아교육기관에 방문해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이야기할머니’. 6070 이야기예술인들의 이야기 경연이 6월 중순부터 티브이엔 스토리(tvN STORY) 채널에서 새로운 예능 프로그램으로 방영됩니다. 경연을 통해 만들어진 이야기극은 ‘이야기 전국 순회공연’을 통해 전국 공연장에서 만나볼 수 있게 될 예정입니다. 새로운 예술 창작의 주역으로 자리 잡을 6070 세대의 활약을 기대해주세요! ‘6070 이야기예술인사업’(이야기할머니)이란? 여성어르신들이 유아교육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삶의 지혜가 담긴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사업 이야기 구연 배틀 예능, ‘tvN STORY’에서 6월부터 방송 이야기 배틀은 6070 이야기예술인(이야기할머니) 팀끼리의 경쟁을 통해 이야기극을 만드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현장오디션을 통해 본선 진출자 15명을 선발합니다. 본선에서는 배우, 가수 등 연예인 멘토의 도움을 받아 직접 이야기극을 기획·제작합니다. 이야기 구연 배틀 예능 참가방법 · 참가 대상 : 현재 활동 중이거나 활동 경험이 있는 4,000여 명의 이야기할머니 · 모집 기간 : 3월 15일(수)~4월 5일(수) · 지원 방법 : 지원서 및 자기소개 영상 온라인 제출 *자세한 사항은 이야기할머니사업단 누리집 또는 ‘tvN STORY’ 인스타그램 확인! 이야기극 전국 순회공연 및 ‘K-전통이야기'의 세계화 추진 올해 10월부터 전국 3개 내외의 주요 도시 공연장에서 이야기 배틀 방송을 통해 만들어진 이야기극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해외에서도 K-전통이야기를 즐길 수 있도록 6070 이야기예술인(이야기할머니)의 동화 구연을 외국어 자막 지원 영상으로 제작해 전 세계에 보급할 계획입니다. *세종학당 누리집, 이야기할머니사업단 유튜브 채널(9월)
    • 생활
    2023-03-20
  • 문화체육관광부 , 장애인의 일상, 이렇게 달라집니다
    문화체육관광부 [동국일보] 제6차 장애인정책 종합계획 차질 없이 이행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차별 없이 살아가는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를 실현하겠습니다.   장애인 개인예산제 도입 주거환경 개선, 보조기기 구입 등 장애인 개개인에 필요한 서비스를 한도 내에서 직접 고르는 제도로 2026년까지 도입합니다. [기존] 일괄 제공 방식이라 개인별로 이용하지 않는 서비스도 있었습니다.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제공 내년 6월부터는 최중증 발달장애인도 24시간 돌봄, 1:1 낮 활동 지원 등 돌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시설에서 이용을 거부해 보호자가 온전히 돌봄을 부담해야만 했습니다.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시범사업 도입 발달장애인 보호자의 병원입원, 경·조사 등으로 긴급 상황이 발생할 때 일주일 이내* 24시간 돌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유별 이용기간 상이 [기존] 일시돌봄 서비스가 부족했습니다. 현장중심 직업훈련 확대 취업하게 될 사업체에서 직접 훈련을 받으며 고객 응대 등 적응력을 높이는 등 실질적인 직무 교육을 받습니다. [기존] 실제 사업체가 아닌 곳에서 훈련을 받아 취업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장애인 접근성 개선 ① 동네 슈퍼마켓에도 휠체어가 다닐 수 있는 경사로가 생깁니다. [기존] 집에서 멀더라도 경사로가 있는 대형마트에 다녀야 했습니다.  장애인 접근성 개선 ② 휠체어·시각장애인도 이용하기 편한 무인 주문단말기(키오스크)가 늘어납니다. [기존] 단말기 조작부가 높거나 시각장애인은 이용하기 어려운 방식이었습니다. 차질 없이 이행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차별 없이 살아가는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를 실현하겠습니다.
    • 생활
    2023-03-17
  • 학교 안심글꼴 24종 무료로 이용하세요!
    학교 안심글꼴 24종 무료로 이용하세요![동국일보] “저작권 걱정 없이 수업하세요!” 교육부는 학교와 교육기관은 물론 일반국민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학교안심글꼴(폰트) 13서체(24종)을 신규 개발해 보급했습니다. 교육저작권지원센터 누리집을 통해 다운받아 사용하세요! ‘학교안심글꼴’이란? 학교에서 저작권 걱정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보급한 무료 글꼴입니다. 학교안심글꼴은 OFL폰트로서 개인, 일반 기업 등 이용 대상과 목적에 제한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리목적으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학교안심글꼴 설치 방법 ① 교육저작권지원센터 사이트 방문 ② 학교 안심폰트 다운로드 ③ 학교 안심폰트 전체 다운로드 선택 ④ 설치 '교육저작권지원센터에서 글꼴 저작권 점검 및 상담 지원도 받으세요!' 글꼴 저작권 점검 프로그램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글꼴을 점검하여 문제가 있는 경우 삭제하도록 안내해주는 프로그램 글꼴 저작권 점건 프로그램 이용법 ① 교육저작권지원센터 사이트 방문 ② 회원가입 및 로그인 ③ 글꼴 점검 프로그램 다운로드 ④ 교육부 행정전자 서명(EPKI)인증 ⑤ 폰트 파일 또는 문서 팡리 대상 정한 후 점검 ⑥ 점검 결과 반영 온라인 저작권 상담 '과거' 전화 상담만 제공 '현재' 전화 상담 외에도 온라인 상담 제공 교육기관 온라인 저작권 전문상담 절차 ① 전화, 온라인으로 상담 요청 ② 전화 상담/온라인 상담 게시판 ③ 상담    - 일반 상담 : 저작물 이용 등    - 분쟁 상담 : 저작권, 글꼴 분쟁 ④ 답변    - 일반 상담의 경우 : 저작권 전문가의 답변    - 분쟁 상담의 경우 : 전담 법률사무서 변호사의 답변
    • 생활
    2023-03-17
  • 사망자 재산·채무 조회를 한 번에…어디서?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동국일보] 사망자가 남긴 여러 재산과 채무를 한 번에 조회 신청할 수 있는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 이용해 보셨나요? 최근 4대 사회보험 보험료와 어선 보유내역 조회가 가능해져 더욱 편리해졌습니다. 사망자의 금융거래, 토지, 자동차, 세금, 연금 등 총 19종의 재산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지금 확인해 보세요! ◆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란? 사망자의 금융거래, 토지, 자동차, 세금, 연금 등 재산조회를 한 번에 통합 신청하는 서비스입니다. 일일이 모든 금융기관을 방문할 필요 없이 한 곳만 방문해서 신청하면 됩니다. *단, 사망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1년 이내 신청 가능 '확인 가능한 재산 정보 내역' · 금융거래 : 신청일 기준으로 사망자(피후견인) 명의 의 각종 예금, 보험계약, 예탁증권, 공제, 대출, 신용카드이용대금, 지급보증, 특수 채권, 대여금고 등 · 국세 : 국세 체납액 및 납부기한이 남아있는 미납세금, 환급금 · 연금 :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립학교교직원 연금, 군인연금, 근로복지공단 퇴직연금 가입유무 · 공제회 : 건설근로자공제회, 군인공제회, 대한지 방행정공제회, 과학기술인공제회, 한국 교직원공제회 가입유무 · 토지 : 개인별 토지 소유 현황 · 건축물 : 개인별 건축물 소유 현황 · 지방세 : 지방세 체납액 및 납부기한이 남아 있는 미납세금, 환급금 · 자동차 : 자동차 소유내역 · 4대 사회보험 : 4대 사회보험 보험료(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 체납액 및 미지급 환급금 내역 · 기타 : 근로복지공단 대지급금 채무, 어선 보유 내역 등 ◆ 신청자격 ㆍ 방문 신청 : 전국 시·구청, 읍·면·동 주민센터 ㆍ 온라인 신청 : 정부24 누리집 ◆ 신청대상 [상속인] ㆍ 제 1순위 상속인(자녀) 및 배우자 - 제1순위가 없는 경우, 제2순위 상속인(부모) 및 배우자 - 제1,2순위 및 배우자가 모두 없는 경우, 제3순위 상속인(형제, 자매) ㆍ 대습상속인, 실종선고자의 상속인, 상속재산관리인, 상속 원한 있는 자의 대리인 [후견인] ㆍ 법원에 의해 선임된 성년후견인 및 권한있는 한정후견인 ◆ 신청 시 제출 해야하는 서류(구비서류) - 사망자 재산조회 :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등 상속관계 증빙서류 - 피후견인 재산조회 : 신분증, 후견등기사항전부증명서 또는 성년(한정)후견개시심판문 및 확정증명원 - 사망자 등 재산조회 신청의 취소·변경 : 신분증, 사망자 등 재산조회 통합처리 신청 접수증 *신청 후 금융협회·국세청·연금공단·지자체 등에서 재산 조회를 한 다음, 해당 기관에서 전송된 문자, 이메일, 등의 안내에 따라 결과 확인 가능
    • 생활
    2023-03-16
  • 국토교통부, 우리집 관리비 문제 없나요?
    국토교통부[동국일보] 국토교통부는 공정거래위원회,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유지보수공사·용역 입찰담합 등 관리비 투명화를 위한 공동주택 정기 합동점검을 실시합니다. 관리비, 장기수선충당금, 사업자 선정 관련 이상 징후가 발견된 전국 10개 단지*를 선정, 담합 여부를 집중 조사하여 불법 행위 발견 시 엄중 처벌할 예정입니다. *서울 2곳, 경기 4곳, 인천 1곳, 울산 1곳, 충북 1곳, 전북 1곳 불법행위 적발 업체·관리주체에 행정조치 공정거래법은 부당한 공동행위 적발 시 매출액의 20% 이내 과징금을, 공동주택관리법은 사업자 선정 기준 위반 시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물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발주비리 근절을 위한 후속 조치 차질없이 진행 ·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 선정 개정 - 입찰 시 '공정거래법' 위반 행정처분 확인서 제출  - 평가 시 입주민 또는 외부위원 평가자 추가 추첨으로 낙찰자 결정 시 이해관계인 입회 · '공동주택관리법' 개정 - 관리비 공개대상 확대(100→50세대 이상)  - 관리소장의 관리비 계좌잔액 확인의무 강화 ·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개선 - 관리비 중 잡수입의 경우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에 입주자기여수익과 공동기여수익을 구분하여 공개 공동주택 관리비 즉시 확인 ·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K-apt에서 관리비 조회! 다른 곳은 어떨까? 관리비 비교까지! · 관리비 비교 조회, 테마별·지역별 평균 조회도 가능 관리비 상승을 초래하는 불법행위, 집중 조사 및 엄중 처벌하여 공동주택 발주비리를 차단하겠습니다.
    • 생활
    2023-03-16
  • 산업통상자원부, “난방비 신청하세요”…취약계층에 최대 59만2000원 지원
    산업통상자원부[동국일보] 등유·LPG 보일러를 사용하는 취약계층이라면 난방비 신청하세요! Q1. 신청 가능 가구는? A.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세대 중 등유나 액화석유가스(LPG) 보일러를 주된 난방수단으로 사용하는 가구 *2022년 등유바우처, 연탄쿠폰 또는 긴급복지지원(동절기 연료비)을 받은 세대 및 세대원 전체가 보장시설에서 급여를 수급한 세대 등은 제외 Q2. 신청 방법은? A. 3월 10일부터 4월 7일까지 주거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 신청서를 작성해 제출 *직접 신청이 어려운 경우 이장, 통장, 사회복지사 등을 대리인으로 선임하면 대리 신청도 가능 Q3. 사용 방법은? A. 기초생활수급자는 카드사에 전용카드를 신청해 발급받아 올해 6월 30일까지 현금 대신 사용, 차상위계층은 행정복지센터에서 종이쿠폰을 수령해 올해 6월 30일까지 현금 대신 사용 *지원대상은 행정복지센터에서 소득기준, 타 급여 수급 여부 확인, 주거지 방문 등을 거쳐 확정 Q. 가구별 최대 지원 금액은? A. 59만2000원 *다만, 2022년 동절기 에너지바우처를 지원받고 있는 세대는 59만2000원에서 에너지바우처 지원액을 차감한 금액 Q. 지난 겨울 난방용 등유나 LPG 구매 비용을 환급받을 수 있는지? A. 카드 또는 쿠폰을 6월 30일까지 사용하고 잔액이 남을 경우 증빙 서류를 제출하면 잔액 범위 내에서 등유나 LPG 구매 비용 환급 가능 Q. 등유·LPG 공급자의 부담은? A. 등유·LPG 공급자는 지원 대상 가구에 에너지를 공급한 후 종이쿠폰을 받아 행정복지센터에 사업자등록증과 통장사본을 제출하면 현금으로 정산 받으므로 공급자가 부담하는 수수료는 없음 * 전용카드는 신용카드와 동일하게 사용하고 사용액은 카드사가 직접 정산
    • 생활
    2023-03-16
  • 해양수산부, 홍합·바지락 등 봄철 수산물, 모르고 먹으면 탈나요
    해양수산부[동국일보] 요즘같이 따뜻한 봄철, 주의할 소식이 있습니다. 바로 ‘패류독소’인데요. 매년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기, 남해안 일대를 시작으로 동·서해안까지 발생하는데 봄철에 최고치를 나타내다, 수온이 높아지는 6월 이후 자연 소멸합니다. ‘패류독소’란? 바다에 사는 홍합, 바지락 등 조개류나 멍게, 미더덕 같은 피낭류가 유독성 플랑크톤을 먹고 체내에 쌓인 독을 말합니다. 이독소는 얼리거나 가열해도 완전히 없어지지 않고, 사람이 먹을 경우 마비, 설사 등 중독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패류독소는 크게 마비성, 설사, 기억상실성 등이 있는데, 우리나라는 ‘마비성 패류독소’가 주로 발생합니다. 마비성 패류독소의 증상으로는 입술주위가 마비되고 점차 얼굴과 목주변으로 확산되면서 두통과 구토 등을 수반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호흡곤란으로 생명이 위독해질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매년 2~3월 ‘패류독소 안전성 조사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는데요. 최근 환경변화 등으로 발생시기가 변동되고 있어 올해는 세부계획을 1월로 앞당겨 시행했습니다. 올해는 패류독소 조사 정점을 추가해 연중 관리 해역을 늘릴 예정입니다. 패류독소 본격 확산이 우려되는 3~6월까지 주1~2회 확대 조사하고, 7월~이듬해 2월까지 월1회 정기조사할 계획입니다. 조사지점 내 해역을 ‘패류 출하금지해역’으로 지정하고, 허용기준치 초과 해역에서 생산되는 모든 패류에 대해 출하 전 사전 검사를 실시해, 안전한 패류만 출하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입니다. 여러분의 건강을 위해 패류독소 허용기준 초과 해역에서는 조개류를 채취하지도, 먹지도 말아주세요! 패류독소 발생 현황과 품종별 조사 결과는 국립수산과학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생활
    2023-03-15
  • 법제처, 3월 알아두면 유익한 시행법령
    법제처[동국일보] 3월 알아두면 유익한 시행법령을 소개합니다! 3월 1일 학교환경교육 의무실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장은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환경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 학교 등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환경교육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10조의2 신설 3월 24일 제재처분의 제척기간 6종*의 제재처분의 경우 위반행위가 종료된 날부터 5년이 지나면 영업정지 등 제재처분을 할 수 없습니다. * 인가·허가 등의 정지·취소·철회, 등록 말소, 영업소 폐쇄와 정지를 갈음하는 과징금 부과 처분 '행정기본법'제23조 3월 24일 처분에 대한 이의신청 일반행정심판 대상이 되는 모든 처분에 대해 이의가 있는 당사자는 처분을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행정청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행정기본법' 제36조 3월 24일 처분의 재심사 행정청의 처분에 대한 제소기간이 지난 후에도 종전 처분과 관련된 새로운 사실관계나 증거가 발견된 경우 등 일정한 사유가 있으면 재심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행정기본법' 제37조 3월 28일 장애예술인 창작물 우선 구매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은 장애예술인이 생산한 창작물의 우선구매에 필요한 조치를 마련해야 합니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예술인의 창작물을 우선구매하는 기관 등에 예산의 범위에서 재정지원 등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습니다. '장애예술인 문화예술 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제9조의2 3월 28일 온라인동영상서비스 영상물 자체등급 분류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지정받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자체등급분류 사업자는 제한관람가 등급을 제외하고 자체적으로 온라인비디오물의 등급을 분류해 원하는 시기에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제50조의2, 제50조의3 등
    • 생활
    2023-03-15
  • 고용노동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대상·방법 총정리
    고용노동부[동국일보] 올해부터 2년간 1,200만원으로 더 크게 지원!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개요부터 신청방법까지 총정리해 드립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중소기업의 청년채용을 지원합니다. 만 15~34세의 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새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한 중소기업은 2년간 최대 12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식서비스기업, 문화콘텐츠기업, 청년창업기업 등은 5인 미만 기업도 신청 가능합니다. Q1.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대상 청년은 어떻게 되나요? A. 2023년 취업애로청년 범위 확대! 만 15~34세의 청년 중 · 6개월 이상 실업 · 자립지원 필요 청년 · 고졸 이하 학력 · 북한이탈청년 · 고용촉진장려금 지원대상 · 폐자영업 청년 ·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 · 청년도전지원사업 수료자 ·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가입기간 1년 미만인 청년 (*졸업 후 3개월 미만 청년 제외) Q2.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원내용 및 지원한도가 궁금해요! A. 2023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기업당 최대 30명, 2년간 최대 1,200만원 지원! · 지원 내용 - 청년채용 1인당 월 최대 60만원씩 1년간 지원 - 최초 채용 후, 2년 근속시 480만원 일시지급 (2년간 최대 1,200만원) · 지원 한도 - 기업당 최대 30명 지원 - 수도권 : 기준 피보험자 수의 50%   비수도권 : 기준 피보험자 수의 100% ※필요시 지방관서의 심사를 거쳐 지원한도를 2배(단, 최대 60명)까지 확대 가능 Q3. 2023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방법은? A. ’23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 지금 바로 참여 가능합니다! 청년일자리창출지원사업 누리집 접속 → 누리집에서 기업소재지를 담당하는 운영기관을 지정하여 참여 신청 → ①기업의 온라인 참여승인 ② 청년채용     *사업 참여신청 전 청년채용시 3개월 이내 사업참여신청 필요
    • 생활
    2023-03-14

포토뉴스 검색결과

  • 尹 대통령,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참석…"국가 간의 연대와 협력이 중요"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17일 12시 일본 동경 경제단체연합회 회관에서 개최된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양국 간 미래지향적 경제협력 비전에 대해 논의했다.이에, 한일 양국 정상은 어제 정상회담에서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는 양국이 서로 협력하여 더 큰 성과를 함께 만들어 내자는데 뜻을 모았다.    특히,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 산업의 공급망 안정과 첨단·과학기술 협력, 디지털 전환 등 미래를 준비하는 작업을 함께 하기로 했다.또한,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은 양국 정상이 합의한 미래지향적 경제협력 비전을 구체화하고, 양국 경제인 간 교류 및 협력 확대를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다.    아울러, 한국측에서는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 김윤 한일 경제협회장, 4대그룹 회장, 전경련 회장단 등 12명의 경제인이, 일본측에서는 도쿠라 마사카즈 경단련 회장, 사사키 미키오 일한경제협회장 등 11명의 경제인이 각각 참석했다.이어, 한국 대통령이 한일 경제인 행사에 참석한 것은 2009년 6월 이명박 대통령 방일 기간에 개최된 '한일 경제인 간담회' 이후 14년 만이며, 전경련 등 재계에 따르면 4대그룹 회장이 한일 경제인 행사에 모두 함께 참석한 것도 약 20여 년만에 처음이다.또한, 오늘 행사는 기념촬영, 양측 경제단체장 개회사, 모두말씀, 오찬, 마무리말씀 순으로 진행됐다. 오찬 중에는 한일 경제협력 방안에 대한 양국 경제인들의 발언과 환담이 있었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전 세계가 직면한 복합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 간의 연대와 협력이 중요하며, 한일 양국이 공급망, 기후변화, 첨단 과학기술, 경제안보 등 다양한 글로벌 아젠다에 대해 공동으로 협력·대응해 나가자"고 말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디지털 전환,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등 미래 첨단·신산업 분야에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어제 전경련과 경단련이 함께 발표한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을 토대로 미래 세대의 교류가 늘어나고 상호 이해와 협력이 확대된다면 양국 관계가 보다 굳건해질 것"이라고 언급했다.한편, 오찬중 양국 경제계의 발언이 있었으며 한국 측에서는 김윤 한일경제협회장, 최태원 SK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일본 측에서는 사사미 미키오 일한경제협회장, 사토 야스히로 미즈호 파이낸셜그룹 특별고문, 야스나가 다츠오 미쓰이물산 회장 등이 미래 한일 경제협력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발표했다.끝으로, 정부는 한일 정상회담,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등을 계기로 새 장을 열어갈 양국 경제계의 교류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그간 중단된 재무·산업통상자원·과학기술 등 경제 분야 장관급 협력 채널을 조속히 복원하고, 주요 협력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7
  • 尹 대통령 부부, 기시다 총리 부부와 친교 만찬…일본인들이 한데 모여 크게 환영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3월 16일 저녁 7시 40분 기시다 후미오 총리 부부와의 친교 만찬을 위해 긴자 요시자와 식당에 도착했다.    이에, 요시자와 식당에 미리 와있던 기시다 총리가 입구까지 나와서 윤 대통령 부부를 맞이했으며, 식당 입구에서 함께 기념사진을 찍었다.또한, 전통 일본식(호리고다츠) 방에 두 부부가 앉고 통역을 위해 네 명이 배석했으며, 윤 대통령 부부와 기시다 총리 부부는 만찬장소에서도 기념촬영을 먼저 하고 식사를 시작했다. 한편, 윤 대통령 부부가 식당으로 가는 길에 많은 일본인들이 기다리고 있었고, 호기심 어린 눈으로 휴대폰을 꺼내 촬영하는 모습도 보였으며, 요시자와 식당 직원들도 윤 대통령 부부가 식당에 도착했을 때 한데 모여 크게 환영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7
  • 尹 대통령, 재일동포 오찬간담회 참석…"오는 6월 재외동포청이 출범할 예정"
    [동국일보] 일본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와 함께 일본 방문 첫 일정으로 3월16일 오후, 동경 제국호텔에서 현지 동포를 초청하여 오찬을 겸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에, 이번 간담회에는 재일민단, 재일 한국인연합회, 한국유학생연합회 등 주요 동포단체 대표,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 인사 등 각계각층의 동포 130여 명이 참석했다.특히, 윤 대통령은 격려사를 통해 "지금 한일 양국은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출발점에 서 있다"고 하면서, "재일동포의 조국에 대한 변함없는 애정과 성원은 미래지향적 양국 관계를 만들어 가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재일동포 사회가 모국이 어려울 때마다 든든한 후원자가 되어주고, 어려운 여건 하에서도 자긍심을 잃지 않고 각자 분야에서 활약함으로써 일본 내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해 온 점을 높이 평가했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동포사회 주요 인사들과 환담을 나누고 격려했다.    이어, 대표적 동포단체인 재일민단의 여건이 단장에게 민단이 그간 일본 내 혐한(嫌韓)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동포들에게 필요한 행정민원 상담을 제공하는 등 동포사회의 권익 신장을 위해 애쓰고 있는 데 대해 깊은 감사의 마음을 표했다.    또한, 일본의 한국계 도예가인 심수관(제15대손) 가고시마 도예가협회 회장에게는 조선 도공의 후예로서 일본에서 400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가업을 이어온 점에 경의를 표하고, 앞으로도 예술을 통해 한일 양국의 문화와 전통을 잇는 역할을 지속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오는 6월 재외동포청이 출범할 예정"이라고 소개하고, "보다 체계적인 재외동포 보호와 지원을 통해 우리 재외동포의 권익을 향상시키고 모국과의 연계가 더욱 끈끈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자유 발언 시간에 참석자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열렬히 환영한다"면서, "재일동포 사회는 지금 축제 분위기에 젖어 있으며 한인 타운을 중심으로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정치
    • 청와대
    2023-03-16
  • 尹, 韓日관계 원로 오찬간담회…"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힘써 줄 것"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1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일관계 원로 초청 오찬 간담회를 가졌다.이에, 이번 간담회에는 이홍구 前 총리, 김성재 김대중아카데미 원장, 최상용 前 주일대사, 라종일 前 주일대사, 유명환 前 외교부 장관(前 주일대사), 유흥수 前 주일대사, 이대순 한일협력위원회 회장 등 한일관계에 정통한 사회 원로 7인이 참석했다.특히, 윤 대통령은 지난 3월 6일 발표한 우리 정부의 강제징용 판결 해법과 향후 한일관계 추진 방향에 대한 참석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오랜 기간 전문적 식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일관계 발전에 기여해 온 원로 인사들의 기여를 평가하면서, 앞으로도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힘써 줄 것을 당부했다.또한, 간담회에 참석한 사회 원로들은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대통령의 굳건한 의지를 높이 평가하고, "12년 만에 이뤄지는 우리 정상의 양자 방일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한일 간 안보, 경제, 문화, 인적교류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이 한층 확대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아울러, 정부는 앞으로도 각계각층의 의견을 경청하면서 한일관계의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한편, 이번 간담회에는 박진 외교부 장관,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배석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5
  • 尹 대통령,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 주재…'국가 첨단산업단지 조성 계획' 확정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15일 오전 영빈관에서 개최된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첨단산업 육성전략을 논의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첨단산업은 핵심 성장엔진이자 안보·전략자산이고, 우리의 일자리와 민생 문제와도 직결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최근 반도체에서 시작된 경제 전쟁터가 배터리, 미래차 등 첨단산업 전체로 확장되고 있으며, 각국이 첨단산업 제조시설 유치에 대규모 보조금과 세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우리는 메모리반도체, OLED 디스플레이 등 일부 분야에서 이미 세계 수준의 기술과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더 성장해 나가기 위한 민간의 투자를 정부가 확실히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2026년까지 계획 중인 반도체 등 첨단산업 6대 분야에 대한 총550조 원 이상의 민간 투자가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가 입지, R&D, 인력, 세제지원 등 필요한 지원을 빈틈없이 해야 한다"면서, "오늘은 그중에서 첨단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국가 첨단산업단지 조성 계획'을 확정한다"고 밝혔다.이어, 윤 대통령은 "우선 300조 원에 달하는 대규모 민간 투자를 바탕으로 수도권에세계 최대 규모의 신규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기존 메모리 반도체 제조단지, 150개 이상의 국내외 소부장 기업, 판교팹리스와 연계해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로 키워나갈 것"이라고강조했다.    이는 치열한 글로벌 반도체 투자유치 전쟁 속에서 국가 경제와 국민의 미래 먹거리를 살리기 위한 윤 대통령의 결단에 따른 것으로, 정부는 적극적인 민관협력의 결과로 국내에 대규모 투자가 결정됨으로써 글로벌 반도체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초석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지방에도 우주, 미래차, 수소 등 첨단 산업을 키우기 위해 전체 3,300만㎡, 총 1,000만 평이 넘는 규모의 14개 국가 첨단산업단지를 신규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첨단산업의 발전은 전체 경제성장과도 연결되지만 지방 균형 발전과도 직결되는 것"이라며, 후보시절부터 일관되게 지켜온 지방 균형발전 기조에 따른 정책 발표임을 강조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선거운동시에도 지방 균형발전의 기조에 대해 지방이 스스로 비교우위 분야를 선택하고 정부는 이를 지원하겠다고 했다"며, "이번 국가 첨단산업단지 조성 계획 역시 지역이 주도해 지역의 최우선 과제를 제시한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이에 따라 "지역 스스로 비교우위 분야를 키워나갈 수 있도록 정부가 토지이용 규제를 풀고,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14개 국가 첨단산업단지는 충청권에서 대전(나노·반도체, 우주항공), 천안(미래모빌리티, 반도체), 청주(철도), 홍성(수소·미래차, 2차전지등)에, 호남권에서 광주(미래차 핵심부품), 고흥(우주발사체), 익산(푸드테크),완주(수소저장·활용 제조업)에, 영남권에서 창원(방위, 원자력), 대구(미래자동차·로봇), 안동(바이오의약), 경주(소형모듈원전), 울진(원전 활용 수소)에,강원권에서 ⑭강릉(천연물 바이오)에 조성될 예정이다. 이어, 윤 대통령은 "중요한 건 속도"라며, "오늘 발표된 국가 첨단산업단지 조성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는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국가 첨단산업 설비투자 세액공제 확대 법안(최대 25~35% 세액공제)이 빠른 시일 내에 통과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아울러, 윤 대통령의 방침에 따라 정부는 기존의 입지 '규제'에서 탈피해, 규제를 완화하고 기업을 도와주는 국가로 산업단지 개발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방침이다.    이어, 이번에 조성되는 신규 국가산단은 종전 대비 사업 준비 기간을 기존 7년에서 5년으로 1/3가량 단축하고, 지자체의 그린벨트 해제 권한을 30만㎡에서 100만㎡로 완화하는 등 역대 어느 정부보다 더 신속하고 과감하게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와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국가 첨단산업벨트 범정부 추진지원단'을 구성해 산업단지별로 앵커기업의 유치를 적극 지원하고, 관련 인프라와 제도를 적극 지원하여 기업 투자 유치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가 첨단전략산업 및 소부장 특화단지(산업부), 스마트혁신지구(중기부) 및 창업중심대학(중기부등) 등 지방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부처별 지원을 다각도로 확대할 예정이다. 앞으로 정부는 이날 발표한 '첨단산업 육성전략'인 초격차 기술력 확보, 혁신인재 양성, 지역 특화형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 튼튼한 생태계 구축, 투자특국 이룩 및 국익 사수 통상외교 수행 등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첨단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총력으로 지원할 계획이다.이어, 이번 발표는 첫째, 대한민국 미래를 책임질 국가 핵심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국내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획기적인 결단이며, 둘째, 주요국들이 앞다투어 자국 첨단산업 제조시설 투자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공세를 펼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글로벌 반도체 패권을 잡기 위한 승부수를 던졌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민간기업이 선제적인 투자로 앞장서고, 정부가 입지 조성과 규제완화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는 대표적인 경제살리기 프로젝트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한편, 오늘 회의에서 민간기업들은 '26년까지 시스템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미래차 및 로봇 등 6 첨단산업 분야에 총 550조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임을 밝히기도 했으며, 신속한 정책 지원, 중앙과 지방의 긴밀한 협력, 대·중소기업 상생형 클러스터 조성 등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관심을 가지고 함께 노력해 줄 것을 요청했다.    끝으로, 오늘 토론에는 김형준 서울대 명예교수,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남이현 파두(반도체 팹리스업체) 대표이사, 조용진 성균관대학교 반도체 계약학과 학생 등 학계, 업계, 중소기업, 학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참석하여 의견을 나눴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5
  • 尹, 일자리 창출 우수기업 CEO 초청 오찬…"고용을 창출한 여러분들이 애국자"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일자리 창출을 통해 우리 사회에 기여한 100여개 기업 CEO를 격려하는 오찬을 가졌다. 이에, 윤 대통령은 격려사에서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이며 양질의 일자리는 민간에서 나온다"면서, "정부의 역할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민간기업에 방해되는 규제를 타파하고 미래 전략기술 분야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지원하는 것"이라며 민간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의 강한 지원 의지를 밝혔다. 특히, 윤 대통령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동개혁과 교육개혁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면서 "정부의 노동개혁은 노동자들에게는 정당한 보상체계를, 기업에게는 생산성과 경쟁력을 증대시키는 것이며, 교육개혁은 기업에게 인적자원을 제대로 공급하고, 미래세대에게는 지식과 경쟁력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정부가 노동개혁과 교육개혁을 통해 구조적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또한, 윤 대통령은 격려사를 마치며 "정부는 기업과 원팀이 되어 우리 경제의 높은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스타트업 육성에도 적극 힘쓰겠다"고 말했다.아울러, 격려사에 이어 참석자 중 최연소(90년생) CEO인 생활용품 제조기업 '소셜빈' 김학수 대표가 건배사를 진행했으며, 김 대표는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히면서 "기업과 함께"를 선창했고, 참석자 전원이 "일자리가 미래다"를 후창하며 오찬을 시작했다.이어, 오찬에서는 일자리 창출 우수기업 대표들의 사례 및 소감 발표도 함께 진행됐다.먼저, 대전에서 3대에 걸쳐 성심당 제과를 운영 중인 '㈜로쏘' 임영진 대표이사는 "대학과 협력, 주문식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학생과 기업, 대학이 모두 만족하고 있다"며 일자리 창출 우수사례를 발표했고, 교육기업 '(주)잇올'의 백태규 대표이사는 "여성 및 청년 채용에 앞장서고 있다"며 "전국 폐교를 활용하는 방안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은 물론 국내인구 감소와 지방소멸 문제에도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또한, 핀테크 스타트업 '㈜핀다'의 이혜민 대표이사는 "기업이 잘돼야, 나라를 돕는 것이다`라는 대통령 말씀을 잘 새기고 있다"며, "금융산업은 규제 분야인 만큼 새로운 기회를 여는 열쇠가 될 수 있으며, 대한민국의 금융혁신을 글로벌로 펼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아울러,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생산기업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의 박광선 대표이사는 "청년을 비롯하여 여성, 고령층, 장애인 등 고용 취약계층의 채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한국반도체 산업발전과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발달장애인 고용을 목표로 설립된 사회적기업 '(주)베어베터' 이진희 대표이사는 "장애인 고용과 관련하여 고용부와 장애인고용공단이 적극적으로 지원해줘서 늘 감사하다"며, 장애인 고용 확대를 위해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올리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이어, CEO들의 이야기를 들은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노사를 불문하고 산업현장에 법치를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하며, "정부의 맞춤형 채용, 지원 제도를 적극 활용해 달라"고 참석자들에게 당부했다.또한, 윤 대통령은 오찬을 마무리하며 "어려운 여건 하에서 기업을 키워 많은 고용을 창출한 여러분들이 애국자"라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기업이 커지면 인사, 노무관리에 대한 두려움도 커져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주저하게 되는 면도 있다"면서, "정부는 금융 지원, 판로 개척 등 각종 지원에 더해 인사·노무 관리에 대한 상담 지원을 강화해, 자신감을 갖고 기업을 키우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기업인들을 격려했다.한편, 오찬을 마친 후 대통령은 기업인 한 명 한 명과 악수와 인사를 나눈 후 참석자 전원과 함께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끝으로, 이날 행사에는 식품기업 '㈜허닭'의 CEO를 역임했던 개그맨 허경환 씨가 사회를 맡아 오찬 분위기를 한층 화기애애하게 만들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4
  • 尹 대통령, 해군사관학교 제77기 졸업 및 임관식 참석…"국민세금이 아깝지 않다"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3월 10일 오후 해군사관학교 제77기 졸업 및 임관식 참석 후 이지스구축함인 세종대왕함을 방문해 승조원들을 격려했다.이에, 윤 대통령은 "세종대왕함은 1년에 200일 이상 해상작전을 수행 중으로 대단히 힘든 임무임을 잘 알고 있다"면서, "여러분들의 헌신과 강한 자부심에 국군 통수권자로 감사하다"고 했다.특히, 윤 대통령은 "가장 중요한 것은 여러분의 대적관과 전시에 혼란과 두려움 없이 맡은바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몸이 자동적으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평소에 훈련을 연마해 달라"고 당부하면서, "여러분의 모습을 보니 국군통수권자로서 뿌듯하고 국민세금이 아깝지 않다"고 덧붙였다. 또한, 윤 대통령은 국내 최초로 독자 설계한 도산안창호함에 승함해 어뢰 발사관 등 잠수함 내부를 시찰했으며, 해군 특수전전단도 방문해 방명록에 '불가능을 모르는 세계최강 특수부대'라고 적었다.이어, 윤 대통령은 UDT SEAL 및 해난구조부대 현황을 보고받은 뒤 "최근 전쟁은 비대칭전과 특수전 양상을 띄고 있기 때문에 특수전 전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우리군에서 가장 어렵고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얼마나 고되고 힘든 훈련을 하고 있는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직접 와서 보니 든든하고 자랑스럽다. 여러분이 곧 대한민국 군의 국격이다. 군 통수권자로서 신뢰한다"면서, "세계 최고의 특수부대가 되길 바란다"고 격려했다.한편, 역대 대통령이 해군 특수전전단을 방문한 것은 처음이다.
    • 정치
    • 청와대
    2023-03-10
  • 尹 대통령,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및 울산 신정상가시장 방문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9일 오후,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을 방문하여 자동차 생산 및 수출 현장을 둘러보았다.    이에, 윤 대통령은 먼저 현대차 전용 수출부두에서 정의선 현대차 회장의 안내로 현대차의 수출 실적을 보고받고, 자동차 전용 수출선박인 글로비스 스카이호에서 선적 현장을 둘러보았다.    특히, 이후 현대차 5공장에 들러 샤시공정 및 전기차 배터리 설치라인을 시찰하고 직원들을 격려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현대차 울산공장 방문을 마친 후 울산 신정상가시장을 방문하여 상인들을 격려하고 시민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 시장 입구에는 윤 대통령의 당선 1주년을 축하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었으며 서문에서부터 많은 시민들의 환호를 받았고, 일부 시민들은 대통령에게 축하 화환과 꽃다발을 건네기도 했으며 대통령은 연신 박수를 보내는 상인들과 악수를 하면서 인사를 나눴다.아울러, 시장에서 청년점포와 2대째 운영하는 점포 등을 방문한 윤 대통령은 해당 점포에서 과일, 쇠고기, 돼지고기, 야채 등을 직접 구매하여 울산 노인복지관에 기부했다.    끝으로, 윤 대통령은 상인들과 소통하면서 김밥, 빵, 닭강정 등 다양한 간식거리도 구매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전통시장 소비 촉진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기도 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09
  • 尹, S-OIL 샤힌 프로젝트 기공식 참석…"세계 최고의 혁신 허브로 만들겠다"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9일 오전, S-OIL 울산 온산공장에서 열린 샤힌 프로젝트 기공식에 참석했다.이에, 윤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지난해 우리 기업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가 사상 처음으로 300억불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하면서, "앞으로도 정부는 외투기업들이 한국에서 마음껏 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세계최고의 환경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지 않는 규제는 과감하게 개선하고, 대한민국을 세계 최고의 혁신 허브로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윤 대통령은 기공식에 앞서 후세인 알 카타니 S-OIL CEO, 아민 나세르 아람코 CEO, 이재훈 S-OIL 이사회 의장 등과 사전 환담을 가졌다.이어, 윤 대통령은 환담 자리에서 "샤힌 프로젝트는 한-사우디 간 협력과 우호의 상징인 프로젝트로서, 정부도 적극 지원할 생각"이라고 밝히면서, "성공을 위해 함께 열심히 뛰어보자"고 말했다.    아울러, 이에 나세르 아람코 CEO는 "이번 주말에 아람코 이사회 멤버들을 기공식 현장에 초청하여 설명회를 가질 만큼 샤힌 프로젝트는 아람코 차원에서도 관심이 큰 프로젝트"라고 화답했다.끝으로, 대통령은 "이번 프로젝트는 산업뿐 아니라 우리나라 지역균형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하면서, "한국뿐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도 만족할만한 성공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자"고 당부했으며, 환담 직후 대통령은 S-OIL의 PR룸을 둘러보면서 S-OIL의 연혁 및 비전 등을 보고받았다.  
    • 정치
    • 청와대
    2023-03-09
  • 尹 대통령, 울산 경제인 간담회 참석…"모든 역량을 결집해 지원해 나가겠다"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9일 울산항만공사에서 울산 지역 경제인과 지역대학 총장, 국회의원 등 20여명과 간담회를 가졌다.이에,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울산은 1962년 특정공업지구로 지정된 이후 60여년 동안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을 중심으로 국가기간산업을 이끌어왔고 우리 수출의 13%를 책임질 만큼 국가 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하면서, "오늘 기공식을 가진 S-OIL 샤힌 프로젝트뿐 아니라 현대자동차 전기차 공장 신설, 고려아연 이차전지 소재 생산공장 신증설 등 미래 신산업에 대한 투자도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특히, 윤 대통령은 "정부도 모든 역량을 결집해 지원해 나가겠다. 수소차 안전인증센터와 전기, 수소차 핵심부품 지원 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되도록 하겠다"고 밝히면서, "조선 산업에 원활한 인력 확보를 지원하고, 전기, 수소, 자율운항 선박 등 미래 먹거리도 적극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또한, 이날 간담회에서 울산 경제인들은 울산시 우회도로 신설,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 도입, 그린벨트 해제, 조선업 인력 확충, 중소기업 석박사 인재 확보, 설비투자 세액 공제 확대 등을 건의했다. 이어, 간담회에 배석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정부가 추진하는 관련 정책방향에 대해 설명했고, 장관의 설명을 들은 오연천 울산대학교 총장은 "40년 교수 생활하면서 대통령이 주재하는 회의에 10번 넘게 참석했지만 참석자들의 질문에 주무장관이 일일이 메모하고, 답변하는 것을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한편, 오늘 간담회에 참석한 국민의힘 소속 권명호·이채익·서범수·박성민 의원은 "윤 대통령께서 당선 1주년이 되는 오늘, 우리 지역을 찾아 민생경제를 챙겨주셔서 감격스럽다"면서, "나라가 정상화되는 모습을 보니 너무 감사하고 고맙다"고 말하기도 했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지역 경제인들의 민원은 산업부와 중기부에 전달하면 속도감 있게 점검하도록 하겠다"면서 "지난 10달간 한미 관계, 한·일 관계를 포함한 외교정책 방향, 공무원들의 생각, 이런 것들은 많이 바뀌었겠지만 국민과 기업이 생활과 사업에서 느끼는 변화를 체감하려면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끝으로, 윤 대통령은 "우리 국민이 노력을 통해 얻은 정당한 보상을 부당한 세력에게 뺏기지 않고, 기업들은 사업하기 좋은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최대한 노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09
  • 尹, '칼리드 사우디' 국방장관 접견…"방산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7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칼리드 빈 살만 알 사우드(Khalid bin Salman Al Saud) 사우디 국방장관을 접견하여 안보 상황을 공유하고 한-사우디 국방·방산협력 강화, 국방혁신 추진에 대한 상호협력 등 주요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이에, 윤 대통령은 작년 11월 한-사우디 회담('22. 11. 17.)에 이은 칼리드 장관의 방한을 계기로 한-사우디 국방·방산 협력이 한 단계 발전하여 양국이 미래지향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특히, 윤 대통령은 "살만 국왕과 모하메드 빈살만 왕세자(겸 총리)님께도 따뜻한 안부를 전해주길 바란다"며, "작년 11월에 체결한 한-사우디 26개 투자계약 및 MOU는 한-사우디 경제협력 민관추진위원회, 실무지원단을 구성하여 범부처 차원에서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한국과 사우디는 매우 중요한 경제·안보 파트너로서 한반도와 중동 그리고 국제평화를 위해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고 말했다. 아울러, 칼리드 국방장관은 "한-사우디 관계는 매우 돈독한 상호 이해를 기반으로 경제, 국방 분야에서 전례 없는 협력관계를 맺고 있으며, 작년 11월 모하메드 빈살만 왕세자 겸 총리 방한 이후 양국 간 협력이 정교해졌다"고 평가하고, "앞으로도 한국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이어, 윤 대통령이 "한국은 사우디와 방산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하자, 칼리드 국방장관 역시 "한-사우디 간의 실질적이며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유지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사우디가 추진하고 있는 국방혁신에 대해 공감대를 표하면서 "칼리드 국방장관의 국방혁신에 대한 통찰력을 지지하고, 양국 간 상호협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양국이 국방혁신의 경험과 비전을 서로 공유한다면 더 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한편, 이날 접견에 사우디 측에서는 파야드 빈 하메드 알-루와일리(GEN. Fayyadh bin Hamed Al-Ruwaili) 총참모장, 사미 알사드한(Sami Alsadhan) 주한사우디대사, 히샴 압둘아지즈 빈사이프(H.E. Mr. HESHAM ABDULAZIZ O BINSAIF) 비서실장이 참석했다.끝으로, 우리 측에서는 이종섭 국방부 장관,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임종득 국가안보실 2차장, 임기훈 국방비서관이 참석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07
  • 尹 대통령, 제10차 국무회의 주재…"이권 카르텔 세력에 단호하게 대응하겠다"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7일 국무회의 마무리 발언을 통해 "국민을 약탈하는 이권 카르텔에 맞서 단호하게 개혁을 실천해야 한다"고 내각에 강조했다.이에, 윤 대통령은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전문성을 중심으로 국정을 운영해왔으나, 부당한 관행을 통해 지대를 추구하는 카르텔 세력의 저항이 있다"면서 "그런 적폐들을 제거해 나가야 국민의 삶이 더 편안하고 풍요로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또한, 윤 대통령은 "앞으로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자명해졌다"면서 "전문성도 중요하지만, 국민을 위해 이권 카르텔 세력에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확고한 의지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내각에 거듭 강조했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국무위원들을 향해 "카르텔의 지대 추구를 놔두고 전문가적 식견으로만 정책을 펴면 지속적인 개혁이나 혁신은 이뤄지기 어렵다"면서 "부당한 세력들이 규합하여 공짜밥을 먹으며, 국민의 삶을 힘들게 하는 것은 아닌지 정확하게 살펴 달라"고 당부했다.끝으로, 윤 대통령은 "올해 국민을 위한 노동·교육·연금 등 3대 개혁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07
  • 尹, 튀르키예 지진 대응 해외긴급구호대 격려 오찬…故 '성공일' 소방교 추모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튀르키예 지진 현장에 파견되어 19일 동안 구조 및 구호활동을 벌인 튀르키예 긴급구호대 140여 명을 격려하는 오찬을 가졌다.이에, 윤 대통령은 오찬에 앞서 김건희 여사와 함께 튀르키예 현지에서 구조활동을 벌인 119구조견들의 시연을 참관했으며, 행사에는 토백, 토리, 티나, 해태 등 튀르키예 피해 현장에서 3명의 생존자와 12명의 사망자를 발견해 구조활동에 큰 도움을 준 4마리의 구조견이 함께했다.특히, 윤 대통령 부부는 구조견들의 머리를 쓰다듬으며 "정말 수고했다"고 말했고, 자리를 함께한 구조대원들에게 "구조견들의 건강을 잘 관리해 달라"고 당부했다.또한, 행사장에서는 실종자 찾기, 장애물 넘기 등 구조견들의 구조 시연이 진행됐는데, 대통령 부부를 포함해 참석자 모두 구조견들의 활약에 박수를 치며 감탄했으며, 김건희 여사는 티나와 함께 구조 시연에 직접 참여하기도 했다.아울러, 윤 대통령 부부는 구조견들의 조끼에 구조견의 이름과 함께 대한민국-튀르키예 양국 국기가 새겨진 기념패치를 손수 부착해준 후 기념촬영을 하며 행사를 마무리했으며, 김건희 여사는 행사장에 새롬이를 동반해 구조견들의 관심을 끌기도 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구조대원들과 오찬을 함께했으며, 본격적인 오찬에 앞서 참석자 전원은 어제 저녁 화재 진압 중 순직하신 故 성공일 소방교와 튀르키예 지진희생자를 추모하는 묵념의 시간을 가졌다.또한, 윤 대통령은 구조대원들의 활약과 소감을 담은 동영상을 시청하고, 故 성공일 소방교를 추모하며 격려사를 시작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튀르키예 구호 현장에서 보여준 여러분들의 연대 정신은 한국과 튀르키예가 어려울 때 서로 돕는 진정한 친구라는 점을 다시금 일깨웠다"며 "여진과 추위가 이어진 어려운 상황에서 구조활동에 전념해 준 대원들의 헌신과 노고에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튀르키예의 복구와 재건 지원을 계속해 나갈 것임을 강조하며 "정부와 민간이 함께 1천만 달러 이상의 재원을 마련해 임시 거주촌 사업에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윤 대통령은 "이재민들의 임시주택에 활용할 컨테이너 250동이 3~4월 중에 튀르키예에 도착할 것"이라며, "지원사업들이 양국이 진정한 형제국가임을 보여주는 우정의 상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아울러, 이번 오찬 행사에서는 현지에서 활약한 구조대원들의 소감 발표도 진행됐다.먼저, 이인우 구조대원은 "생존자 수색 중 흩뿌려진 가족사진을 보며 마음이 아팠다"며, "형제의 나라 튀르키예에 도움을 줄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고, 양영안 구조대원은 "정부의 신속한 파견 결정으로 골든타임 내 현장에 도착해 생존자 8명을 구조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구조 역량 강화를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이어, 국제개발협력민관협의회 이경주 부장은 "민관이 함께한 구조활동에 큰 의미를 느꼈고 지원을 아끼지 않은 정부에 감사하다"며, "튀르키예 국민들이 이전의 삶으로 복귀하기 위한 지원에 앞으로도 민관이 함께 역할을 해 나가자"고 말했다.또한, KOICA 백소담 전임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합동훈련을 하는 등 긴급구호대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한 결과 이번에 생존자 8명을 구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아울러, 원도연 1진 긴급구호 대장은 "빠른 결정으로 역대 최대 규모의 인원을 파견, 생존자 구호의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면서, "특히 민관이 원팀이 되어 활동한 것이 큰 힘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현지에서 보내준 튀르키예 국민들의 감사와 성원을 이 자리에서 꼭 말하고 싶다"며, "앞으로도 준비된 해외긴급구호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또한, 윤 대통령은 오찬을 마치며 "우리나라의 위상에 걸맞는 글로벌 중추 외교를 통해 세계의 자유와 평화, 번영에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과거 재건을 위해 국제사회의 도움을 받던 한국이 이제 어려운 나라에 긴급구호대를 파견하며 국제사회에 책임있는 역할을 하게 됐다"면서, "여러분들의 고생과 헌신 덕분에 전 세계에서 대한민국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고 이번 긴급구호대의 노력을 평가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이번 경험이 국내외 예측할 수 없는 여러 재난 상황에서 인명을 구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어려운 여건과 위험한 상황을 책임있고 지혜롭게 극복해 준 긴급구호대에게 국민을 대표해서 감사를 전하고 건강과 건승을 기원하겠다"고 말했다.끝으로, 윤 대통령은 행사장을 떠나기 전 '헌신‧생명‧우정'이라고 써진 조형물을 앞에 두고 구조대원들과 기념촬영을 하며 대원들의 노력에 다시 한번 감사를 표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07
  • 尹 대통령, 제57회 납세자의 날 기념식 참석…"무리한 과세는 하지 말아야 한다"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3일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57회 납세자의 날 기념식'에 참석했으며, 대통령이 납세자의 날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1970년 이후 53년 만에 처음이다.    이에, 윤 대통령은 재정에 기여한 납세자들에게 고마움을 표시했으며, 성실하게 신고한 기업인, 원천징수를 받은 2,000만 임금 근로자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표했다.특히, 윤 대통령은 기념식 축사를 통해 국민들이 왜 세금을 내야 하는지, 그리고 정부는 그 세금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입장을 밝혔다.또한, 윤 대통령은 "세금이 국방·치안·사법·행정서비스와 같은 국가의 본질적 기능 수행, 약자에 대한 두터운 복지의 실천,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이라는 세 가지 목적을 위해 기본적으로 쓰여야 한다"고 강조했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국가재정이 아무리 어렵더라도 쥐어짜는 세정 같은 무리한 과세는 하지 말아야 한다"며, 이와 관련하여 대통령은 기념식 행사가 끝난 후, 국세청장과 조세심판원장에게 "조세 불복 절차를 잘 안내하고, 신속처리에 크게 기여한 공무원을 찾아 포상하고, 인사에 반영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오늘 기념식이 시작하기 전, 추경호 부총리, 윤영석 국회 기획재정위원장 및 포상 수상자 등과 함께 사전환담을 가졌다.    또한, 참석자들이 "이 행사에 대통령께서 오신 것이 53년만이다"라고 하자, 윤 대통령은 "경제가 어렵고 세금 내는 것도 어려운 상황인데 이럴 때 한 번 가야겠다는 생각에 오게 됐다"고 밝혔으며, 이에 참석자들은 "대통령께서 직접 오시니 큰 격려가 된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국가에서 납세자가 제일 중요하다. 그런데, 박정희 대통령이 1966년 국세청을 만들고, 1967년부터 4년 연속 '납세자의 날' 기념식에 참석한 이후로는 어떤 대통령도 오지 않았다고 하더라"고 말했으며, 동석한 추경호 부총리도 "세금 내는 국민들이 존경받아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이어, 윤 대통령은 "미국에는 납세자 소송(taxpayer's suit)이라는 것이 있어서 연방정부, 주정부, 시정부가 세금을 걷어 엉뚱한 곳에 쓰면, 납세자 대표가 함부로 세금을 쓰지 말라고 소송까지 건다"면서, "불법을 일삼거나 국익을 해치는 정치 집단화한 단체에게는 국민의 혈세가 단 한 푼도 쓰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오늘 기념식에서는 배우 김수현 씨와 송지효 씨(본명 천수연)가 대통령표창을 받았다.  
    • 정치
    • 청와대
    2023-03-05
  • 尹 대통령, 국가보훈부 승격 및 재외동포청 신설 서명식…"보훈문화는 곧 국격"
    [동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은 3월 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가보훈부 승격 및 재외동포청 신설 서명식을 갖고 새롭게 태어나는 두 기관의 출발을 축하했다.이에, 이번 서명식에는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고 윤영하 소령의 부모님 등 국가를 위해 헌신한 국가유공자 및 유가족들과 김영근 세계한인네트워크 상임대표 등 재외동포청 초청인사 등 총 30여 명이 자리를 함께 했다.특히, 윤 대통령은 수많은 초청 인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두 기관의 출발을 알리는 법안에 서명을 했고, "보훈문화는 곧 국격입니다. 국가보훈부 승격을 축하합니다"와 "재외동포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심 재외동포청 신설을 축하합니다"라고 축하의 메시지도 남겼다.또한, 서명을 마친 윤 대통령은 "어제 3.1절 기념사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조국을 위해 헌신하신 분들을 제대로 기억하지 않는 국가는 미래가 없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분들이 존중받고 예우받는 보훈문화 확산"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750만 재외동포 여러분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지역 별, 분야 별 맞춤형 동포정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히며 "국가보훈부 승격, 재외동포청 신설 모두 대한민국 국민을 위한 일이고, 우리의 자유민주주의 수호와 재외동포 보호라는 대한민국 헌법정신을 실천하는 일이다"라고 그 의미를 되새겼다.아울러, 윤 대통령은 행사를 마치고 참석자 전원과 일일이 악수를 나누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고, 참석한 보훈가족의 청소년과 어린이들에게 "미래세대를 위한 보훈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약속하면서, 어르신들에게도 "오랫동안 건강하시라"는 인사를 건넸다. 끝으로, 1965년 파월 장병 훈련 중 이등병이 잘못 흘린 수류탄을 몸으로 막아 산화하신 고 강재구 소령의 배우자 온영순 여사, 아들 강병훈님과 인사를 나누며 "64년에 태어나신 아드님이 1년 만에 아버님을 떠나보내게 되어 상심이 크셨겠다"고 따뜻한 위로의 말을 전하기도 했다.  
    • 정치
    • 청와대
    2023-03-02
비밀번호 :